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자인 잡상인 Oct 23. 2021

이세계도 좋지만, 이 세계도 좋아

일상 디자인 #20 : 어떤 이세계








**해당 이미지는 gif로 제작되었습니다.

(원본은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해주세요)




**6 - 7페이지는 와이드로 제작되었습니다.

(원본은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해주세요)









21년 9월 26일 연재분,

일상 디자인 #20 : 어떤 이세계




<전지적 독자시점>과 같은 이른바 <이세계물>이
한동안 콘텐츠 시장을 뜨겁게 달궜습니다.


마블 유니버스의 대흥행 이래로 우리는 <세계관 : Universe>이라는 개념에 꽤 익숙해졌습니다.

빙그레우스나 펭수같은 자체적인 세계관을 가진 캐릭터가 나타나는가 하면

이말년의 침착맨, 유재석의 놀면뭐하니 같은 부캐 컨텐츠가 활발해지면서

가상의 세계관을 넘어 현실 속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자아를 <멀티 페르소나>화하기 시작했죠.


대항해시대, 포함외교시대를 지나 지구촌 시대를 맞이한 우리에게

더는 발견할 신대륙은 남아있지 않습니다만,

(심해나 우주를 제외하면요)

기술의 발전과 문화적 변화는 <메타버스>와 <화성>이라는 이름으로

꾸준히 가상과 현실 속 신대륙을 설정해 주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집 전화기의 폼팩터가 자리 잡기 까진

무려 50년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고 합니다.

(송수화기가 하나로 합쳐지는 에릭슨사의 전화기가 출시되기까지는 )

이와 대조적으로 스마트폰 스크린에서 기능하는 UX 디자인은 불과 10년 만에 엄청난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https://m.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1511201932065#c2b

**참고링크 : 한국 통신 역사 130년, 전화기



메타버스, 혹은 화성 <신도시> 속에서의 삶은,

전화기와 스마트폰이 그랬던 것처럼 처음엔 낯설고 불편하겠지만-

우리는 분명 과거보다 더 빠른 속도로 그 세계에 익숙해질 것입니다.

디자이너들이 열심히 일한다면요.

그러니 열심히 일해봅시다 :)




https://www.instagram.com/p/CUP9AIeJh9D/?utm_source=ig_web_copy_link

위 만화는 인스타그램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화는 움직이는 gif나 와이드로 구성된 컷들이 있어

인스타그램에서도 구독해봐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



이전 01화 그 많던 모래는 다 어디로 갔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