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행하는 기획자 Oct 22. 2020

성공하는 서비스의 비책

고객 가치에 대한 이해 

히트하는 서비스나 상품들은 무엇이 다를까? 생각해본 적이 있었다. 어떤 서비스나 상품이든 내게 주는 이득이 분명할 때 손길이 가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고객가치는 고객이 분명하게 전달받을 수 있는 이득이라고 생각한다. 이 서비스나 상품을 이용할 때 고객은 어떤 이득을 바라볼 수 있을까? 처음 앱이나 웹서비스를 런칭 하려고 하면 단순히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있는데 서비스를 만들고 싶다!'로 시작하는 경우가 있다. 흥미로운 아이디어고 기술적으로도 유의미해 시작을 하지만 나중에 다 만들고 보면 그렇게 만들어서 대체 무엇이 좋은 거지?라는 생각과 함께 소비자에게 외면을 받게 되는 산출물도 꽤 많다. 어쩌면 이렇게 외면을 받는 이유 역시 최종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에 대한 고민보단 개발자 입장에서 혹은 상품기획자 입장에서 단순히 기술을 뽐내기 위해 만들려고 하다가 어렵게 되는 경우도 꽤 많다.


고객에게 무엇을 줄 것인가?


고객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하기 위해선 고객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고객이 최종 소비자인지, 기업인지에 따라 줄 수 있는 것들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특히 최종 소비자가 사람일 경우 가장 원하는 근본적인 욕구를 알아야만 제공할 수 있는 것, 즉 고객 가치가 명확해진다. 소비자에 의한 고객가치는 메슬로우의 인간의 기본 욕구를 기반으로 고민해본다면 보다 쉽게 해답을 찾아나갈 수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2016년 9월호


기능적인 욕구는 결국 시간이든, 잡무에서 벗어나 여유롭게 살고 싶다는 욕구이다. 물론 그 여유가 금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기능적인 욕구를 만족할 수 있다면 즐겁게 살고 싶은 욕구로 넘어간다. 가슴 설레는 인생을 살고 싶은 것이다. 위의 피라미드처럼 단계별로 욕구가 충족이 되면 궁극적으로 타인과 잘 지내고 싶다는 욕구가 생긴다. 인정받고 사랑받고 싶은 욕구와 더불어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궁극적으론 '나다움'을 찾아 좀 더 나답게 살아가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다. 


이런 기본적인 욕구를 기반으로 성공한 서비스에 대입하면 흥미로운 결과를 찾아볼 수 있다. 인스타그램은 어떤 근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 한 것일까? 트위터는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려고 짧게 글을 써서 퍼트리는 서비스를 런칭한 것일까?라는 측면으로 고민을 해볼 수 있다. 




아마도 트위터는 여유롭게 살고 싶은 욕구를 좀 더 강조했던 게 아니었을까? 시간을 절약하면서 빠르게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고 나아가 주위와 연결되어 있는 느낌을 고객에게 주고 싶었던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트위터는 이런 가치를 제공했다면 인스타그램은 어떤 가치를 제공하려고 했던 것일까? 이렇게 사례를 하나하나 비교하면서 분석을 해본다면 내가 만들려고 하는 서비스나 상품 역시 같은 눈높이에서 바라보게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정리를 해보자면 가장 중요한 건 고객에 대한 이해이다. 고객이 누구인지 정의를 해야 그 고객에 맞춰 서비스나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위의 피라미드는 B2C 즉 소비자에 해당하는 내용의 피라미드인데 만약 고객이 기업 단위라면 고객 가치는 다르게 고민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고객가치는 결국 나무의 뿌리이다. COVID - 19로 경쟁이 더욱 치열하면서 다시 근본적으로 돌아가 고객 가치를 생각해보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트렌드가 계속 바뀌고 경기가 어려울수록 처음으로 돌아가 이 서비스, 상품을 왜 만들었을까? 왜 만들어야만 했을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뿌리에서 파생된 여러 생각과 철학이 결국 하나의 서비스로 연결이 되고 잉태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 흩어지는 순간을 기억하고자 기록합니다.

@traveler_jo_

* book_jo@naver.com  

이전 16화 서비스 기획 경력 면접에서는 어떤 질문을 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