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단정하게 정리된 머리, 동그란 눈, 흰색 셔츠에 무채색 니트 조끼, 검은색 슬랙스, 흰색 운동화. 가까이에서 보면 조금씩은 달라 보이지만 내가 면접에서 만나는 학생들의 한결같은 모습이다. 면접 때문일까 쑥스럽고 어색한 얼굴 표정만은 모두 하나다. 그 얼굴 표정을 보고 있자면 코끝이 찡하다. 얼굴만 봐도 이 상황이 얼마나 긴장되고 불편한지 짐작이 간다.
수험생에게 면접만큼 긴장되는 시험도 없다. 일면식도 없는 사람 앞에서 자신이 어떤 목표를 갖고 있으며, 무엇을 진정으로 좋아하는지 이야기하는 것은 어른이라도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어떤 면접관을 만나게 될지, 무슨 질문을 받게 될지 알 수 없는 면접 상황은 정말이지 힘든 시간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면접은 자신을 돋보이게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하다. 수험생 입장에서 면접이야 말로 자신이 합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인재라는 사실을 강하게 어필할 수 있는 귀중한 시간이다. 그렇기에 면접은 생각만 해도 긴장이 된다.
수험생에 비하면 숙련된 면접관의 긴장도는 그렇게 크지 않다. 물론 처음 면접관 역할을 맡게 되는 경우는 조금 다를 수 있다. 나도 입학사정관으로 입직하고 그 해 처음 면접관으로 수험생을 마주했을 때, 수험생보다 더 긴장했던 기억이 있다. 학생에게 질문을 하면서도 내 심장소리가 들려서 더 떨렸다. 학생의 답변을 듣고 반응하기보다는 준비한 질문을 기계처럼 읊조렸다. 긴장한 모습을 수험생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미소를 짓다가 얼굴에 경련이 나기도 했다. 내 노력과는 별개로 평소보다 말을 더 빠르게 하는 나를 면접이 진행되는 동안 수시로 마주했다.
입학사정관으로 입직한 지 어느덧 12년. 지나온 시간이 무색하게 면접은 여전히 나를 긴장하게 한다. “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따위의 문구는 평가준거에 쓰여 있을 뿐. 머리는 복잡하고, 가슴은 착잡하다. 면접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마음도 나와 같을 거라며 스스로를 위로할 뿐이다.
배정된 면접이 모두 끝나고 나면 나는 습관처럼 고사장의 책상을 쓱 문지른다. 미처 귀 기울이지 못했던 순간을 아쉬워하고, 기껏 주의를 기울였던 순간도 고사장 구석의 먼지와 함께 뒹굴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자책한다. 학생들의 노력을, 열정을, 상상을 다 껴안지 못한 나의 작은 가슴을 자책한다. 이렇게 부족한 내가 ‘누군가를 평가하는 것이 가능한 일인지?’, ‘학생들의 상상을 껴안는 일이 대체 가능한 일인지?’ 자문한다.
‘차가운 머리로 냉철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무엇이고, 뜨거운 가슴으로 따뜻하게 보듬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다시 돌아봐야 하는 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