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일웅 Jul 07. 2023

네 번의 실패가 연습인거지

네 번 연습하고 세 개 다 넣으면 돼


유튜브를 보다가 우연히(?)

걸그룹 뉴진스의 멤버들이

투호 던지기를 하는 영상을 보게 되었다.

그들은 다섯 명. 모두 이쁘고 예쁘다.

7개 중 3개를 넣어야 성공하는 룰이었다.

투호 던지기를 하기 직전, 멤버 다니엘이 말했다.


"연습할 시간이 없잖아요"


그때 뉴진스의 리더 민지가 말했다.


"네 번의 실패가 연습인거지"

"네 번 연습하고 세 개 다 넣으면 돼"


처음에는 스무 살 소녀가 할 수 있는 말인가 싶었다.

어린 나이에 어떤 과정을 거쳤기에

저런 말이 순간적으로 튀어나올 수 있는 건지.


 하루에 몇 번씩 생각했다.

일주일 넘게 그러고 있다.

듣는 순간 뭔가 확 와

이 말을 일상에서 실천해보고 싶었는데

그 의미를 명쾌하게 정의할 수 없었다.


"네 번의 실패가 연습인거지"

이 말을 단순하게 생각하면 이랬다.


연습은 하면 할수록 실력이 는다.

실패가 곧 연습이라 했으니

실패를 하면 할수록 실력이 는다는 게 된다.

실패라는 건 무언가 시도했을 때의 결과다.

시도하고 실패하면 더 나아지면서

성공으로 나아간다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런 의미는 첫 번째 브런치 발행글

'실패적금'에서 이미 생각해 본 것이다.


도미노가 넘어지는 것을 실패에 비유했었다.

도미노는 넘어지면서 앞으로 전진한다.

즉, 실패하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도미노가 모두 넘어지면 그게 성공이다.

그래서 도미노는 넘어지고 있지만 나아가고 있고,

넘어지고 있지만 완성되고 있다는 게 핵심이었다.


넘어지고 있지만 전진하고 있다.

넘어지고 있지만 완성되고 있다.


그리고 그 넘어지는 과정이 아름답다는 것.


실패하고 있다면 그것은 성공하고 있는 것과 같다. 

실패란 무언가 시도되었을 때

비로소 얻을 수 있는 결과이므

계속 실패한다면 꾸준히 무언가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성공은 그런 수많은 시도들로 얻어진

실패들의 연합이고 융합이며 통합이자 총합이다. 

실패들이 서로 돕고 섞이고 합쳐진 모든 것이

결국 성공인 것이다.

-실패적금 중-


그런데, 이런 했던 얘기는 그만하고

다른 의미를 찾고 싶었다.


"네 번의 실패가 연습인거지"라는 말은

도미노에서 그 의미를 찾았다 고,

"네 번 연습하고 세 개 다 넣으면 돼"라고

그다음 말에 주목해 그 말의 의미를 생각해 봤다.


"네 번 연습하고 세 개 다 넣으면 돼"

이 말에 도대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요즘 아이돌은 언제 어디에서 건

어색하거나 긴장한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격렬한 댄스에 라이브를 하면서도

좀처럼 실수하지 않는다.

온몸이 떨리고 숨이 차더라도 티를 내지 않는다.

말도 잘한다.


그만큼 연습이 되어 있다는 거다.


카메라 앞에서 어색하지 않기

많은 사람의 시선 앞에서도 표정이 자연스럽기

떨려도 떨지 않기

힘들어도 예쁘게 

숨이 차도 정확한 음정으로 노래 부르기

질문에 또박또박 대답 잘하기


연습한 대로 하면 뭐든 할 수 있는 아이돌이다.

그들은 연습을 통해 원하는 것을 이루어간다.

연습생 기간 그들은 연습이 일과였다.

모든 상황이 연습이었다. 그래서 그들은

모든 상황에 익숙해진다.


연습의 의미 자체가 그러하다.

익숙해지도록 되풀이하여 익히는 것.


"네 번 연습하고 세 개 다 넣으면 돼"라고 말한 건
연습생을 거친 아이돌로서 했던 말이 아니었을까?

내가 연습만 하면 뭐든 다 잘할 수  있다는
연습에 대한 자신감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연습을 통해 꿈을 이룬 그들이니까.


그들의 연습은 실전성을 가졌다.

실전 같은 연습을 무수히 하고 난 뒤

익숙해지면

연습한 대로만 하면 되는 것이다.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이걸 일상생활에 적용해 보려고 했다.

모든 상황을 연습이라 생각했다.

나중에 비슷한 상황이 오면

이미 연습한 상황이니 연습한 대로만 하면 되도록.


다른 업무도 많은데

지급으로 해달라는 업무 요청이 왔다.

높은 사람의 요청이었다.

평소 같으면 쫓기는 심정으로

조급하고 다급하게 업무 처리를 했을 것이다.


상황은 조급하지만

나 자신은 조급하지 않은 연습을 한다고 생각하며

업무를 마주해 봤다.

침착하고 마음 편하게 일을 처리할 수 있었다.

이때 눈을 감고 이런 상상을 하며

조급해지지 않는 연습을 했다.

절벽과 절벽 사이의 외줄을 중심을 잡으며

건너가는 장면이다. 천천히 호흡한다.

처음에는 불안하다가 서서히 안정된 상태로

줄을 건넌다.

흔들리던 줄에 미동이 없으지며

흔들리던 마음도 고요해진다.

가만히 아무렇지도 않게 마음의 동요가 사라진다.


어려운 문제가 주어지면

끈기 있는 집중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순간적으로 짜증이 차오를 때는 감정조절 연습을

말과 행동에 실수가 있었다 느껴질 땐 메타인지 연습을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고 싶을 때는 '내일 있었던 일' 연습을 했다.

'내일 있었던 일'은 발행글의 제목이다.

'내일 있었던 일 rev2'도 만들어 연습해 보고 있다.


모든 상황이 연습이라 생각하고

연습을 실전처럼 하다 보면

비슷한 상황이 왔을 때 그건 익숙한 상황이 되어

연습한 대로만 하면 잘할 수 있게 되겠지 싶었다.


연습은 실전처럼, 실전은 연습처럼 해보자.

연습 자체도 익숙해지도록 연습해 보자.

연습대로만 하면 되도록.




화주(火珠)

해를 한 점으로 모아 불을 일으키는 수정이다.

연습생은 데뷔라는 목표 한 점으로 연습을 모은다.

나는 한 점으로 모아지는 목표설정을 하고 있다.

설정된 목표는 나의 수정이 될 것이며,

그 수정을 향해 한 점으로 모아지는

목표에 초점이 맞춰진 연습은

불이 붙어 타오르고 크게 번질 것이 틀림없다.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라는 인문실용소설에서

연암이 지문이라는 자를 제자로 받아들이기 전에 묻는다.


"자네는 몇 자나 아는고?"


나는 지금  습이라는 두 글자를 아가며

실천하고 있는 모양이다.


이 두 글자를 알면 다른 글자도 하나씩 알게 될 거다.

                    

이전 19화 나나씨의 미래기억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