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우리돌, '뭉우리돌' 이라.. 눈을 감고 소리 내어 읽으면서 그 의미와 형태를 상상해 보자.
비죽 모나지 않고 둥글넓적한 돌이 허허벌판 가운데 놓여 있을 것만 같다. 세찬 바람 따라 물 따라 가벼이 굴러다니지 않고 묵직하게 자리를 지킬 것만 같은 바위를 뜻하는 말. 백범 김구 선생은 자신을 '뭉우리돌'이라 칭하고 바위처럼 굳건히 대한 독립을 위해 책무를 다 하리라며, 독립투사들을 탄압하려는 일제 무리들에게 저항했다.
뭉우리돌처럼 강건하게 국외에서 대한 독립을 위해 온몸을 바친 이들의 자취를 톺아보는 이가 있다.
사진작가 김동우. 그는 러시아, 중국, 인도, 네덜란드 등 국외에서 고국의 독립을 위해 필사의 투쟁을 펼쳤던 이들의 일생에 사로잡혔다. 인도 뉴델리의 '레드 포트'를 시작으로 멕시코, 쿠바, 미국 땅에 파묻힌 독립투사들의 흔적을 발굴하고 기록한 <뭉우리돌의 바다>를 엮어 출간했다. 이어서 러시아 연해주, 연추, 블라디보스토크, 하바롭스크와 네덜란드 헤이그에 흩어진 한인/열사들의 발자취를 쫓아 <뭉우리돌의 들녘>을 펴냈다.
한반도를 강탈한 일제를 압박하고, 해외 정치/군사 세력들과 협력하기 위해 국외에 활동 근거지를 구축한 독립투사들. 그들은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무장한 군대를 조직해 국경에서 전투를 벌이는가 하면, 게릴라 투쟁을 통해 요인을 암살하거나 자금을 탈취하기도 했다. 암암리에 고종의 명을 받은 이준, 이상설, 이위준 열사는 멀리 헤이그에서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전 세계에 알리려 백방으로 애를 썼다. 허나 전 세계의 이목을 끄는데 실패하자 이준 열사는 울분을 참지 못하고 먼 이국의 땅에서 객사하고 말았다. 헤이그에는 뜻있는 이들의 노력으로 이준 열사 기념관이 존재한다. 저자는 기념관을 직접 찾아 그의 흔적을 찾고, 마지막 여정을 재구성한다. 기울 대로 기운 국운을 바로 세우려 동분서주하다가, 망국의 운명을 짊어진 채 기운이 다한 그의 마지막 모습이 떠오른다.
저자는 각지에 흩어진 기념비, 묘비와 학살이 자행된 옛 터 등을 순례하며 사진 기록을 남기고 감상에 젖는다. 시간이 흐를수록 망각되고 심지어 은폐되는 역사를 되짚어 복원하고, 과거를 떠올려 의미 있는 현재로 소환하는 책무를 다하기 위해 그는 사진 이미지를 다듬었다. 각각의 이미지에 투쟁 서사를 부여하고, 이를 바라보는 감상을 정겨운 우리말을 최대한 곁들여 기록했다.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운동가 후손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증언을 글로 남기고, 일생을 바친 선대의 희생을 기렸다. 양면 페이지 가득, 선명한 사진 이미지로 수록된.. 안중근, 우덕순, 이범진, 최재형, 홍범도, 최진동, 김알렉산드라그리고 투쟁 도중 희생된 수많은 독립투사들을 기리는 기념비들은 황량한 벌판에 우뚝 서 있었다. 외롭고 쓸쓸해 보이지만 세월의 풍파를 견딘 굳건한 '뭉우리돌'처럼 푸른 하늘을 받들고 서서, 고국을 향한 부릅뜬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다.
세월이 흘러 우리는 국외에 묻힌 그들의 공덕을 잊었을지 몰라도, 그들의 혼백은 여전히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 연대하지 않고 분열하여 서로를 혐오하고 차별하는, 오로지 자본과 개인만을 우선시하는 현 세태에 대해 염려하고 선대의 경험과 가르침을 주려 한다. 김동우 사진작가는 이국의 외딴 불모지에 드문드문 흩어진 과거의 자취를 그러모아 서사를 품은 현재의 이미지로 복원하고, 그들의 삶과 역사를 의미 있는 기록으로 남기는 데 성공했다.
'뭉우리돌을 찾아서' 프로젝트의 다음 행보는 중앙아시아와 중국에 묻힌 독립운동 역사를 다룬다고 한다.
아마도 홍범도 장군의 중앙아시아 이주, 하얼빈으로 향하는 안중근 의사의 발자국이 이어지리라. 더불어 시간의 풍파에 밀려 잊히고, 미처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이들의 독립운동 역사가 수록될 것이다. 저자의 명민한 눈과 손에 의해 갈수록 마모되고 스러지는 국외 독립투쟁 역사가 선명히 재생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