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5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김일성의 환갑기념 영화

북한영화 이야기. 16. 불후의 고전적 명작 <꽃파는 처녀>

by 한상언 Feb 18. 2021

1970년대 발행된 북한의 1원짜리 지폐를 보면 전면에는 <꽃파는 처녀>의 주인공 꽃분이가, 뒷면에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 <한 자위단원의 운명>, <꽃파는 처녀>, <피바다>의 주인공들이 도안으로 활용되었다. 불후의 고전적 명작이라 불리는 영화들이 북한의 혁명영화로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북한의 가장 큰 영화촬영소인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입구에는 거대한 동상이 서 있다. 이 동상은 김일성이 <꽃파는 처녀>의 촬영현장에서 배우와 스태프들에게 현지 지도하는 모습을 형상해 놓은 것이다. 조선예술영촬영소 구내에 있는 문화성혁명사적관의 외관도 마찬가지로 혁명영화들로 꾸며져 있는데, 이 거대한 건물의 한쪽 벽면을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벽화 역시 불후의 고전적 명작 <피바다>, <꽃파는 처녀>, <한 자위단원의 운명>의 한 장면이다.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 건립된 김일성의 <꽃 파는 처녀 >현지 지도 동상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 건립된 김일성의 <꽃 파는 처녀 >현지 지도 동상


이렇듯 불후의 고전적 명작은 북한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로 대우받는데 이중 첫 손에 꼽히는 영화가 바로 <꽃파는 처녀>이다.      


북한에서는 1950년대부터 김일성의 항일유격투쟁시기에 창작되었다는 작품들을 수집하는 작업을 광범히 하게 펼쳤다. <꽃파는 처녀>는 1960년 무렵까지 전혀 언급되지 않던 작품이었다. 그러다가 1960년대에 들어 1930년에 오가자에서 김일성이 10월혁명기념으로 직접 창작하여 공연했다고 언급되기 시작했다. 뒤늦게 발굴된 작품인 것이다.      


이 영화는 지주의 횡포에 비참한 생활을 이어가는 가족들의 모습과 함께 유격대에 참여하면서 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항일유격대에 참여한 사람들이 겪었을법한 이야기를 연극으로 만들어 큰 공감을 얻었던 것이다.     


이 작품은 김일성의 60회 생일을 맞아 기획되었다. 백두산 창작단의 1급 영화인들이 총동원되었다. <한 자위단원의 운명>을 연출했던 최익규와 북한 최고의 연출가로 알려진 박학이 공동으로 연출했다.      


김정일은 1970년대 북한영화의 목표를 칼라광폭영화를 만들어 내는 것을 삼았다. 이 영화가 그 모범이 되는 영화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니까 <꽃 파는 처녀>는 북한에서 본격적으로 만든 천연색광폭영화이다.     


이 영화는 북한을 대표하는 영화인 것은 물론이고, 국제적으로도 크게 인정받았다. 1971년 체코의 카를로비바리영화제에 특별상을 수상했고, 중국에도 수출되어 어마어마한 성공을 거둔다. 이 시기를 살았던 중국 사람들은 이 영화의 주제가를 다 따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 중국에서는 문화혁명기라서 영화제작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북한영화가 중국에서 많이 상영되었고, 인기도 많이 얻었다. 특히 이 작품은 북중간의 우의와 교류를 상징하는 영화로 평가받는데, 이 영화의 주제가를 시진핑 주석의 부인 펑리위안이 1983년 김정일이 중국을 방문했을 당시 부른 영상이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꽃파는 처녀>의 주제가는 항일유격투쟁 당시 인민들이 부른 가요들 중 하나이다. 1950년대 항일유격투쟁 당시 불렸다는 노래들도 널리 수집하였다. 사실 일제 강점기에 불렀던 많은 노래들은 외국노래의 곡조에 우리식의 가사를 붙인 것이 많았다.     

 

<꽃파는 처녀>의 주제가도 <클레멘타인>이라는 노래의 곡조에 “꽃 사세요 꽃 사세요 아름다운 빨간 꽃/부드럽고 빛깔 고운 아름다운 진달래...”라는 가사를 붙여서 불렀다. 항일유격투쟁 당시 고향을 생각하면서 불렀던 것을 채록한 것이었다. 이 노래는 전국적으로 가사를 조금씩 바꿔서 널리 불렀다. 이것을 영화로 만들면서 세련되게 편곡하여 주제가로 삼았던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배우 성혜림의 마지막 작품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