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상도 Jul 29. 2024

독서의 지속가능성

왜 책을 읽어야 할까?


진부한 질문의 시작이 참신함의 역행이 필요한 요즘이다. 정보의 양이 쏟아지는 디지털 시대에 정보 양을 많이 습득할수록 어느 정도의 지식수준과 문해력을 갖췄다는 착각의 상태에 빠진다. 정보를 얻는 것과 독서를 하는 행위는 별개의 차원이다. 독서는 텍스트의 뜻을 헤아리고 행간 행간마다 연결되는 의미를 풀어가는 고차원의 행위다. 나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의미를 재구성하는 매우 능동적이고 미래지향적 인지 활동이다.

오늘날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는 가짜뉴스, 사회적 문제, 가상과 현재가 뒤섞이는 현실에서 독서는 가치판단이나 사실과 허위를 구분하는 당위성이 만들어진다는 것에 매우 중요한 도구다.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증가로 오히려 집중력이 떨어진다. 주의를 빼앗기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한 곳에 몰입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결국 집중하지 못하여 사고의 깊이가 소멸되는 현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인간이 인공지능이나 기술문명에 의존하면 지식의 노예가 될 수 있듯이 자연파괴로 인한 생존의 멸종현상이 인간이라고 일어나지 않을까요.     


영상 길이가 1분이 넘지 않는 댄스 챌린지 영상을 보고 있으면, 시간이 가는 줄 모르고 손에서 핸드폰을 놓지 못한다. 1.5배나 2배속으로 빨리 돌려보는 동영상은 우리의 집중력은 퇴화되고 뇌는 더 이상 깊은 생각을 원하는지 않을 수도 있다. 갈수록 집중력은 떨어지고 정보의 습득은 가벼운 정보전달에 불과하여 깊이 읽는 사고의 문맹률은 계속 늘어날 것이다. 슬픈 현실에서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집중력을 되찾는 것. 방법은 한 가지다. ‘책을 읽는 것’이다. 독서가 가진 긍정적이고 실용가능성의 효용성은 빌게이츠, 스티브잡스, 일론머스크, 워런 버핏 등 성공한 인물들의 예로 알 수 있듯이 독서의 지속 가능성은 항상 열려 있었다.     



움베르트 에코는 “책 읽지 않는 사람은 단지 자신의 삶만 살아가고 또 앞으로 그럴 테지만, 책 읽는 사람은 아주 많은 삶을 살 수 있다고 했다.”     


메리언 울프에 따르면 인간은 ‘읽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했다.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꾸준히 훈련하여 습관을 만들어 읽는 능력을 키워 나가야 한다.

읽어야 성장할 수 있고 지속 가능성으로 나아갈 수 있다. 읽는 사람은 읽지 않는 사람에 비해 뇌의 가소성은 증가한다. 깊이 오래 읽을 때 뇌 가소성이 더욱 발달한다. 인지신경학자인 메리언 울프는 뛰어난 독서가의 뇌는 문서의 빠른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특정 부분이 발달한다고 말했다. 특정 부분이란 오래되고 지속적인 깊은 독서로 나아가는 행위다. 그 행위가 독서의 중요한 역할이다.     


책을 읽으면 뇌가 활성화되면서 처음에는 책을 읽는 것이 어렵지만 우리 뇌는 습관화되면 독서도 쉽게 읽는 방향을 그린다. 뇌의 가소성(可塑性, neural plasticity) 덕분에, 뇌는 자주 경험하는 일을 신경 회로를 변형시켜 더 쉽고 빠르게 처리해 낸다. 이를 통해 책을 읽는 행위가 자연스럽게 다가온다.                     

책 읽는 뇌를 만들어가는 것은 지속가능한 독서의 시작이다. 전략적인 독서로 이어가다 보면 자연스러운 독서습관이 만들어지고 나아가 독서는 일상이 된다.


일상의 독서는 후천적인 노력 즉 습관과 마음가짐이다. 좋은 독서환경을 만들어가는 것도 독서의 지속가능성이다. 필요이상으로 우리의 책 읽기는 디지털 시대에 절실하게 요구되는 생존도구임에 틀림없다.     

디지털 시대에 스스로 자각하고 통찰하는 사람만이 살아남을 것이다. 독서가 인류의 생존 조건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이전 27화 인공지능시대 더 중요해진 ‘문해력’과 ‘독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