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은 외국돈과의 교환비율 ≒ 외국돈의 가격
환율은 외국돈(대표적으로 미국 달러)과 우리나라 돈의 교환 비율이다. 어려우면 차라리 달러라는 상품을 사기 위한 가격이라고 생각하는 방법도 있다. 환율은 결국 내가 언제 외국 물건을 사고 파느냐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다.
몸풀기로 연습
(변동 전) 환율이 1달러에 1,000원이라 가정
환율이 1달러에 1,200원이 되었다면 → 환율인상 (달러라는 상품의 가격 인상)
환율이 1달러에 900원이 되었다면 → 환율 인하(달러라는 상품의 가격 인하)
같은 얘기를 우리나라 돈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변동 전( 1,000원을 주면 미국 돈 한 개(=1달러)를 살 수 있었다.
1,200원을 줘야 미국 돈 한 개를 살 수 있다면 → 우리나라 돈의 가치 하락. 즉 원화 평가절하 (원화 절하)
900원을 줘야 미국 돈 한 개를 살 수 있다면 → 우리나라 돈의 가치 상승. 즉, 원화 평가절상 (원화 절상)
수출업자와 수입업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수출업자]
100만 달러어치 수출을 해야 하는 사람이 있다.
환율이 1달러 1,000원에서 1,200원이 되었다면
100만 달러어치 판매 → 변동 전엔 한국 돈 10억 원 → (환율이 변하면) 12억 원이 생긴다. (2억 원 증가)
환율이 1달러 1,000원에서 900원이 되었다면
100만 달러어치 판매 → 변동 전엔 한국 돈 10억 원 → (환율이 변하면) 9억 원이 생긴다. (1억 원 감소)
[수입업자]
100만 달러 어치 수입을 해야 하는 사람이 있다.
환율이 1달러 1,000원에서 1,200원이 되었다면
100만 달러어치 산다 → 기존 한국돈 10억 원이 필요하다 → (환율이 변하면) 12억 원이 필요하다. (갑자기 2억 원이 더 필요하다)
환율이 1달러 1,000원에서 900원이 되었다면
100만 달러어치 산다 → 기존 한국돈 10억 원이 필요하다 → (환율이 변하면) 9억 원이 필요하다. (갑자기 1억 원이 남는다)
환율의 변동을 정리해 보면
환율인상(평가절하) → 수출업자 유리, 수입업자 불리
환율 인하(평가절상) → 수출업자 불리, 수입업자 유리
※ 직구를 하거나 해외여행, 해외 유학 중인 사람에게 송금해 줘야 하는 사람 = 외국 상품(물건, 여행상품, 유학상품)을 구매하는 사람 = 수입업자와 같은 입장
가장 간단히 정리한 환율의 구조가 된다. 혹시, 이 내용이 이해가 안 된다면 이해가 될 때까 계산기를 두들겨보고 화살표를 그리면서 생각해 보면 좋겠다. 한 번이라도 이해를 하면 점점 쉬워진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면
미국 주식을 사려는 사람 = 외국 상품(주식)을 매수(buy)하는 사람 = 수입업자와 같은 입장
미국 주식을 팔려는 사람 = 외국 상품(주식)을 매도(sell)하려는 사람 = 수출업자와 같은 입장
환차익(=환율의 차이로 인한 이익)을 보려면
환율이 낮을 때(=원화 절상, 원화 가치가 높을 때) 미국 주식을 사고 (수입업자 입장)
환율이 높을 때 (=원화 절하, 원화 가치가 낮을 때) 미국 주식을 판다 (수출업자 입장)
→ 미국 주식의 가격이 동일(eg. 1주에 100불)하더라도 환율의 변동에 따른 차익을 볼 수 있다.
경제와 관련된 환율은
환율이 인상되면 수출에 유리하고, 환율이 인하되면 수입에 유리하다는 말을 했지만 실제 환율은 앞에서 이야기한 여러 가지 경제 요소들에 영향을 끼친다. 수출 실적에 따라 환율이 변동하고, 환율에 따라 우리나라 물가가 움직인다. 또 물가에 따라 금리가 움직인다. 경제 요소들은 엮여 있다. 이 부분을 이해하면 수출이나 미국 관련 경제 기사를 읽을 때 상당히 수월하게 읽어나갈 수 있다.
※ 위의 내용은 원론적인 얘기를 더 단순화한 내용으로 현실과 다를 수 있다.
과거에는 무역업무를 하지 않는 다면 굳이 알지 않아도 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요즘은 직구, 해외여행, 해외유학, 게다가 미국 주식 투자까지 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이제는 알아둬야 손해 보지 않는 상황이 되었다.
환율도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다. 우리가 얘기하는 환율은 '매매기준율'이라고 해서 하나의 숫자로 말을 하지만, 매매기준율 대로 외국돈을 사고팔 수는 없다. 은행에서는 달러를 살 때(우리가 미국 돈을 주고 우리나라 돈을 받을 때)와 달러를 팔 때(우리나라 돈을 주고 미국 돈을 살 때)의 환율이 각각 다르다. 당연히, 은행 입장에서는 달러를 팔 때 환율이 더 높다. 즉, 은행은 달러를 사고팔기만 해도 이익을 보는 구조다.
환율의 종류는 더 있다. 매매기준율 외에 '현금'으로 사고 파느냐, '전신환'으로 사고 파느냐에 따라 또 다르다. 은행에서 얘기하는 '환전 수수료 0'이라는 말은 외국돈을 사고파는 거래를 할 때 '매매기준율'을 적용하겠다는 말이 아니라, 환전할 때 받는 수수료를 받지 않겠다는 말이다. 거래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엄청난 이득을 보지 않겠지만 수수료 0이라도 챙기는 것이 당연히 유리하다.
실제로 일반 사람들이 경험할 환차익과 환차손(=환율의 변동에 따른 손해)은 크지 않다. 환율의 위력은 환전하려는 금액이 커지면 커질수록 비례하게 된다. 1,000달러 상품을 거래할 때 환율이 10원이 움직인다면 우리나라 돈으로 만원의 금액이 움직이지만, 100만 달러 거래를 할 때 변하는 환율 10원의 영향은 무려 1천만 원이 된다. 수출과 수입을 업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환율의 변동이 무시무시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익숙하지 않은 디지털 이미지 작업을 하다 보니 자꾸 비뚤어집니다. 마음도 몸도 비뚤어지는 나이입니다. 그래서, 수정하지 않고 그냥 둡니다.
남은 것을 생각해 보면, 환율-금리-물가 정리하는 것 1장. 그리고 부동산 1장, 정책이나 트렌드에 대한 것 한 장. 총 3장이면. 본문은 마무리되고. 저의 마지막 목표는 이 모든 것을 한 장으로 다 그려 보는 겁니다. 될지 모르겠지만, 첫 책을 낼 때부터 희망이었습니다. 마무리되면, 제가 좋아하는 출판 기획자 분에게 말해 볼 생각입니다. 까이면... 또 까이는 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