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태경 Aug 23. 2024

내 시계는 럭셔리(luxury) 해야 합니까?

2022년에 타계한 프랑스의 학자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


내 시계는 럭셔리(luxury) 해야 합니까?




내 기계식 시계는 럭셔리(luxury) 하지 않다. 그렇지만 내 기계식 시계는 시간을 제대로 알려준다. 따라서 내 기계식 시계는 럭셔리할 필요가 없다. 그게 이 글의 결론이다.


사치품, 명품, 고급품을 일컫는 영어 단어 럭셔리(luxury)의 어원은 ‘지나침’이나 ‘잉여’를 뜻하는 라틴어 럭수스(luxus)에 있다. 다시 말해 럭셔리는 ‘어떤 필요를 의식하지 않는 그 자체로 목적을 갖는’ 특성을 지닌다.


기계식 시계는 필요에 기초한 물건이었다. 태엽의 움직임을 통해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발명되었고, 시계학(horology, 측시학)은 이러한 장치를 통해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온 학문이다.


1969년 12월 25일, 일본 시계 회사 세이코(Seiko)는 아스트론(Astron)을 내놓는다. 최초의 상업용 쿼츠(quartz, 석영) 시계의 등장이었다. 바로 이때부터 기계식 시계는 더 이상 필요에 기초하지 않는다. 아니, 적어도 예전과 같은 필요에 기초하지 않는다. 시계는 시간을 측정한다는 필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시계 그 자체로 목적을 갖기 시작한다.


론진(longines)이 왜 중요한가? 론진이기 때문이다. 롤렉스(Rolex)가 왜 중요한가? 롤렉스이기 때문이다. 파텍필립(Patek-Philippe)이 왜 중요한가? 파텍필립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계가 아니다. 손목 위에 올린 1,000달러, 10,000달러, 100,000달러짜리 채권이다.


기계식 시계가 어디까지나 시간을 보기 위한 도구였다는 것을 다시금 머릿속에 명확하게 깨달았을 때, 내 시계의 흠집이 어디에 있고, 내 시계가 오차가 얼마나 나고, 내 시계의 리테일 가격이 얼마인지는 더 이상 중요한 고려점이 아니었다. 무브먼트가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디자인의 완성도는 괜찮은지, 오늘 내가 입고 나갈 옷 혹은 내가 계획한 활동과 잘 어울리는지가 중요해졌다.


내가 가진 기계식 시계들은 이미 나의 생활 수준을 한참 웃돌고 있다. 하루 종일 책을 읽거나, 글을 쓰고, 빈둥거리고, 조깅하고, 공부하는 삶에서 시계가 좋아봤자 얼마나 좋아야 하겠는가.


더 이상 시계를 늘릴 이유가 없다는 걸, 지금 갖고 있는 시계를 열심히 쓰기에도 시간이 모자라다는 걸, 시계가 시간만 잘 맞으면 됐지 뭘 더 바라냐는 말이 진실이라는 것을 가슴 깊이 깨닫는다.




내가 가진 시계는 럭셔리할까? 그렇지 않다. 내가 가진 시계는 럭셔리해야 할까? 그렇지 않다. 내가 가진 시계는 충분할까? 그렇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