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세네카 Mar 28. 2021

오늘에 최선을 다할 것, 자신을 알아가는 삶

  성공한 유명인들은 각종 매체에서 꿈을, 포부를 크게 가지라고 열변을 토한다. 그래서 범인들은 꿈에, 목표에 집착한다. 누군가 내게 너의 꿈이 무엇이냐 질문할 때 타인이 자신의 꿈을 하찮거나 소박한 꿈으로 여기진 않을까 고심하며 나와는 너무나 다르고 너무나 먼 대상에 자신을 투영한다.


   물론 매우 어릴 적부터 자신의 꿈을 고민하여 일찍 찾게 되고 확신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들의 목표는 매우 뚜렷하다. 그래서 일찍부터 온 힘을 다해 그 꿈을 위한 목표에 매달린다. 사실 이건 우리 모두가 바라는 이상적 삶이다. 자신의 흥미와 재능을 일찍 발견하여 그 분야에서 눈부신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업적을 일궈내는 것. 


   그렇지만 인생이 어디 그렇게 순탄하기만 하던가. 어느새 목표를 위한 계획은 하나 둘 수그러들기 시작하고 이 얄궂은 운명의 체스판 위에서 하나의 말이 된 느낌이다. 각종 우연, 사고와 변수들은 우리의 계획과는 전혀 다른 운명의 길로 인도한다. 일찍부터 꿈꿔왔던 목표, 계획이 무너지니 깊은 절망에 빠진다. ‘무계획이 계획’ 이란 말이 괜히 나왔겠는가. 어차피 인간의 힘으론 무엇 하나 예측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목표에 집착하고 매달렸는데도 실패할 경우 모든 걸 놓아버리고 포기할 위험도 커진다. 게다가 지나치게 일찍 자신의 꿈에 확신을 가지게 될 경우 뒤늦게 찾아온 자신의 다른 재능이나 기회를 포착하지 못하고 외면해버리는 비극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분야도 매우 흥미롭지만 난 이전부터 확실히 다른 꿈이 있었잖아. 다른 일에 신경 쓸 시간 따위는 없어. 그러니 난 늘 해오던 것에만 집중할거야.” 세상에서 가장 비극적인 자기 최면이다. 처음의 꿈과 목표에 집착한 나머지 자신의 앞에 놓인 수없이 다양한 가능성을 무시해 버린다.


   데이비드 엡스타인이 쓴 ‘늦깎이 천재들의 삶’ 에는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와 테니스 황제 로저 페더러를 비교하는 사례가 나온다. 타이거 우즈는 어렸을 적부터 일찍 자신의 재능을 발견하여 골프에만 몰두했고, 페더러는 우즈와 달리 농구와 레슬링 등 다양한 스포츠를 섭렵하다가 뒤늦게 테니스에 입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 둘은 각자의 자리에서 전무후무한 업적을 일궈냈다.


   둘 다 황제의 자리를 꿰찬 이들이지만 나에겐 페더러의 사례가 훨씬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폭넓은 경험과 시행착오를 통해 자신을 더 알아가고 자신만의 인생 항로를 개척해온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꿈이나 목표가 없는 삶이 꼭 나쁘진 않다고 말하고 싶다. 그저 당장의 하루하루에 최선을 다하는 건 어떨까. 오늘과 현재에 집중하는 삶을 말하는 것이다. 열린 마음으로, 서두르지 말고 좁은 시각에 갇혀있지 않으며 자신에게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자. 자신을 알아가는 것. 그게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 아니던가.

이전 11화 모두 산타가 되어야 할 시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