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선희 Apr 10. 2024

귀찮으면 안 되는데...

주말 낮, 늦은 점심을 시켜 먹고 침대에 늘어져 있는데, 엄마가 반찬을 가져가라고 전화를 했다. 순간 너무나 귀찮다는 생각을 했다. 우리 엄마는 조미료를 사랑한다. 그래서 식당에서 먹는 밥처럼 꽤 맛있다. 식당에서 먹는 밥인데, 돈을 안 내고 공짜로 먹는 기분이 든달까. 30년 넘게 그 맛에 지속적으로 길들여졌으니, 내가 우리 엄마 밥을 싫어할 수가 없다. 더군다나 우리 엄마는 우리 집에서 약 20분 거리에 살고, 엄마 집으로 가는 루트는 차가 막히는 법이 없다. 내비를 켜지 않고도 아주 쉽게 슝 갔다 올 수 있는 거리다. 여기에 하나 더 보태자면, 우리 엄마는 반찬을 싸서, 쇼핑백에 담아두기까지 한다. 바쁜 딸이 반찬만 쏙 가져갈 수 있게 하려는 의도이다. 즉 엄마는 나의 시간을 많이 뺏지도 않는다는 거다.


근데, 난 왜 귀찮았을까. 엄마와 통화할 때는 ‘야호’까지 외치며 이따 저녁에 가겠다고 말했었다. 귀찮았는데, ‘야호’를 외친 난, 이중적이고 위선적인 인간일 걸까. 아니면 엄마가 섭섭해 할 것을 걱정해 선의의 거짓말을 한 걸까. 내 이름대로 ‘선희의 선의의 거짓말’을 한 셈일까. 그런데 마침 반찬이 똑 떨어져 저녁에 뭐 먹어야 하나 생각하던 찰나에, 받게 된 엄마의 전화가 어느 정도는 ‘야호’이기도 했으니 완전 거짓말을 한 것 같지도 않다.


‘귀찮다’라는 말은 ‘귀하지 않다’에서부터 온 말이다. ’하다‘라는 말 앞에 받침이 없거나 ㄴ,ㄹ,ㅁ,ㅇ과 같은 울림소리가 오면 ’하다‘에서 ’ㅎ‘만 남아 뒤에 오는 말과 축약 현상을 일으킨다. 자음에서 축약이 일어나면 ’ㅋ,ㅌ,ㅍ,ㅊ‘과 같은 거센소리가 만들어진다. 그래서 ’귀하지 않다‘가 ’귀치 않다‘가 되고, 다시 또 줄어들어 ’귀찮다‘가 되었다. 엄마의 전화를 귀찮아 한 것이, 엄마를 귀하게 여기지 않은 것 같아 또 맘이 안 좋아졌다.


그러나 사실 나는, 엄마가 시간을 내서 반찬을 하고, 내 시간 뺏지 않으려고 맘 썼을 그 시간이 불편했던 것 같다. 또 엄마를 만나러 가서 엄마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게 나에게는 마음을 졸이는 시간이어서 그 시간을 되도록 만들고 싶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엄마가 늙어갈수록 식사를 잘 하셨는지 여쭙는 것만으로는 안 되었다. 소화까지 잘되었는지 확인해야 하는 상황들이 생겼다. 엄마가 연세가 드실수록 소화 능력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이다. 한번은 나와 같이 실컷 잘 먹은 음식을 소화가 안 되었는지 다 게워내고 얼굴에 피가 쏠려 열꽃이 핀 걸 보는데 너무 속상했었다. 엄마의 나이듦이, 내가 나이드는 것보다 더 싫었다. 최대한 천천히 만나고 싶다, 기력이 쇠한 엄마의 모습을.


내 마음은 그런 거였다. 엄마를, 엄마의 반찬을, 엄마와의 시간을 귀하지 않게 여긴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귀찮다’는 말로 내 상태를 설명하지 말아야겠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섣불리 귀찮다고 말해서 상대방에게 상처 주지 말아야지. 귀하게 여기는 만큼 그 사람을 위해 기꺼이 시간과 정성을 쓰게 될 테니, 내가 그대를 귀하게 여기고 있다고 맘을 보여 주고 싶다면 실수로라도 함께하는 시간들에 ‘귀찮다’라는 말은 하지 않을 것이다. 언제든 정성을 다해 ‘정답’게 대해야지, 정답은 거기에 있다.

작가의 이전글 에워싸고 에움길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