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엔너드 EngNerd Oct 16. 2021

초보운전자가 코너를 돌기 어려운 이유는?

(feat. 앞바퀴에 숨겨진 기술)

< 애커먼 조향장치 및 4절 링크 >


by 엔너드 EngNerd

#코너링 #애커먼조향장치 #4절링크 #기구학 #공학 #과학 #기술 #과학기술






누구나 있었던 초보운전자 시절, 코너에 진입할 때 핸들을 언제 감고 풀어야 하는지 고민해보신 적이 있었을 겁니다. 아무래도 초보운전자는 바퀴가 4개인 차의 코너링에 익숙지 않을뿐더러 차폭감이 없어서 의외로 코너를 도는 게 쉽지 않죠. 그런데 혹시 '코너를 돌 때는 크게 돌아야 한다'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코너에 진입하자마자 핸들을 꺾으면 예상한 것보다 차가 많이 꺾여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자동차가 코너를 돌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자동차에 숨겨진 뜻밖의 기술을 탐구해보았습니다.






자동차가 코너를 돌 때 회전축의 위치


초보자가 예상하는 회전축 및 코너링 경로(빨강)와 실제 회전축 및 코너링 경로(검정) 비교.

초보자들은 예를 들어 코너에서 좌회전을 할 때 운전자의 왼쪽에 회전축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차들이 핸들을 꺾으면 앞바퀴가 좌우로 움직이는 2륜 조향 시스템(2 wheel steering; 2WS)의 전륜조향 방식이죠. 뒷바퀴는 그대로 있습니다. 따라서 차의 회전축은 위 그림처럼 운전자 옆이 아니라 뒷바퀴 축의 연장선에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말이죠.


코너에 진입하자마자 꺾을 경우(왼쪽)와 코너에 진입하고 난 뒤 꺾을 경우(오른쪽) 차의 코너링 경로 비교.

코너를 돌 때 차의 회전축을 잘 생각해보면 언제 핸들을 꺾어야 하는지 감이 올 겁니다. 위 그림과 같이 코너에 진입하자마자 꺾으면 차선보다 더 빠르게 꺾이는 문제가 생깁니다. 대신 차의 뒷바퀴가 코너를 진입했을 때 꺾으면 차선에 맞춰서 코너를 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운전자가 생각하는 것보다 좀 더 늦게 핸들을 꺾어야 합니다. 이걸 초보자들이 느낌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크게 돌라고 표현하는 것이고요.

좌우 앞바퀴의 회전축이 서로 다른 모습.


그런데 핸들을 꺾어 좌회전, 우회전을 할 때 앞바퀴가 같은 각도로 회전할까요? 그렇다면 위 그림처럼 왼쪽과 오른쪽 바퀴의 회전축이 동일하지 않아 각각 다른 경로로 회전하여 바퀴가 미끄러질(slip)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앞바퀴가 서로 다른 각도로 꺾이는 대신 같은 회전축을 가져야 하는데, 이를 도와주는 장치가 바로 애커먼 조향장치입니다 [1].






애커먼 조향장치, Ackermann steering geometry


애커먼 조향장치를 이용해 동일한 회전축을 가진 앞바퀴 모습.

애커먼 조향장치(Ackermann steering geometry)는 위 그림처럼 바퀴 사이에 막대(또는 링크; link)가 3개 더 추가됩니다. 가운데 막대가 좌우로 움직이면 바퀴도 함께 움직이는데, 바퀴와 연결된 막대의 길이 및 각도에 따라 좌우 바퀴가 꺾이는 각도가 달라집니다. 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자동차의 네 바퀴가 항상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며 코너를 돌 수 있게 됩니다.


참고로 애커먼 조향장치는 오래전 개발된 간단한 기술이며, 현재 자동차에는 애커먼 조향장치의 원리를 응용함과 동시에 여러 운행 조건을 고려한 기구가 사용됩니다 [2]. 또한 위 그림을 보시면 뒷바퀴의 회전 반경이 앞바퀴의 회전 반경보다 작은데, 이는 후방주차가 전방주차보다 쉬운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3].






4절 링크, 4-bar linkage


이렇게 자동차 앞바퀴에 의외의 기술이 숨겨져 있는 걸 확인해보았습니다. 그런데 더 재미있는 사실은 애커먼 조향장치처럼 막대(또는 링크) 4개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기구학(mechanism) 관점에서는 4절 링크(4-bar linkage)라고 부릅니다*. 4절 링크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계에 적용됩니다.

4절 링크 종류. 오른쪽은 슬라이더-크랭크 메커니즘을 가진 4절 링크이다. [출처: 위키피디아]


예를 들어 평행사변형 메커니즘(parallelogram mechanism)을 갖는 4절 링크는 운동(motion) 중에도 막대의 방향이 유지됩니다. 이를 가장 잘 응용한 제품이 모니터암, 태블릿 거치대 등이죠**. 아래 그림과 같이 4절 링크 덕분에 모니터 또는 태블릿을 평행하게 움직이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이 평행하게 움직이게 만든 거치대.


또한 슬라이더-크랭크 메커니즘(slider-crank mechanism)의 4절 링크는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바꿔줍니다***. 대표적으로 엔진의 피스톤 운동, 자동차의 와이퍼가 이에 해당됩니다. 물론 왕복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자전거 페달링의 경우 다리의 왕복 운동이 페달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처럼요.

와이퍼 동작 원리(왼쪽) 및 와이퍼의 4절 링크 구조(오른쪽) [출처: 위키피디아, 4]


이처럼 4절 링크는 우리도 모르게 실생활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모두 공학자들이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을 낼 수 있는 기구를 설계해왔기 때문입니다.   


* 기구학은 기계공학, 로봇공학 등에 주로 응용된다.

** 예시로 카멜마운트의 모니터 거치대, 코끼리리빙의 태블릿 거치대가 있다.

*** 슬라이더-크랭크 메커니즘이 4절 링크인 이유는 아래 그림을 참고하면 된다. 왼쪽 그림(a)에서 곡선 슬롯(slot) 또는 가이드(guide)가 직선이 되면 크랭크(crank)처럼 된다. 즉, 슬라이더-크랭크 링크는 링크 4의 길이가 무한히 긴 4절 링크이다.

슬라이더-크랭크 메커니즘이 4절 링크인 이유 [4]






참, 운전 얘기가 나온 김에 좌회전-우회전할 때 중요한 장치가 있습니다. 바로 자동차 핸들 좌측에 있는 막대기인데요. 이것을 위아래로 움직이면 차의 깜빡이가 켜집니다. 차의 왼쪽 깜빡이가 켜진다면 왼쪽으로 가겠다는 신호이고, 오른쪽 깜빡이가 켜진다면 오른쪽으로 가겠다는 뜻입니다*. 운전할 때 보면 이 막대기를 안 쓰는 사람들도 보이더라고요. 안전운전을 위해 꼭 사용하도록 합시다! - EngNerd   


* 간혹 앞차의 깜빡이 신호를 보면 와달라는 뜻인 줄 알고 더 액셀을 밟는 극혐 운전자도 있다.



Copyright EngNerd. All rights reserved.



P.S. 해당 글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부 김윤영 석좌교수님*인터뷰 중 영감을 얻어 작성되었습니다. 김윤영 교수님의 연구 철학과 연구자들에게 전하는 조언이 담긴 인터뷰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김윤영 교수님은 최적설계, 초음파 메타물질 등을 연구 해오셨으며, 국제적으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21년 석좌교수로 임명되셨습니다.




참고자료   

1. Park, F. C., & Lynch, K. M. (2012). Introduction to Robotics, Mechanics, Planning, and Contro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2. 제동계 / 조향장치 / 휠 얼라인먼트 | 카라이프: https://www.carlife.net/bbs/board.php?bo_table=cl_4_1&wr_id=155

3. what-when-how: https://what-when-how.com/automobile/the-ackermann-principle-as-applied-to-steering-automobile/

4. Yi Zhang, Introduction to Mechanisms: https://www.cs.cmu.edu/~rapidproto/mechanisms/chpt5.html


그림 자료

- 4-bar linkage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Four-bar_linkage

- windscreen wiper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Windscreen_wiper#Geometry


콘텐츠 기획에 참고한 자료   

- Four-bar linkages | Dynamics: https://dynref.engr.illinois.edu/aml.html 

- Wiper motor, linkage: how it works, symptoms, problems, testing: https://www.samarins.com/glossary/wiper-motor.html





< EngNerd 추천글 >

자동차에 숨겨진 또 다른 기술들을 소개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와인을 따를 때 무조건 한 방울 흘릴 수밖에 없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