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자인 잡상인 Sep 12. 2022

과학과 디자인은 친해질 수 있을까?

일상 디자인 #21 : 어떤 선택



22년 1월 8일 연재분,

일상 디자인 #21 : 어떤 선택




우리의 일상은 수많은 <선택>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그 선택이 가장 가치 있으리라는 믿음이겠죠.




1.
<양자택일>이라는 말처럼, 우리는 보통 많은 고민을 거쳐

하나의 선택을 내리게 되는데, 공교롭게도 양자역학에서는

그 모든 선택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2.
컴퓨터에 일을 시키기 위해서는 기계의 언어, 즉 <코드>가 필요합니다.

어셈블리어는 기계의 말에 가까워 컴퓨터가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지만, 그만큼 무척 난해하다고 합니다.

(이 말을 죽을 때까지 이해하지 못했을 폰 노이만 같은 천재도 있지만요)


대조적으로 파이선이라는 언어는 그 문법이 (상대적으로) 쉬워서

프로그래밍 교육과 현업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3.

양자역학에서 코딩까지-

문돌이 출신 디자이너인 제게 버거운 키워드들을 꺼내 든 이유는,

우리가 살아가는 현대사회가 고도로 발달한 과학 문명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학은 사실을 이야기합니다.


어떤 사실들을 놓고 선택이 필요할 때, 그리고 그 선택을 위한 가치를 따져야 할 때-

디자인은 사실들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가치판단을 돕거나

숨어있는 가치를 이해하기 쉽게 해석해주는 보완재가 되어줄 수 있지 않을까요?




AI가 더욱 발전해 최적의 디자인 시안을 무한정 뽑아낼 수 있는 세상이 온다 해도

인간이 컴퓨터의 언어를 100%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AI가 이러한 스토리텔링까지 해내기는 쉽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마저도 쉬워지는 세상이 기대되면서도 두려운 건 저뿐만이 아니겠죠?)




https://www.instagram.com/p/CYeN8nSJHFC/?utm_source=ig_web_copy_link

위 만화는 인스타그램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 02화 이세계도 좋지만, 이 세계도 좋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