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sb May 05. 2023

요가수트라 1.19~22 성공은 내가 노력한 만큼이다

▶ Sutra I.20 수행자가 자기안위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념과, 확신과, 활력(정진)과, 계율(기억)을 지키고 

                    강도 높은 명상과 함께 수련해야 한다. 

▶ Sutra I.21 진실하고 열심히 노력하는 자에게 성공이 주어질 것이다. 

▶ Sutra I.22 성공은 노력하는 만큼 주어질 것이다.



  내가 꾸준한 운동을 못하는 이유를 생각해 봤을때 무엇이 문제인가? 요가는 맨손으로 어디서나 자유롭게 할 수 있어서 참 좋은 운동이다. 그런데 매일 꾸준히 실천하기가 어렵다. 어느날은 나도 모르는 동기가 불쑥 올라와 열심히 하다가도 어떤 날은 매트위에 올라가는 조차도 어렵다. 동기가 불쑥 올라오는 날은 얼마 되지 않고, 오히려 매트위에 올라가는 것 조차 어려운 날들이 대부분이다. 


  원래 침대도 그리 좋아하지 않고해서 침대를 치우고 대신 바닥에 이불을 깔았다. 자기 전 요가를 조금이라도 할 수 있을 것 같은 기대감이었다. 그래도 역시나 사람의 자기안위 본능을 이기기는 어렵다. 그래도 조금 진전한 듯 하다. 이불속에서 가끔은 고양이자세나 뱀자세를 하기 때문이다. 


  나는 요가인들을 모아놓고 줄을 세워보면 거의 맨 끝자락인걸 알고있다. 오랫동안 수련한 사람들에 비하면 나는 걸음마 뗀 수준이다. 나의 문제점을 스스로 진단해 본다면 나는 자기 안위본능 보다는 마음이 다른 곳에 팔려있는 경우가 많아서, 마음의 여유가 없다. 마음이 어느정도 비어있어야  다른걸 할 수 있는데, 나는 내가 해결 못한 문제가 있으면 마음이 비워지는게 힘들다. 한 곳에 깊게 파고드는건 좋은데, 이게 너무 집착이 강해서 다른 일상을 하는데 장애물이 된다. 


  요가수트라에서는 이런 점을 미리 알고 방안을 제시한다. 요가를 꾸준히 하지 못하는 이유가 자기안위 본능, 다른 곳에 관심이 쏠려있기도 하고, 처음 결심이 유지 되지 못하기도 하고 그렇다. 게다가 요가를 하다보면 집중이 안되서, 얼마 하지 않고 다른 생각이 나서 그 일을 해결하러 가고 그런일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요가수트라는 말한다. 이런것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단 신념과 자기 확신으로 동기가 충만해야 한다. 수행에 들어가면 활력을 가지고 집중력있게, 옳다고 알려진 방법에 따라 하라고 말한다. 여기에 더해 강도 높은 명상까지 하기를 권한다. 실제로 요가를 하면 명상이 잘되고 명상을 하면 요가가 잘된다. 정신수행인 명상만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에 반박해 몸수련이 따라야 한다는 일종의 절충안이다. 


  사람은 나도 모르게 타성에 젖어, 시간만 떼우면 뭔가 잘 되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감이 오르게된다. 그런 인간적인 본능을 극복하는 과정이 요가의 길이다. 


  "괜찬아 다 잘될거야"에 대한 경각심을 성경의 포도원의 비유에서 일깨우고 있다. 


<포도원의 품꾼들> 

천국은 마치 품꾼을 얻어 포도원에 들여보내려고 이른 아침에 나간 집 주인과 같으니

그가 하루 한 데나리온씩 품꾼들과 약속하여 포도원에 들여보내고

또 제삼시에 나가 보니 장터에 놀고 서 있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제육시와 제구시에 또 나가 그와 같이 하고

제십일시에도 나가 보니 서 있는 사람들이 또 있는지라 

이르되 너희는 어찌하여 종일토록 놀고 여기 서 있느냐

저물매 포도원 주인이 청지기에게 이르되 품꾼들을 불러 나중 온 자로부터 시작하여 먼저 온 자까지 삯을 주라 하니

제십일시에 온 자들이 와서 한 데나리온씩을 받거늘. 먼저 온 자들이 와서 더 받을 줄 알았더니 그들도 한 데나리온씩 받은지라. 받은 후 집 주인을 원망하여 이르되

"나중 온 이 사람들은 한 시간밖에 일하지 아니하였거늘 그들을 종일 수고하며 더위를 견딘 우리와 같게 하였나이다"

주인이 그 중의 한 사람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친구여 내가 네게 잘못한 것이 없노라 네가 나와 한 데나리온의 약속을 하지 아니하였느냐. 이와 같이 나중 된 자로서 먼저 되고 먼저 된 자로서 나중 되리라"

(마태 20:1~16)



▶ Sutra I.20

शर्द्ावीय र्स्मृितसमा धपर्ज्ञापूव र्क इतरेषाम् ॥२० ॥

śraddhā-vīrya-smr ti samādhi-prajñā-pūrvaka itareṣām  20 

One must practise with trust, confidence, vigour, keen memory and strong power of meditation to overcome complacency.

▶ Sutra I.21

तीवर्सं व ेगानामास ः ॥२१ ॥

tīvra-saṁvegānām-āsannaḥ  21 

Success is nearest to those who’s efforts are intense and sincere.

▶ Sutra I.22

मृदुमध्या धमातर्त्वात् ततोऽिप िवश ेषः ॥२२ ॥

mr du-madhya-adhimātratvāt-tato’pi viśeṣaḥ  22 

Success also depends on the amount of effort a sadhaka practices.

이전 13화 보이저 편지를 받은 미래의 석기인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