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사 Y Mar 30. 2023

방학 동안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예비 고2가 해야 할 공부

 예비 고2가 되는 경우 슬슬 학생들의 성적 추이가 보인다. 어떤 학생은 모의고사 성적은 높은데 내신 성적이 지나치게 떨어진다거나, 어떤 학생은 특정 과목이 부족하다든가 하는 것 말이다. 


 하지만 예비 고2가 아직 내신을 포기하기에는 이르다. 아직은 반전의 여지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겨울방학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2학년 성적을 뒤집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바로 '탐구 과목' 때문이다.


겨울방학


1)국어

 

 이 시기의 고2들은 성적에 따라 해야 하는 국어 공부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상위권 학생의 경우 수능 '독서'를 공부해야 하고 중상위권부터 하위권은 2학년 1학기 내신 과목에 맞게 공부해야 한다.


 예컨대, 2학년 1학기가 '문학'인 경우는 문학 공부를, '언어와 매체'인 경우는 문법 공부를, '독서'인 경우에는 독서 영역을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먼저 '문학'인 경우는 자기 학교 교과서의 문학 작품을 가장 먼저 학습하는 것이 좋다. 공부하는 방법 자체는 1학년 때 이미 습득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내신 진도를 선행하여 공부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2학년 문학은 1학년 때와 달리 '수능 문학'에도 능통해야 한다.


 2학년 문학부터는 다수의 외부 지문이 출제되고 문제의 출제 방식도 내신형보다는 수능형으로 출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기 학교 내신 작품에 대한 학습이 끝나면 그 작품이 출제된 모의고사를 찾아 풀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간혹 문학 교과서에는 있지만 모의고사에 출제되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는 그 작품은 내신형 문제로 풀어도 괜찮다. 어차피 학교선생님도 그 작품과 관련한 모의고사 문제가 없기 때문에 서로 공평한 상황이니 말이다.


 여기까지 끝났으면 바로 자기 학교의 기출문제를 모두 풀어두는 것이 좋다. 2학년 때는 '영어'의 시험 범위가 특히 넓어져 시험 기간에 국어를 공부할 시간이 없다. 그러므로 방학 때 '문학'은 마치 중간고사를 앞둔 것처럼 공부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언어와 매체'인 경우 매체 파트를 제외하고 '문법'을 처음부터 끝가지 완벽하게 학습하는 것이 좋다. 1학년 때 문법의 경우는 기본적인 것만 알면 쉽게 풀 수 있거나 고난도 문제도 출제되는 방식이 대개 일정하였지만, 언어와 매체 과목에서의 문법은 정말 난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1월달에 '문법' 전범위를 학습한 후에 2월에는 수능 및 모의고사 문법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한다. 학교 내신형 문제로 아무리 풀어봤자, '언어와 매체'에서 사용되는 '출제 트릭'은 대부분 수능과 모의고사에서 따온다. 


 또한 'ebs 수능특강 언어와 매체'를 올해 것뿐만 아니라 작년 수능특강, 수능완성까지 풀어버리는 것이 좋다. 학교 선생님들의 경우 대부분 ebs수능특강을 풀어 보며 아무래도 손에 익은 것은 올해 수능특강보다는 작년 수능특강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년과 올해 수능특강을 풀어둔다면 내신에서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서'인 경우에는 사실 국어공부를 다소 줄이는 것이 좋다. 앞서 밝혔듯이 상위권이 아닌 다음에야 지금 '독서영역'을 공부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자신의 내신 과목이 독서인 경우는 일주일에 3지문 정도를 완벽하게 분석하고 문제를 푸는 정도로만 공부해 두고 내신 기간에 진도가 정해지면 그 지문을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수학


 수학의 경우도 상위권과 그 이하의 공부방법이 다르다. 상위권의 경우는 수1과 수2의 진도를 함께 나가는 것이 좋다. 아무래도 상대적으로 짧은 여름 방학에 수2 진도를 나가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1과 수2를 동시에 나감으로써 2학기를 대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수1과 수2는 대부분 독립적이므로 함께 진도를 나가는 것에 인지적인 심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부담이 적기도 하다.


 하지만 중위권 이하의 경우는 이야기가 조금 다르다. 2학년 1학기 중간고사 범위는 대체로 '지수,로그~삼각함수'까지인 경우가 많다. 특히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경우는 킬러 문제로 자주 출제되고는 한다. 이 부분을 완벽하게 학습하지 않고서는 2학년 1학기 중간고사부터 고배를 마시기 쉽다.


 이런 학생들의 경우는 수1은 전체 진도를 나가되, '지수~삼각함수'까지는 고난도 문제와 함께 나가는 것이 좋다. 특히 지수로그함수의 활용 파트는 모의고사 기출 문제로 공부함으로써 수학적 능력을 확장시키고 내신 기간에는 일품이나 블랙라벨 등의 교재로 내신형 고난도 문제를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위권 이하의 학생들에게 이러한 공부방법을 추천하는 이유는, 우선 중간고사에서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게 된다면 수학을 쉽게 포기해 버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겨울방학 동안에 상위권 학생들과 벌어진 수학적 능력의 격차를 좁히는 것이 필요하다. 


3)영어


 마찬가지로 2학년 때에도 방학 때는 영어의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다. 결국 내신 영어는 통으로 암기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자신의 영어 실력이 매우 출중한 것이 아닌 이상, 결국 시간에 비례하는 점수를 받게 된다. 따라서 지금은 내신 기간에 영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른 과목을 완벽하게 끝내는 것이 더 필요하다.


4)탐구 과목


4-1)과학 탐구

4-1-1)화학1


 화학의 경우 중학교 3학년 때에 선행을 해둔 것이 아니라면, 통합과학 때 이미 화학의 중요 개념을 배웠을 것이다. 특히 화학1 1단원의 경우 통합과학 화학과 상당히 겹치는 부분이 많아 학습하는 데에 큰 부담이 없지만 2단원부터는 그 내용이 심화적이고 문제도 어려워져 학생들이 상당히 고전하고는 한다.


 그러므로 겨울 방학 때는 욕심부리지 말고 화학1 1~2단원까지만 중점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좋다. 1월에는 개념강의를 듣고 2월에는 문제 풀이 강의와 모의고사 기출문제를 풀고난 후, 3월이 되면 EBS수능특강을 올해 것과 작년 것을 함께 풀어내려가고 4월에는 학교 기출 문제를 푸는 것으로 완성하는 게 가장 이상적이다.

 


4-1-2)물리1

 

 물리1의 경우 통합과학 시간에 배웠던 내용이 1단원에 걸쳐서 출제되지만, 문제의 수준이 급격하게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겨울방학 동안에 물리1은 1단원까지만 나가되, 개념 강의와 문제 풀이를 함께 진행해 가는 것이 좋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수학적 능력의 부족으로 문제 풀이에 상당히 애를 먹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1단원 전체를 나가려 하기보다는 1단원 열역학 법칙까지만 공부해 두어도 2학년 1학기를 보내는 데에는 크게 무리가 없다.


 물리1의 경우 개념은 쉬우나 문제가 상당히 어려우므로, 반드시 문제풀이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해 실력을 키워두어야 한다. 


4-1-3)생물1

 

 일반적으로 생물 1,2단원의 경우는 단순 암기인 경우가 많아 큰 시간을 투자하는 것은 다소 시간 낭비이다. 큰 시간을 투자했을 때의 보상이 적기 때문이다. 생물1의 경우 문과학생들도 듣는 경우가 많고 1학기에 해당하는 1,2단원은 암기 위주이기 때문에 내용을 정확하게 암기를 할 수만 있다면 문과건 이과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생물1의 경우 방학 때는 개념 강의와 개념 복습 위주로 공부를 진행하여야 한다. 생물 지식은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괜히 진도만 무턱대고 나갔다가는 정작 중간고사 때 아무것도 기억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겨울에는 복습 위주로 진행하고 3~4월에 문제풀이를 진행하여 기억을 장기간 유지할 필요가 있다.


4-1-4)지구과학1


 지구과학의 경우 1,2단원이 암기 위주이기는 하나 1단원 복각의 경우처럼 단순 암기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도 많이 포진되어 있다. 그러므로 1월에는 1단원까지 개념 강의를 듣고 복습하며 2월에는 1단원 문제풀이를 진행하면서 2단원 개념 강의를 듣는 것이 좋다.


4-2)사회 탐구


 사회 탐구 과목들은 상대적으로 강의 내용이 쉽지만 암기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과목 별 부담이 적어 과학탐구보다는 공부하기가 수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사회탐구는 일반적으로 1등급 컷트라인이 상당히 높게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에 사회탐구를 완벽하게 해두지 않으면 기껏해야 한 문제 때문에 등급이 갈릴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겨울 방학 동안에 반드시 '기출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야 한다. 사회탐구 과목들은 일반적으로 확실한 암기로 4등급까지 수월하게 딸 수 있는 과목이다. 하지만 그 위로 올라가기 위해서는 '문제 푸는 스킬'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따라 겨울 방학 동안에는 개념 강의와 단순 문제풀이에 더불어 반드시 '기출문제 완전 분석'에 들어가야 한다. 우선 1월에는 매일 사회탐구 세 과목을 고르게 분배하고 개념 강의와 복습을 진행한 후, 2월부터는 기출문제 풀이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



▶여름방학


 여름 방학의 경우는 한 달여의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이것저것 투자했다가는 결국 아무것도 진행하지 못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한 달 동안의 여름방학은 '컨셉'을 잡고 공부하는 것이 좋다.


1)국어, 영어, 사회탐구


 2학기 국어가 '언어와 매체'가 아닌 경우, 여름 방학에 국어, 영어, 사회탐구를 컨셉으로 잡는 것은 그리 추천할 만한 일이 못 된다. 짧은 방학이 지난 후 엄청난 양의 수학, 탐구 과목의 시험범위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언어와 매체가 시험 범위인 경우에는, 반드시 문법을 완벽하게 잡고 가는 것이 중요하다.


2)수학

 

 필자는 이 시기에 수학 집중 수업을 추천하는 편이다. 수2 과목의 경우 적분 파트에 들어서면 미분까지의 내용을 포함하여 출제되기 때문에 반드시 수2 전체에 대한 선행이 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짧은 여름 방학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적분을 마무리 하지 못하고 여름방학을 끝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한 달 동안은 수학 과목에 집중하여 시간을 보내는 것이 좋다. 시간이 난다면 수1의 내용을 복습 및 정리를 하는 데에 시간을 투자해도 좋다. 결국 수능에는 수1과 수2도 출제되기 때문이다. 


 그럴 시간이 없다면 반드시 수2 전체를 마무리 하겠다는 마음으로 공부를 진행해 나가는 것이 좋다. 여기에 더하여 고난도 문제와 모의고사 기출 문제까지 공부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3)과학탐구


 과학 탐구의 경우 2학기에 해당하는 물리, 지구과학 파트는 1학기에 비해 비교적 쉽게 출제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지구과학은 이야기가 다를 수 있으나 화학1과 생명과학1에 비한다면 그 난도가 낮다.


 화학1 후반부의 경우 중화작용이 상당히 어렵게 출제된다. 이 부분을 극복하지 못해서는 절대로 2학기 때 고득점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기출문제를 풀다보면 이 부분에 해당하는 문제의 풀이과정만 A4 한 페이지를 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그만큼 화학1 후반부는 상당히 어려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학생들이 2학기 화학을 힘들어하는 이유가 된다. 그러므로 화학1을 수강한 학생은 반드시 화학1 집중 공부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생명과학1의 경우도 4단원 유전 파트는 수많은 학생들이 생명과학을 포기하게 만드는 단원이다. 심한 문제는 경우의 수가 20가지가 넘는 경우도 있을 만큼 그 난도가 괴랄하다. 그러므로 생명과학1을 수강한 학생은 여름방학에 반드시 생명과학1 집중 공부 시간을 가져야만 한다. 




이전 09화 방학 동안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