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3일
클라이페다 항구를 발트 해로부터 보호하듯 담을 만든 사구는 큐로니안(Curonian Spit)이라는 특이한 이름을 가졌다. 이곳에 거주하던 종족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언어나 문화가 내륙의 리투아니아와는 차이가 있었다고 한다. 독일권에 편입되면서 사구에 요새가 생겼고, 클라이페다가 산업과 무역으로 번창하면서 조성된 방풍림은 프러시아에서 애써 조성한 것이다. 해변의 모래 사구와 그 안쪽의 울창한 방풍림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면서 운전하는 내내 감탄사를 연발하게 하는 드라이브 코스였다. 겨울이라 4시경부터 석양이 시작되었고, 그간 리투아니아에서 특별한 자연경관을 보기 어려웠던 갈증을 완전히 해소시켜주었다.
클라이페다가 면한 발트해 인근은 이 지역 호박(amber)의 주 산지이기도 하다. 나무 진액이 굳어서 만들어졌다는 호박은 리투아니아의 주요 기념품인데, 물론 러시아나 폴란드에서도 많이 판다. 예전에는 정말 많아서 파도가 치면 굴러 들어오는 호박을 그냥 주웠다고 한다. 남쪽으로 외길을 따라 계속 운전하면 작은 휴양도시 니다(Nida)가 나타난다. 그 너머는 칼리닌그라드로 넘어가는 러시아 국경이고, 렌터카는 국경을 넘을 수 없다. 비수기라 적막에 가까운 니다는 그저 조용한 마을이었지만 여름이면 많은 관광객이 몰리는 휴양지다. 잔뜩 정박해 있는 요트와 문 닫은 색색의 상점들이 여름에 다시 오라고 말하는 듯했다. 분위기도 독일의 소도시와 비슷하다고 하는데, 첫눈에도 다른 리투아니아 도시들과는 판이하게 달랐다.
1박 2일 여행의 숙소로 잡은 곳은 클라이페다에서 북쪽으로 20분 정도 걸리는 팔란가였다. 유난히 호텔이 많은 팔란가는 무역항인 클라이페다와는 딴판으로 여름에 관광객으로 북적거리는 해변 휴양도시다. 라트비아의 유르말라(Jurmala) 해안이 수십 킬로미터의 모래 해변으로 유명한데, 팔란가도 긴 모래 해변이 유명하다. 줄곧 독일 영역이었던 클라이페다와 달리 대체로 리투아니아에 속했던 팔란가도 역사상 부침이 많았다. 19세기부터 이미 휴양지로 유명했고, 호박 생산도 유명했다. 소련 시절, 모든 인민에게 평등하게 여름휴가를 제공하기 위해서 대대적으로 해변을 개발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여름이 짧아 연중 영업 기간도 짧을 텐데, 그래도 여름 한철 사람들이 모일 때는 숙박도 꽤 비싸다고 한다. 비수기에 찾은 팔란가는 그야말로 고요했다. 11월에 부모님과 방문했을 때는 심지어 저녁나절에 눈이 쏟아져, 이미 한밤중처럼 깜깜해진 휴양지 산책은 일찌감치 포기하고 호텔에서 쉴 수밖에 없었다. 석양이 멋지다는 해변은 다음날 아침에 구경해야 했다. 그 다음해 5월 초에 동생이 왔을 때 다시 방문하여 그 유명한 팔란가의 석양을 제대로 구경할 수 있었다. 5월 초도 아직 추워서 여름은커녕 봄 같지도 않았지만, 서향의 긴 모래 해변은 시시각각 변하는 석양빛으로 다양한 색깔을 보여주었다.
바다를 향해 긴 목조 부두(pier)를 만들어 놓아서 천천히 걸으며 양쪽으로 길게 뻗은 끝없는 모래 해변을 조망할 수 있다. 석양은 해 지기 전후로 꽤 오래 지속된다. 수평선이 좌우로 길게 뚜렷이 보이는 해안에서 바다 위로 천천히 떨어져 가라앉는 해를 볼 수 있었다. 모래 해변 안쪽으로 방풍림이 잘 조성되어 있어 숲 산책로도 길게 즐길 수 있다. 목조 부두를 따라 아저씨들이 줄지어 서서 긴 낚싯대로 먹는 것인지 파는 것인지 아니면 그냥 재미 삼아 잡는 것인지 모를 생선들을 한 통씩 가득 잡고 있었다. 경제적인 목적도 있고 은퇴 후의 소일거리가 그것밖에 없는 이유도 있다. 카우나스나 빌뉴스에도 강변에 항상 낚시하는 아저씨들이 있다. 대부분 나이 지긋하지만 젊은 사람도 꽤 있다. 별로 상업성은 없어 보이는 물고기들인데, 종류에 따라 집에서 구워 먹기도 하고 팔기도 한다고 한다. 천천히 석양을 즐기는 사람들, 석양은 매일 본다는 듯 별 관심 없이 낚시에 열중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또 한국의 바쁜 일상이 떠올랐다. 여유로운 삶은 왜 여기서만 가능한 것처럼 보이는지, 한국은 정말 불가능한 것인지, 나만 이렇게 즐겨도 되는지 괜한 죄책감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