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oriteller 토리텔러 Jan 20. 2022

자산과 수익과 비용의 상관관계

축적된 자산은 크게 '수익'과 '비용'으로 다시 흘러가고 남은 돈이 다시 자산의 증가나 감소로 이어지는 개인 경제의 큰 순환을 가지게 된다. 당연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깔끔하게 정리해 보기 위한 목적이다.


자산이 필요한 이유

가장 단순하게 돈의 관점에서만 표현하면 평생 써야 할 돈을 지불하기 위해서다.  

축적된 자산 ≥ 평생 비용


수익이 필요한 이유

태어나면서부터 평생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자산을 가진 사람은 거의 없다. 일반적인 사람은 평생 비용을 지불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익'이 필요하다. 이미 쌓인 자산이 있다면 필요한 수익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필요 수익  ≥ 필요 비용 - 쌓인 자산 


수익과 비용의 차이점

수익과 비용은 변동성이 크다는 특징을 공유하지만, 반대 성향을 가지고 있다.  

수익의 크기는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하지만, 난이도는 0에 가까워지는 것이 쉽고, 늘어나는 것이 어렵다.

비용의 크기 역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하지만, 0이 될 수는 없는 반면, 늘어나는 것은 쉽다.

※ 관련 키워드 : '최저임금'과 '최저생계비'  


재테크가 필요한 이유

가장 단순한 이유는 수익과 비용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나는 크기에서, 하나는 기간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돈의 관점에서만 보면 상대적으로 짧은 수익 기간 동안 평생 지불할 비용을 채우는 것이 재테크의 목적이라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재테크 구조

1) 수익 측면 : 수익을 얻는 기간 동안 '자산'을 축적한다. 축적된 자산으로 수익이 없는 기간 동안의 비용을 지불하거나, 별도의 수익구조를 만든다.  

2) 비용 측면 : 전체적으로 필요한 비용을 최소한으로 만든다. 비용은 크게 감당해야 할 인원수 X 지불 수준으로 표현할 수 있다.

3) 자산 측면 : 모인 자산을 투자해 또 다른 수익구조를 만들거나(위험도 있음), 모인 자산으로 남은 인생의 비용에 맞춰 생활한다.


재테크로 달성하려는 목표

가장 단순화하면 평생 지불할 돈을 모으는 일이다. 평생 비용이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재테크로 얻고자 하는 목표금액 역시 다를 수밖에 없다.  목표금액에 따라 개인별로 실행해야 하는 재테크 방법은 달라지게 된다. 더 중요한 일은 자신에게 맞추지 않은 목표를 세우면 달성해도, 달성하지 못해도 행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개인 경제의 핵심은 

당신이 평생 필요한 돈은 얼마요? 그래서 어떻게 할 거요?라는 답을 찾는 과정이다.


수익과 비용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가 '수익이 없을 때'다. 수익의 여부와 상관없이 비용은 평생 발생한다. 심지어 죽더라도 후손에게는 '장례비용'이란 것이 발생하고, 더 심한 경우 '빚의 대물림'까지 발생하기도 한다. 상속과 관련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이유는 과도한 +의 자산의 상속과 과도한 -자산의 상속 모두 포함되는 문제다.   


수익을 얻지 못하는 시기는 보통 가족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보호받게 된다. 이런 가족 공동체의 경제를 뉴스에서는 '가계'라고 표현한다. 어렸을 때는 부모가 나이 들면 자식이 돌보는 구조가 전통적인 '가계'라는 경제주체의 해결 방식이다. 가족의 테두리에서 보호받지 못하게 되는 경우 필요한 것이 '사회가 보호'하는 방식이다. 이런 '사회 공동체의 경제'를 뉴스에서는 '제도', '정책'이라고 표현하고 '국가'라는 경제주체가 담당해야 하는 방식이다. 가계의 경제를 튼튼하게 하는 것이 '재테크'고 사회의 테두리를 구조화하는 것이 '사회 보장제도'가 된다.


나에게 필요한 돈이 얼마인가를 제대로 답변할 수 있는 사람은 흔치 않다. 대부분은 다다익선이라 생각하고  '항상 부족하다'는 결핍을 대가로 받게 된다. 객관적인 기준을 찾으려 할 때 가장 쉽게 정보를 제공하는 분들이 보험설계사 분들이다. 보험설계사 분들 역시 근거로 삼는 것은 뉴스에 나온 자료다. 뉴스를 무시해서도 안되지만 뉴스를 맹신해서도 안된다. '월평균 소득'이란 기사와 '월평균 지출'이란 기사를 찾아보고, 양쪽 모두 '내 얘기네!'라는 생각이 드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평균'이란 자료는 유용하지만 훨씬 많은 사람들은 '평균'과 일치하지 않는다.  



어째 점점 산으로 가는 거 같습니다. 좋게 표현하면 다른 재테크 글에서는 나오지 않는 내용이고, 나쁘게 표현하면 다 아는 얘기를 그럴듯하게 얘기하는 거네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