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철도 방랑객 Oct 26. 2023

한때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한 '만덕역'

부산3호선 - 만덕역

 지하철은 건설 기술의 발달과 이때까지 건설했던 경험이 축적되면서 난공사라 지하철을 기대하기 어려웠던 구간까지 역세권의 혜택을 누리게 했다. 특히 아주 깊은 곳은 물론 도로에서 벗어난 곳이나 강이나 하천 등의 아래로 공사하는 것은 이제 뉴스에도 나오지 않을 정도다.


 어쩌면 초기 지하철 공사 구간이었다면 생각이나 했을까 싶은 역이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는데 이중 하나가 만덕역이다.


 이 역은 승강장만 보면 다른 역과 너무도 비슷해 그냥 지나치기 쉬운 역이다. 하지만 승강장에서 출구까지 올라가는 경험을 해봐야 이 역의 진가를 알 수 있다.

     

서해선 김포공항역 개통 전까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은 역

 부산에는 유독 지상으로 다니는 구간이 많다. 그렇기에 만덕역의 위치는 상당히 의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 역의 승강장은 무려 지하 9층으로, 현재까지 우리나라 그 어떤 역에서도 이 역보다 더 낮은 층수를 보유한 역이 없다.


 실제로 엘리베이터를 타면 대합실이 있는 지하 1층부터 지하 9층까지 모든 층에 걸쳐 엘리베이터 버튼이 있다. 그리고 모든 층에는 환기시설, 기능시설, 전기시설 등 각자의 역할이 다 있다.


 그중 지하 1층과 지하 9층 버튼만 눌러지며 다른 층에서는 따로 서지 않는다. 이를 통해 상징성을 부여하기 위해 일부러 지하 9층이라고 표기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 지하 9층에 위치한 승강장.
▲ 엘리베이터에 표시된 9개의 버튼.


 수도권에서는 5호선 신금호역에서 지하 8층을 볼 수는 있다. 단, 올해(2023년) 7월 서해선이 연장 개통하면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은 역의 지위는 서해선 김포공항역으로 넘어간 상태다.


 더 이상 깊은 곳에 승강장을 공사할 수 있을까 싶지만 예상을 뒤엎고 계속해서 깊은 역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 지하철 공사의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로 이동을 권장하는 역

 만덕역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교통약자를 위해 설치한 엘리베이터를 일반 승객까지도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점이다. 많은 승객에 대응하고자 만덕역에는 엘리베이터만 5기나 설치해놓은 상태다.


▲ 일반 승객도 이용 가능한 엘리베이터(승강장에서 본 모습).
▲ 일반 승객도 이용 가능한 엘리베이터(개찰구에서 본 모습).


 이 엘리베이터는 승강장에서 바로 개찰구로 연결해주고 있어 개찰구에서도 엘리베이터를 볼 수 있다. 만덕역이 섬식 승강장 구조라 행선지의 구분없이 아무 엘리베이터나 타도 원하는 행선지로 이동이 가능하다.


 오히려 만덕역에서는 승강장 양 끝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대합실까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이동할 경우 4기의 에스컬레이터를 거쳐야 한다. 어쩌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이 관리하기에도 더 편리한 모양이다.


 그래서 만덕역 에스컬레이터는 굳게 닫혀있으며 비상시에만 비상통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안내해놓았다.


▲ 굳게 닫힌 만덕역 에스컬레이터.

     

깊은 승강장을 만든 주변 지형

 만덕역이 이렇게까지 깊어진 이유는 다름 아니라 주변 지형의 영향이다. 이곳으로는 만덕고개가 있어 주변에 비해 고도가 높다. 심지어 만덕역과 다음 이어지는 미남역 사이에는 만덕 2터널이 나란히 지나갈 정도다.


 이 영향으로 만덕역에서 미남역 사이 구간은 3km가 넘는 역간 거리를 자랑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상 상황 시 피난을 터널로 하도록 유도할 정도다. 만약 피난해야 할 상황이 발생하면 반대편인 남산정역 쪽으로 피난하는 것이 거리가 훨씬 짧다.


▲ 인근 역으로 피난을 유도한 만덕역(미남역 방면).
▲ 인근 역으로 피난을 유도한 만덕역(남산정역 방면).


 한편 만덕역 출구를 올라가보면 산 중턱이 바로 보일 정도로 이곳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마치 지하철 승강장이 깊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안내해주는 것 같다.


▲ 지하 9층까지 내려간 승강장의 이유를 알 수 있는 만덕역 인근 지형.


* 덧붙이는 글 : 본 내용은 <철도경제신문> '매거진R' 코너에 2023년 10월 25일자로 송고되었습니다.

이전 19화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역 이름을 보유한 역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