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디자인 잡상인 Sep 12. 2022

폴더블은 스마트폰의 미래인가?

일상 디자인 #25 : 어떤 초격차


22년 5월 9일 연재분,

일상 디자인 #25 : 어떤 초격차




한국인의 스마트폰 사랑은 뿌리 깊은 것으로
수박도에서도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SF 거장, 아서 C. 클라크 경은 <과학 3 법칙>을 통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충분히 발달한 과학 기술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작년쯤 애플의 M1칩을 예로 들어

기술의 발전을 통해 기존 랩톱 폼팩터가 가진 제약이

사라져가는 것에 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지요.

(일상 디자인 #11, 어떤 기술)


스마트폰도 이와 유사한 변혁을 겪고 있습니다.


바 형태로 수렴되어가던 스마트폰 폼팩터는

폴더블 시대의 도래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습니다.


휘고, 접고, 말 수 있는 폼팩터를 통해 새로운 하드웨어 디자인이 등장할

여지가 생겼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분명히 있겠지만-

새로운 하드웨어와 그 기능에 집중된 사용성을 통한 <피처폰 시대>의 언어로

제품의 가치를 이야기하기에는 사용자들의 눈높이가 무척 높아지고, 또 다양해졌습니다.



현재의 스마트 기기들은

두 갈래 이정표 앞에 서 있는 듯합니다.


폼팩터 혁신으로 가는 길은 한동안 미려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제품들을 쏟아내며

저와 같은 제품 덕후들을 즐겁게 하겠지만-

칩 성능 우위를 통한 최적화와, 이에 기반을 둔 압도적인 UX를 제공하는 무언가가

기어코 시장에 출시되었을 때, 우리는 <초격차>라는 높고 큰 벽을 맞닥뜨리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접을 수 있다>는 키워드가 소방수가 되어주기엔

남은 시간이 조금 짧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https://www.instagram.com/p/CdUP5X9vJc4/?utm_source=ig_web_copy_link

위 만화는 인스타그램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 05화 어른이 되어도 치과는 무섭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