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참아서 병난 여자 Oct 24. 2021

아무도 썩은 달걀을 먹지 않는다

[한 소설가 지망생이 출판사에 원고를 보냈는데, 

번번이 원고가 되돌아왔습니다. 

그는 꾀를 내서, 원고의 중간쯤 몇 장을 풀로 붙여 놓았죠. 

이번에도 원고가 다시 돌아오자, 출판사에 당당하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당신은 내 원고를 끝까지 읽지도 않았지 않소?!

내가 그럴 줄 알고 원고 몇 장을 붙여 놓았지!‘ 

그러자 편집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보시오. 한 입 먹어보고 썩은 달걀인 줄 알았는데 그걸 계속 먹어야겠소?’] 

오래전에 어느 책에선가 읽은 글입니다. 책 제목은 기억나지 않지만, 이 내용만큼은

너무 와닿았기 때문에 제가 기억하는 대로 다시 써봤는데요.

‘썩은 달걀’이라.... 너무 가혹한 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문학적인 글이 아니라고 해도, 모든 글에 있어서의 첫 시작은 정말 중요합니다. 한 편의 글을 읽을 때, 이 사람이 글쓰기에 소질이 있는지 아닌 지, 어디서 판가름이 나는 줄 아세요? 첫 단락입니다. 적어도 서 너 문장만 읽어 보면 글쓴이가 어느 정도의 글쓰기 실력을 가졌는지 대부분의 전문가는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것은 전문가에게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독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흥미’라는 이름과 기준으로 글과 작가를 판단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방송에서는 첫 1분 안에 시청자의 관심과 흥미를 잡아 끌 만한 내용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합니다. 시청자에게는 선택할 수 있는 수많은 채널이 있고, 요즘 세상, 채널 하나 돌리는 것쯤은 결코 어려운 일이 아니니까요.

하지만, 똑같은 방송이어도, 이미 잘 알려진 프로그램은 다릅니다. 예를 들어 ‘무한도전’이 오늘 방송 시작 1분이 조금 지루했다고 해서 채널이 돌아갈 리는 없죠.

글쓰기도 비슷합니다. 유명한 작가의 글은 서론이 조금 길어도 됩니다. ‘믿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 인지도 없이 일반인들이 쓴 수많은 글 가운데, 선택받기 위해서는, 첫 시작이 중요합니다. 아마 그걸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들 역시, 백지를 앞에 두고 그렇게나 많은 고민을 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처음을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하고 말이죠. 

때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모를 땐, '안 하면 좋은' 방법을 생각하는 것이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초등학생들의 글쓰기를 생각해보면 빠를 겁니다. 초등학생들의 모든 일기는 ‘오늘은’으로 시작하고, 모든 독후감은 ‘이 책은’으로 시작하죠. 적어도, 이런 ‘뻔한 시작’은 지양하는 것으로 출발하기로 합시다.


그 뻔한 시작의 대부분이 바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서술입니다.

‘임신과 출산’에 대한 경험을 쓴다고 해볼까요? 누군가는 임테기 두 줄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고, 또 다른 사람은 진통이 오는 순간에서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어디에서부터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독자가 느끼는 흥미와 궁금증, 몰입도가 확 달라지게 됩니다.

예를 들면

‘생리가 며칠 늦어지는 것이 아무래도 느낌이 이상해서, 

남편에게 임테기를 사 오라고 했다’ 

라고 쓰는 것과

‘두 줄이다. 두 눈을 비비고 다시 확인해도, 선명한 두 줄이다’ 

라고 쓰면 느낌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내가 강조하고 싶은 이야기에 따라서 시간을 섞어놓을 수도 있고, 뻔한 과정은 생략하고, 본론부터 들어가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라디오 원고를 쓸 때, 청취자 반응이 좋았던 오프닝을 예로 들어볼게요.

제가 겪은 상황은 이렇습니다.

‘욕실에 들어가서 옷을 벗고 나서야, 치약이 다 떨어진 걸 알았습니다. 사실 이게 벌써 며칠 째 반복되는 일인데 치약 바꾸는 걸 그렇게 자주 까먹는 저에게 짜증이 났죠. 그래도 벌거벗고 나갈 수는 없는 노릇이라, 그냥 다 쓴 치약을 짜 보기로 합니다. 

설마 이번엔 안 나오겠지... 싶은 마음으로 치약을 짰는데, 와?! 그래도 또 나오는 거 있죠? 그 순간 어쩌면 우리 인생도 이런 게 아닌가 싶어 졌습니다. 이제 끝이다. 싶은 순간에도 여전히 희망은 남아 있는 것 아닐까?‘ 

뭐 이런 식으로 생각이 이어졌고 그날의 오프닝으로 쓰려고 결정했죠.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지금 제가 겪은 상황 그대로를 묘사하듯 잘 서술할 수도 있습니다.

라디오 원고라는 전제 하에 봐주세요~

‘저녁에 양치질을 하려고 욕실에 들어갔는데, 

그때서야 치약이 똑 떨어졌다는 게 생각이 났지 뭐예요.

벌써 며칠 째 반복된 일이라, 

오늘은 정말 치약이 안 나오겠거니... 싶었어요. 

그런데요~ 짜고 또 짜내니까 오늘도 또 나오는 거 있죠?‘ 

이런 식으로 쓸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그때 이렇게 썼어요.

‘오늘은 정말 안 나올 줄 알았어요. (흥미 유발!)  

치약이요! 

새 치약으로 바꾸는 걸 깜빡해서 

쓰고 또 쓴 지가 벌써 며칠이 지났거든요 ‘ 


물론 어떤 글이냐에 따라 ‘좋은 시작’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흥미와 궁금증을 유발하는 첫 시작은 어느 글에서나 먹히기 마련입니다.

빈 종이가 두렵다고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니 어떤 문장이든, 첫 문장을 쓰기 시작했다면 그것만으로도 잘하셨어요! 암요! 뭐든지 시작이 어렵고, 그래서 시작이 반이니까요. 다만, 글을 시작하기가 너무 쉬웠다면 한 번쯤 의심해보세요. 시작이 너무 쉬웠다는 건, 너무 뻔한 시작이라는 얘기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좋은 글을 쓰고 싶다면, 그 시작을 달리 해보세요. 글을 꼭 처음부터 써야 하는 건 아니니까, 우선은 평범하고 뻔하게라도 시작해서 다 쓴 다음에, 첫 문장을 고쳐 보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기억해야 할 것.

이제껏 내가 써왔던 글과는 다른 방식의 시작을 시도해 볼 것.

어떤 문장으로 시작하면 좋을까를 언제나 고민할 것.

이전 12화 사랑은 하되 구질구질해지지 맙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