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2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초콜릿, 카카오 농업의 지속 가능성 1

유기농 카카오 재배 

by 진지한 초콜릿 Jan 22. 2025

유기농 카카오 재배


유기농 농사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회/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재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카카오 재배에서 유기농 농사란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또한 재배업 및 관련 종사자들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고 좋은 품질의 카카오를 지속적으로 생산, 재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기농 재배를 위해서는 합성 살충제와 합성 비료 등의 사용을 없애고 농장에서 자연적으로 나온 천연 비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 방식은 농장 자체에서 생산된 천연 비료를 사용해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농장 자체의 자급자족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유기농 재배의 또 다른 방법으로 혼농임업(Agroforestry)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종류가 다른 식물들을 같은 공간에서 키워 영양분을 주고 받으며 환경의 균형을 맞춰 서로 돕고 살아남게 하는 방식이다.


동식물군의 다양성은 극심한 날씨에서 작물을 보호해주기도 하고 토양의 영양분을 풍부하게 하기도 하기 때문에 단일 작물만 재배하는 것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출처: jenni-miska-dOANMz2N2n0-unsplash출처: jenni-miska-dOANMz2N2n0-unsplash



카카오 유기농 재배의 장점


토양의 비옥함 유지

유기농 재배 방식은 토양을 더 건강하고 숨쉬기 좋은 환경으로 만든다.

또한 과하지 않지만 충분한 수준의 생태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다.

영양분은 건강한 토양 속에서 쉽게 이리저리 돌아다닐 수 있기 때문에 작물에 도달하기가 더 수월하다.

예를 들어 콩과 작물은 카카오 나무에 상당한 수준의 질소를 제공하기도 한다.

반면에 합성 비료는 단기간에 재배률을 높일 순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토양을 망가뜨린다.



카카오 병충해와 질병의 확산 감소

유기농 재배 방식은 농작물 질병에 관련된 대부분의 식물 화학품 문제를 거의 줄일 수 있다. 

질병에 감염된 재배물은 제거하고 적절 습도를 유지하며 빗물이 잘 배수되고 고여있지 않도록 계속 관리해준다.

덕분에 카카오의 유기농 재배는 이전에 카카오 나무가 쉽게 감염되던 질병들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준다.

카카오 나무가 감염되는 질병에는 Moniliasis, Witche's broom, black pod 등이 있다.




삼림벌채 하지 않기

유기농 재배는 토양의 질을 좋게 만들기 때문에 원래 농작을 하던 토양이 상하고 벌목을 해서 다음 작물 재배로 작업을 옮겨야 할 필요가 없다.

늙어 버린 카카오 나무는 영양분 공급으로 재활시키거나 그 자리에 새로 어린 나무를 심어 대체하여 더 많은 카카오 열매를 수확할 수 있다. 

유기농 재배 방식에서는 농작물 주변의 삼림을 깎아내어 농경지를 넓히는 방법 대신 원래 그 자리에 있는 작물 자체의 활성화를 돋구어 농업을 최적화 하는데 집중한다.



출처: tetiana-bykovets-wcH1vEjwmL8-unsplash출처: tetiana-bykovets-wcH1vEjwmL8-unsplash



유기농 퇴비의 업사이클링

화학 비료를 사용하는 대신 유기농 비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농부들은 직접 유기농 퇴비를 만드는 것에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유기농 퇴비는 자연스레 토양 주변에서 발생하는 비료들을 모아 만드는데 보통 동물의 똥, 말라 버린 카카오 열매 껍데기, 지렁이 퇴비(vermicompost), 석탄, 나뭇재 등이 이용된다. 이렇게 버려진 자연물들로 유기농 퇴비를 만드는 업사이클링을 할 수 있다.



출처: rodrigo-flores-opno2uWx0iE-unsplash출처: rodrigo-flores-opno2uWx0iE-unsplash




유기농 재배 카카오의 높은 수요와 가격

유기농 재배를 한다는 인증 마크를 받아야 정말 유기농 재배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카카오 재배 농부들에게 이런 유기농 인증 마크를 수령하게 하는 것은 꽤 부담이 되기도 한다.

제대로 된 유기농 인증 마크는 비용도 비싸고 복잡한 서류 작성도 해야하며, 새로운 도구와 교육된 직원들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여러 카카오 재배자들은 원래부터 자연스럽게 유기농 방식으로 재배를 하고 있었으나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기도 한다.

때문에 이미 유기농 재배 방식으로 카카오 농작을 하는 농업자들이라고 모두 인증 마크를 받은 게 아닌 상황이 된다.  (이 점은 참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화학 비료를 사용하는건 단기적으로는 작물을 빠르게 재배할 수 있을 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된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해보면 알 수 있음)

게다가 유기농 제품은 소비자가가 조금 더 높게 책정되면서도 꾸준히 수요가 높기 때문에 시장 안정성도 있다.

수요가 있다는 것은 생산자들에게도 공급의 필요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더 많은 카카오 재배 농부들이 유기농 재배 방식으로 카카오 재배를 할 수 있게 장려한다.

소비자는 질 좋고 건강한 카카오로 만든 초콜릿을 구매할 수 있고 농부와 판매자에게도 이익이 남는 좋은 순환 구조가 형성된다.





(참고: https://www.thechocolatejournalist.com/blog/basics-organic-cacao-farming)



매거진의 이전글 다크 초콜릿 vs 밀크 초콜릿 vs 화이트 초콜릿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