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meformoflove Nov 16. 2024

유통기한

언제부터인가, 나는 사소한 물건의 유통기한을 하나씩 확인하는 습관이 생겼다. 냉장고 문을 열고 꽁치캔을 꺼낼 때도, 오래된 잼병을 들여다볼 때도, 마트에서 고기를 살 때도. 그 작은 숫자들—2024.11.01, 2025.03.15—그것들은 마치 그 물건이 나에게 속삭이는 듯하다. “나의 시간은 여기까지야. 그다음엔 나를 버려야 해.”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 유통기한이 없는 것이 이 세상에 있을까? 꽁치도, 미트볼도, 심지어 플라스틱 랩조차도 유통기한이 있는데, 정말 어떤 것에도 유통기한이 없는 걸까?


나는 그 답을 알고 있었다. 유통기한이 없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끝이 있고, 한계가 있고, 결국 언젠가는 버려질 운명이다.


영화 중경삼림의 그 장면을 떠올린 건 아마도 그런 이유였을 것이다. 금성무가 텅 빈 눈으로 파인애플캔을 바라보며 중얼거린다. “유통기한이 없는 건 세상에 없지.” 그 말이 그렇게 날카롭게 내게 와닿을 줄은 몰랐다. 내가 그 대사를 처음 들었을 때는 단지 허무하게 들렸지만, 지금은 다르다.


사랑도, 관계도, 사람도 결국에는 유통기한이 있다는 것을 이제는 안다.


처음에는 그것이 너무 안쓰럽게 느껴졌다. 마치 사랑이나 인연이 캔 속의 파인애플처럼 “지금 이 순간”을 위해 존재한다는 사실이 서글펐다. 그 순간이 지나면 사랑은 부패하고, 냄새가 나고, 결국엔 버려질 것이다. 그렇게 사라지는 것이 너무 잔인하게 느껴졌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나도 모르게 속으로 금성무의 말에 대답하고 있었다.

“맞아, 유통기한이 없는 건 없지.”


그것은 받아들임이었다. 그리고 동시에 변명이었다. 끝이 있음을 알기에, 나는 종종 사랑을 다하지 않았다. 노력하지 않았다. 어차피 끝날 것을 왜 붙들고, 왜 애쓰고, 왜 더 사랑해야 하는지에 대한 핑계였다. 나는 유통기한의 존재를 핑계 삼아 스스로를 정당화했다.


하지만 끝이 있다는 사실이 정말 그렇게 허무하기만 한 걸까?


유통기한은 어쩌면 우리에게 유일하게 주어진 ‘기간’을 소중히 여기게 만드는 일종의 선물일지도 모른다. 썩기 전에 먹어야 할 파인애플처럼, 끝나기 전에 온 마음을 다해야 할 사랑처럼. 유통기한을 아는 사람만이 그것이 다하기 전에 온전히 누릴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사랑에도 무언가 끝이 보이면 그것을 외면하거나 두려워한다. 나는 이제 그것이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그 끝을 아는 만큼 더 사랑해야 한다고 믿는다. 내 안에 남은 열정이 바닥날 것을 알면서도 끝까지 모든 것을 쏟아붓는 것, 그것이 사랑일지도 모른다.


파인애플 캔에도, 미트볼에도, 우리의 시간에도 유통기한이 있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의 가치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오히려 그 유통기한 때문에 우리는 순간을 더 깊이, 더 진지하게 살아야 한다. 끝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그 끝을 위해 더 뜨겁게 사랑해야 한다.


나는 아직 그게 쉽지 않다. 어쩌면 아직도 사랑의 유통기한을 핑계 삼아 도망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언젠가, 그 유통기한이 다가왔을 때 후회 없이 웃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금성무가 그 파인애플캔을 먹으며 어떤 마음이었을지, 나는 여전히 알 수 없다. 다만 그가 했던 말은 여전히 내 안에 남아 있다.

“유통기한이 없는 건 세상에 없지.”


그리고 나는 그 말을 또 한 번 마음속에서 되뇌어본다.

“그래, 유통기한이 없는 건 없으니까, 오늘 더 사랑해야지.”

이전 02화 사랑에 대한 짧은 고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