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현진 Oct 27. 2020

7. 사회정서가 유능한 아이로 기르기

- 2장 완벽하지는 않지만 좋은 부모는 될 수 있다 (7)

<SEL 부모양육이란?>

2장 완벽하지는 않지만 좋은 부모는 될 수 있다(7)




7. 사회정서적으로 유능한 아이로 기르기        



  당신은 당신의 아이를 어떤 아이로 키우고 싶으신가요? 얼마 전에 누군가 나에게 그러한 질문을 했을 때, 바로 나온 대답은 아프지 말고 건강한 아이로 자랐으면 좋겠다는 거였다. 잠시 더 생각해보고 나온 대답은 독립적인 아이로 자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나는 우리 아이들이 독립적이어서 나중에 엄마나 아빠가 없는 상황에서도 혼자서 자신의 삶을 잘 살아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항상 있었던 것 같다. 부모들은 아마도 저마다의 이유로 자식에 대한 저마다의 바람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똑똑한 아이, 건강한 아이, 착한 아이, 성실한 아이… 혹은 이 모든 것을 갖춘 아이로 키우고 싶은 것이 부모의 마음일 것이다.      


  여기에서 나는 어쩌면 이 모든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이의 사회 정서적 특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사회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들은 나중에 학교에 들어갔을 때, 일을 할 때, 전반적인 인생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건강한 사회 정서적 기술을 발달시키는 것은 여러 측면에서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된다.      



 - 친구를 사귀고 관계를 유지하는 것

 - 자신감을 형성하는 것

 - 갈등을 해결하는 것

 - 스트레스와 걱정을 해결하는 것

 - 사회적 규범을 배우는 것

 - 상황에 적절한 결정을 하는 것

 - 부정적인 사회적 압력에 저항하는 것

 - 강점과 약점에 대해 이해하는 것

 -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해 이해하는 것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어린아이에게 중요한 사회적 정서적 기술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CASEL (Collaborative for Academic, Social, and Empotional Learning)은 미국에서 1994년에 형성된 사회 적성 학습 (SEL)에 대한 믿을만한 정보와 연구에 기반한 자료를 제공하는 전국적인 단체이다.


  CASEL에 따르면, 중요한 사회 정서적 기술은 다음과 같다.      


 - 자기 인식

     : 자기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감정과, 생각과 행동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 자기 관리

    : 자신의 감정, 사고, 행동을 조절하는 능력


 - 사회적 인식

    :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고 감정이입을 하는 능력


 - 관계 기술

    : 건강한 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능력


 - 결정을 하는 능력

    : 자기 자신의 행동과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는 데 있어서 좋은 선택을 하는 능력





  위에서 언급한 아이로 기르고 싶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자기 인식을 잘하는 아이로 기르고 싶다면,      


태어날 때부터 아기의 울음소리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를 통해 아기는 안전감을 느낄 수 있다. 아기들은 관심, 인내, 그리고 부모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그리고 걸음마 시기가 되면, 감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어야 한다. 아이가 성질을 많이 부리기 시작하면 (temper tantrum), 아이가 느끼는 좌절감에 대해 같이 이야기해보고 아이가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름을 붙이도록 가르쳐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자기 관리를 잘하는 아이로 기르려면   

  

감정이 아이를 통제하기보다는 아이가 감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잘 가르쳐 줘야 한다. 걸음마기 아이들은 부모가 감정을 통제하는 것을 보고, 부모가 어떻게 건강한 방식으로 그것을 표현하는 것을 보면서 많이 배우게 된다. 또한, 집에서 다른 어른 (보통은 배우자)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가 중요하다. 부모가 아이 앞에서 안 좋은 관계를 계속해서 보여주게 되면 아이는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나중에 행동 문제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           


  사회적 인식을 잘하는 아이로 기르려면,      


부모가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고, 아이가 다른 사람의 말에 귀 기울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때라든지, 부모가 여러 가지 일들을 할 때 아이를 데리고 가 자신과 다른 사람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 지를 끊임없이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다른 사람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방법을 알고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는데 매우 긍정적 역할을 한다.  


         

  아이가 건강한 관계를 맺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아이가 다른 사람과의 차이점을 존중하도록 가르치고, 다른 아이와 자신의 아이를 비교하지 말고, 부모가 잘못했을 때 사과할 줄 아는 힘을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책임감 있는 결정을 잘하도록 도와주기 위해서,      


집에서 아이가 책임감을 느낄 만한 일들을 하게 하고 나이에 맞는 선택을 하게끔 해준다. 여기서 말하는 나이에 맞는 선택이란, 예를 들어, 두 살짜리에게는 어떤 동화책을 읽을 지에 대한 선택권을 줄 수 있겠지만, 언제 잠을 잘 지에 대한 선택권을 주어서는 안 된다. 아이가 얼마나 잠을 자야 건강할 지에 대한 선택은 어른인 부모가 하는 것이다. 부모가 해야 하는 결정을 아이에게 떠 넘겨서는 절대 안 된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민주적인 부모가 아이에게 쳐주는 울타리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아이는 불안감을 느낄 수 있고 부모를 무시하거나 신뢰하지 못할 수 있다.     

 

  더 큰 아이를 예로 들자면,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는 절대 어떤 학교가 좋은 학교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선택권을 아이에게 주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아이가 대학 갈 나이가 되면,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가 집안일을 도와줬을 때 아이에게 고마움을 표현해 주어야 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관심을 항상 필요로 한다. 가능한 자주 아이를 긍정적으로 격려해 주어야 한다. 부정적인 평가보다 긍정적인 표현을 많이 해주는 것이 좋다.           




  다시 정리해 보자면, 사회 정서적으로 건강한 아이로 기르기 위해서 부모들은,      


 - 아이를 사랑하고 그것을 표현해야 한다. 매일매일, 안아주거나, 애정 표시를 한다거나, 책을 같이 읽고  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 아이가 새로운 것들을 경험하게 해 준다. 아이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아이뿐 아니라 부모도 아이가 한 일에 대해 기뻐한다는 것을 표현해 주어야 한다. 


 - 또래의 다른 아이들과 놀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 특히 외동이 많은 요새 같은 때에, 이는 더욱 중요하다. 이를 통해 아이는 세상을 경험해 볼 수 있고, 다른 사람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부모로서 다른 어른과 아이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보여주어야 한다. 


 - 자신의 감정을 표현해야 한다. 부모가 언제 기쁘고 언제 슬픈지 아이가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해야 한다. 이는 아이가 감정이입을 배우는데 도움이 된다. 


 - 하루 일과를 잘 세우는 것이 좋다. 하루 일과가 매일매일 규칙적으로 이루어질 때 아이들은 자신감과 안전감을 느끼게 된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모든 일들이 계획된 대로 일어난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예측 가능하지만 가끔은 유연한 하루 일과를 세우는 것이 좋다. 


 - 아이의 감정을 잘 이해해 주어야 한다. 아이가 무엇을 느끼고 어떻게 느끼는지 말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이가 기분이 나쁠 때 편안하게 해 주고, 안아주고, 부드럽게 말해주는 것도 필요하다. 


이전 09화 6. 건강한 부부관계의 중요성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