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대경 Oct 24. 2020

너, 참 특이해.라고 하며 말문을 막을 때.

그쵸! 저도 제가 특별한 거 알아요.


 대화를 하는데 상대가 “왜 그렇게 생각해" , "너, 참 특이해"라고 하면 기분이 좋지 않다. 본인과 생각이 다르다고 이상한 사람은 아니다. 이런 말을 듣게 되면 ‘내가 이상한 사람인 건가’라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반대로 상대가 특이한 사람일 수 있다. 상대가 특이하다고 하는 것은 상대방은 당신의 생각을 상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대의 말을 비난으로 들어서 상처가 되지 않게 상대방이 생각이 부족하다 하자. 상대의 말에 신경을 쓰다 보면 ‘내가 오버 ㅎ라며 생각한 건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되면 본인이 상처를 받기도 한다. 그런 상처를 당신 자신에게 주지 않도록 하자.   

  

 지인들과 대화하다가 ‘너 참 특이해, 오차원이야’라고 하면 순간 멈칫한다. 상대의 말이 결코 좋은 뜻으로 말하지 않았음을 직감으로 안다. ‘오차원’이라는 말을 듣는 순간 소심해져서  본인의 의견을 내는 것이 두렵다. 상대의 말을 듣고 소심해지면 결국 당신은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지 않게 된다. 당신의 개성은 당신 꺼 인데 상대의 말 한마디에 본인이 표현을 못하면 손해다. 결국 다른 사람과의 대화를 하게 되더라도 눈치를 보게 된다. 또 다른 상대에게 ‘특이해, 오차원이야’ 이런 말을 듣는 것이 두려워진다.. 이렇듯 당신이 ‘특이하고, 오차원’스러우면 더 장점이라고 생각하자. 차라리 ‘맞아, 내가 좀 상상력이 뛰어나, 그래서 오차원이라는 소리를 들어’라고 하자.     

 당신이 두려워하고 신경 쓰이는 부분을 인정하고 들어가면 상대는 가십의 흥미를 잃게 된다. 본인들이 가십거리를 만들어서 하대하고 싶은 데 생각한 대로 안 되는 거다. 그러면 공격하고 싶은 마음이 사라지게 된다. 이렇게 상대가 본인의 주관적인 잣대로 평가하고 말하는 사람들에게는 즉시 인정하자. 다른 방법으로는 상대를 한 걸음 뒤에서 생각해보자. ‘아, 저렇게 받아들이고 생각할 수도 있구나.라고 하자. 그렇게 생각하다 보면 당신의 특이한 생각을 ‘특별한’ 생각으로 만드는 것이다. 주변에서 ‘오차원’이라고 하면 당신이 바로 특별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더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자..     


시 윤맘: ‘진서 엄마, 진서 방학 때 특강 하는 학원 보내지 않을래. 선행을 시켜놓으면 좋아.

진서 맘: ‘아, 저는 방학 때까지 아이들을 학원 보내고 싶지 않아요. 집에서 실컷 놀게 하려고.

시 윤맘: ‘방학 때 더 공부를 해 놓아야, 다음 학기 때 힘들지 않은데. 왜 그렇게 하는 거야’.

진서 맘: ‘아이들도 방학 때 쉬고 싶고, 여행도 가고 해서 학원 쉬려고요'.

시 윤맘: ‘쉬는 것도 중요하고, 여행도 중요한데 아이들의 미래를 생각해야지 엄마가 그러면 방치하는 방목이잖아. 특이한 거는 알았지만. 참 오차원스럽네. 아무튼 알겠어. 생각해서 합류시키려고 했는데

진서 맘: ‘생각해서 말해줬는데 죄송해요. 저희 아이들은 방학 때 학원 다니는 거 싫어하기도 해서 그래요'.

시 윤맘: ‘아이들은 당연히 학원 가는 거 싫어하지, 그래도 그렇게 방치하면 안 되는데'.   

 

 이렇듯 본인의 선택이 최고라도 되는 듯 주변에 강요한다. 강요한 의견이 받아들이지 않으면 어떻게 그렇게 ‘방치’하냐는 화를 내며 핀잔을 준다. 각자 삶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인정하면 좋으련만 강요하는 말을 한다. 강요하는 말을 듣지 않으면 악담을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들의 말은 그냥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러서 버리자. 상대의 말이 당신 인생에 맞을 상황도 아니고 다 다른 삶이기 때문이다. 상대방의 악담은 유명한 영화 대사처럼 속으로 말하자. ‘너나 잘하세요’ 이 말을 하면 속으로 시원해진다.   

  

 미국 다트머스 대학의 주디스 화이트와 연구팀은 인간관계에 대한 연구를 했다. 연구팀은 ‘수평적 적대감’이란 연구 결과를 발효했다. ‘수평적 적대감이란 우리는 본능적으로 기피하는 대상을 알 수 있다고 한다. 연구팀은 실험에서 두 집단을 만들었다.’ 비건 ‘과 ’ 베지테리언‘두 집단이다. 비건 집단이란 동물성 식품은 그 어떤 것도 먹지 않는다. 베지테리언 집단은 동물성 식품을 먹되 선택적으로 먹는다. 실험자들에게 두 집단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묻는다.  

   

 흥미롭게도 ‘비건 집단’에서 동물성 식품을 선택적으로 먹는 사람에게 적대적이다.  ‘베지테리언 집단’을 일반인보다 더 적대적이었다. ‘채식을 하려면 완벽하게 해야지, 어중간하게 하는 것은 하지 않느니만 못합니다. 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보다 조금이라도 닮은 사람에게 더 적대적으로 냉정해진다. 심리학자 기요타 요키는 <마음의 수수께끼를 풀어드립니다>에서 이렇게 말한다. “누구나 세상에 태어나면 ‘나답게’ 살고 싶어 합니다. 다른 누구와도 다른 나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싶은 것이죠. 이는 자신의 ‘수평적 적대감’즉 본인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방어기제인 것이다.   

  

 방어기제란 도스 트리아의 아동정신분석학자 안나 프로이트가 아버지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업적을 정리하고 구체화하여 제시한 자아 적응 이론, 두렵거나 불쾌한 정황이나 욕구불만에 직면하였을 때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취하는 적응 행위, 도피, 억압, 동일시, 보상, 투사 따위가 있다. 상대방에게 공격받고 마음에 상처를 입었다면 잊어버리려고 노력하자. 상대를 자꾸 비난하는 사람으로 인해 힘이 들게 되면 본인의 주관적인 생각을 강요하는 사람 때문에 짜증이 난다 그럴 때는. ‘내가 왜 자기 세계에 빠진 사람 때문에 짜증을 내면서 이렇게 신경 쓰지’라고 하자.    


희아: ‘우리 여행 가는데, 장 보러 같이 가자’.

선미: ‘그래, 근데 난 동물성 식품은 안 먹는데. 채소 위주로 사자, 회도 사서 먹자’.

희아: ‘나도 동물성 식품 안 먹으려고 노력 중인데, 그래도 햄, 치즈는 먹어도 되지 않나'.

선미: ‘야, 햄, 치즈는 더 안 먹어야지. 동물성 식품 중 안 먹어야 되는 것이 그건지 모르냐'멋으로 채식주의자들이 많다니까(비아냥 거리며 말한다)..

희아: ‘고기 안 먹으니까, 힘이 안 나서 치즈랑, 햄을 먹어야 힘이 나는 것 같아서'.

선미: ‘그건 핑계야, 고기 대신 두부를 먹으면 되지’.

희아: ‘두부도 당연히 먹지 그런데 두부는 힘 안 난다'.  

  

 전문가인양 상대의 외적인 모습을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럴 때는 대답을 할 때 당신의 생각을 정당화해서 이해시키려고 하지 말자. 어차피 상대방은 당신의 의견에 찬성할 생각이 없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다. 마음이 닫혀서 당신의 모습을 이상하게 평가하는 사람이다. 서로 다른 인격체이기 때문에 상대가 저렇게 생각하는 거구나 하자. ‘넌, 참 옷 입는 게 레트로스러워’, ‘넌 화장이 패왕별희야’, ‘머리가 사자인 줄’ 비꼬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에게 답을 최대한 짧게 단답으로 하자. 상대에게 의견도 묻지 않는 것이 당신의 정신건강에 좋다. 의견을 묻는 순간 상대는 기회를 잡았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당신에게 상처를 준다.  

  

직장인 1: ‘어머, 오늘 옷 예쁘다. 백화점에서 산거야'.

직장인 2: ‘응, 백화점 세일할 때 샀는데, 좋아 보이지 컬러도 예쁘고 가격 대비 고급져'.

직장인 3: ‘컬러가 좀 너랑 안 맞는데, 얼굴이 너무 촌스러워 보인다'.

직장인 2: ‘아. 네. 그렇게 이상한가요. 저는 너무 예뻐 보이고 좋은데

직장인 1: ‘저는 괜찮은 거 같은데. 보는 시각이 다 다르니까. 네가 좋으면 된 거야'.

직장인 3: ‘백화점이면 비싸게 구매했겠네 굳이 오프매장에서 비싸게 살 필요가 없어.. 요즘 인터넷에 그런 옷은 싸고 좋은 것이 많아..

직장인 2: ‘인터넷은 입어 볼 수 없어서, 전 오프매장에서 입어보고 사요.'.   

 

 자신의 생각과 다르다거나, 취향이 다른 사람을 공격하는 사람들이 있다. 신조어 중에 이런 사람들을 ‘취향 나치’라고 한다. 물론 신조어들이 그러하듯 좋은 말은 붙지 않았다. 취향 나치란 취향이 자신들과 다르면 바로 공격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렇듯 상대의 취향에 관심 없는 사람들이 이렇게 공격하는 것이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다른 것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을 찾아내면 서로 좋다. 그런데 절대 그렇게 하려고 하지 않고 본인의 취향을 강요한다. 상대가 본인의 뜻에 따라오지 않으면 ‘취향 독특해', '오차원인 거 알지’라고 쉽게 말한다.  

  

 왜 그렇게 생각해?”너, 참 특이해!라고 말하면 이렇게 말해보자. ‘감사합니다, 제가 좀 툭 별한 부분이 있어요. 어떻게 그걸 알아보셨어요 대박이네요. 이렇게 하자. 상대도 어이가 없어서 웃으면서 ‘뭐지, 이 사람’라고 생각할 수 있다. 혹여 반대로 기분 나빠하는 사람이 있으면 그렇게 생각하라고 하자. 본인이 기분 나쁜 것까지 당신이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다름을 인정해주고 좋은 쪽으로 말해주는 상대가 좋다. 인정해주는 사람에게는 당신의 말투도 부드럽고 겸손한 말투로 이야기하게 된다. 당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 때문에 힘들어질 때도 있다. 그런 상대를 보면 ‘창의적인 사람과 만나서 내가 더 발전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해버리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