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Red Marine Apr 25. 2020

인생은 결코 완벽하지 않다, 그래서 최선을 다하자!!

#. 24번째 이야기

오늘은 인생의 의미에 대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새로운 시작, 야심 찬 계획을 실천하고 첫발을 내딛는 2020년도 벌써 3분의 1이 지나가 버렸네요. 여러분들의 올해는 어떠신가요? 원하는 계획되로 시간을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개인적인 아픔을 딛고 운동과 글을 쓰며 일상 속 소소한 행복을 만들어 편안하면서도 즐거운 시간의 4월을 보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자신만의 기준을 세우며 스스로의 내일을 위해 무척 애쓰기도 하지만, 올해는 스스로에게 채찍질만 하지 말고 나름대로의 자기 보상을 더 많이 늘려주어 ‘인생의 밸런스’ 맞추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얼마 전 첫 직장이자 함께 입사 한 동기 형과 한 시간을 넘게 8년 차를 맞이하는 저희들의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토론을 했습니다. 대화를 나누면서 둘 다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하려고 하면, 일을 더 망칠 수 있다’라는 의견이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할 때 잘 해내고자 하지만 막상 결과는 반대인 경우가 굉장히 많잖아요. 이는 아마도 우리 사회가 완벽한 존재를 원해서 일 수도 있고, 인간은 너무나 불완전한 존재이기 때문에 나오는 반대적인 성향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곰곰이 생각해보면 이는 완벽함을 추구하려는 습관적인 행동에서 오지 않았을까요? 너무 완벽하게 하려고 시간과 힘을 쏟은 나머지 긴 업무 특성상 막상 해야 할 일을 제대로 못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했습니다. 그만큼 일정이나 스케줄을 보면서 에너지를 써야 할 곳과 아닌곳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들의 시각에서 보아도 건축가들의 심리적인 부분은 더 완벽함에 집착하는 것 같습니다. 사용자들이 사용할 공간을 만드는 건축계획이나 행정적인 절차인 건축법, 시공상 안전과 직결되는 건축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지나칠 정도로 완벽을 요구해야 합니다. 사람을 위한 일이기 때문에 부족하지만 놓치지 말아야 하는 것 들이죠. 어쩌면 저희 직업은 업무적인 부분에서의 완벽함과 일상에서 각자가 가지는 성향의 양면성이 필요한 부분일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휴일을 맞이하여 쉼을 만끽하는 시간에 자기 자신을 좀 되돌아봤습니다. 마감했던 지난 프로젝트에서 프로세스의 오류들을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완벽함보다는 시간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는 방법으로 어떤 것이 내가 좋아하는 일을 좀 더 멋지게 해낼 수 있을지 앞으로도 동료들과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야겠습니다. 결국 사람을 위한 건축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책임감에서 비롯되었네요 :D




Note
일주일간의 시간을 보내면서 앞으로도 아주 오랜 시간 내가 잘할 수 있은 일을 하면서 완벽하지는 못하더라도 더 의미 있는 시간으로 보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완벽함보다는 지금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의미를 부여해 삶의 밸런스를 맞추어 나가시길 응원하겠습니다.
이전 07화 나를 지키고 인간관계를 이끄는 나만의 무기는 무엇일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