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and Mar 01. 2019

돋볼 수밖에  

 '돋보다'라는 말은 '도두보다'의 준말이다. '잘 봐준다', '좋게 봐주다'라는 뜻이다. 

 영화 돋보기의 돋보기는 그와는 다른 뜻이다. 흔히 확대해서 보는 그 '돋보기'다. 서로 다른 뜻을 가진 명사와 서술어가 같은 사람을 만났다. 


 그게 바로 나다. 무언가를 확대해서 보면 좋게 보인다. 사람이든 작품이든 애초에 호감이 가지 않는다면 굳이 크게 확대해서 볼 시도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돋보기를 활용해 영화를 보는 이유다. 


 난 영화에 관해 전문가도 아니고, 식견이 넓지도 않다. 그런 이유로 영화를 보고 생각할 때 돋보기를 쓴다. 이해의 범위, 도구를 줄여 단순화하는 것이다. 그렇게 한다고 한들 생각이 단순 명료해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확대한 만큼 보이는 것은 똑같고, 반대로 원래 크기였을 때 보였던 것들이 보이지 않기도 한다. 사진을 확대해서 볼 때처럼. 


 편견을 불러일으키는 위험을 무릅쓰고 영화에 돋보기를 대려 한다. 멀리서 본 사진은 꼭 필요하다. 그다음에는 각 부분을 크게 확대한 사진들이 필요할 것이다.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확대해서 본 것들도 어딘가에는 필요하겠지. 또 사실상 그렇게 밖에 못쓰기도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호감 가는 영화와 내 방식대로 친해지기 위한 것, 한마디로 '이기적 감상'에 관한 글이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