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환경의학은 '직업의학(Occupational medicine)'과 '환경의학(Environmental medicine)'으로 구분된다. 직업의학은 노동자의 손상과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의학의 전문분야다. 환경의학은 작업장 외부의 환경에서의 노출로 야기되는 손상과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다루는 의학의 전문분야다.
직업환경의학과는 1996년 법률 개정을 통해 내과, 외과와 같은 전문과목으로 보건복지부 인정을 받았다. 다른 전문과목처럼 1년간의 인턴 수련 후 4년간 전공의 수련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 시험에 합격하였을 때 자격증을 받을 수 있다.
학회 설명처럼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는 직업의학과 환경의학을 하는 의사이다. 다만, 대부분의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들은 직업의학을 하고 있다. 환경의학은주로 연구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과가 환경의학에서 사회적인 역할을 한 부분도 있다. 최근에 사회적인 이슈가 되었던 가습기 살균제 문제다. 급성 폐질환으로 많은 환자들이 죽어나갔으나 그 원인을 알지 못했던 당시 환경의학을 하던 연구원 중심으로 가습기 살균제가 원인 미상의 폐 손상의 원인임을 역학조사를 통해 밝혀내면서 전세계 최초로 가습기 살균제의 위해성을 알렸다.
반대로 직업의학을 하는 의사들은 검진센터에서 일하고 있으며 특히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만 수행할 수 있는 특수건강검진을 수행하고 있다. 나라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중 특수건강검진은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만 시행할 수 있는데 이는 국가에서도 산업재해나 근로자 건강 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특수건강검진의 수요도 해가 갈수록 늘고 있기에 덩달아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들도 특수건강검진 업무에 뛰어들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공장으로 출근하는 나도 특수건강검진을 수행하고 있다. 특수건강검진은 출장검진과 원내검진으로 나뉘는데 요즘은 건강검진센터 간의 경쟁도 치열해져서 직접 사업체에 방문하는 출장검진이 늘어 나기 시작했다.직업환경의학과 의사 입장에서도 병원에 앉아 근로자를 면담하고 설명하는 것보다 현장에서 직접 근무지를 체험하고 근로자의 설명을 들으면서 특수건강검진을 하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된다.
나는 근로자들이 출근하기 전 도착해 모든 검진을 준비를 마친다. 그러려면 근로자들보다 먼저 일어나서 새벽같이 시골의 공장을 향해 달린다. 가끔은 무서운 산골짜기 길을 갈 때도 있었다. 눈 덮인 겨울 빙판길을 아슬아슬하게 운전하며 살짝 미끌리는 경험을 할 때면 소변이 찔끔 나왔다. 그럼에도 나는 그런 삶이 좋았다.
살면서 이렇게 다양한 일을 하는 사람, 다양한 인종을 만나고 다양한 산업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직업이 있을까? 나 또한 산업 전반에서 궁금했던 내용들을 물어볼 수 있어서 즐거웠다. 가끔 관심 있는 주식과 관련된 산업에 종사한 분들에게 평소 궁금했던 것들을 물어보고 주식 투자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했다. (피식)
나는 다양한 언어를 써야 했다. 우리가 나가는 공장들은 대개 3D 업종에 지방에 위치한 곳들이라 한국인 근로자들을 보기 어려웠다. 지금의 60-70대가 담당했던 육체적인 노동들이 현재는 동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출신의 20-30대 외국인 근로자에게 맡겨졌고 많은 공장들은 이들의 노동력에 의존하고 있다.
영어가 통하는 외국인 근로자는 그나마 낫지만 영어마저 되지 않으면 난감했다. 그래서 사전 조사를 통해 국적을 파악하고 필요한 외국어들은 직접 외워가는 노력을 했고 지금은 웬만큼 동남아시아 출신 근로자들과 문진 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들 또한 한국의 의사가 자국의 언어로 대화 하려는 노력을 보고 더 솔직하게 응해주었다.
이토록 이색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나를 행운아라 생각한다. 그리고 근무지의 의료 사각지대를 직접 다니며 어두운 곳의 랜턴을 비추는 역할을 한다는 사명감도 있었다. 내가 대단한 처방을 하거나 수술을 한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취약 근무지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마냥 내버려진 것이 아니라 누군가 지켜보고 있다는 버팀목 같은 느낌을 주길 바랐다.
나는 직업환경의학과 의사이니 근무지의 어떤 유해요인이 근로자들의 건강을 상하게 할지 잘 알고 있다. 그들이 생계를 위해 종사하는 근무지에서 건강을 잃어가며 일하지 않도록 도와주려고 한다. 회사에는 말할 수 없는 고충을 외부에서 온 (아주 객관적이지 만은 않지만?) 전문가에게 말함으로써 문제가 밝혀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일들을 경험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힘든 순간도 있었지만 아무도 하지 못하는 도움을 준다는 생각에 보람을 느꼈다.
미국의 작가 앨버트 허버드(Elbert Hubbard)는 이런 말을 남겼다.
직업에서 행복을 찾아라. 아니면 행복이 무엇인지 절대 모를 것이다.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로서 직업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싶다. 나 또한 그들의 행복을 통해 직업환경의학과 의사로서의 일에서 행복을 찾으려고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