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쓴다는 건 두려움이라는 안개를 온몸으로 뚫고 지나가는 일이다.
21.11.23
글을 쓸 때 가장 먼저 맞닥뜨리는 어려움은 두려움이라는 안개다. 실체가 뚜렷이 보이지 않는 이 안개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아무것도 쓰지 못할 것 같은 무기력함 혹은 절망감에 휩싸이기 십상이다.
브런치에 글을 쓰고 있다고 몇몇에 알렸다. 그동안 쓴 글은 혼자만 알고 있고 스스로를 드러내는 것을 꺼리는 성격이라 이를 알리는 것조차 큰 결심이 필요했다. 브런치를 시작하는 것도, 브런치를 한다고 알리는 것도 용기를 필요로 했다. 사람들에게 알리고 나니 하루 한 편의 글을 올리는 것이 더 어렵게 느껴졌다. 나의 사소한 생각들이 너무 유치해 보이진 않을까? 이 소재를 글로 나타내도 괜찮을까? 당사자가 따로 있는 글감일 경우 본인이 알아도 괜찮을 걸까? 그중에서 가장 큰 두려움은 나를 드러내야 한다는 수치심이다. 나라는 보잘것없는 인간을, 누추한 사상의 영토를 종이 위에 지르밟아 놓는다. 지워지지 않는 흔적을 남긴다.
운전을 하다 보면 맞은편에서 오는 차가 마치 나의 미래에서 오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저 차의 운전자는 내가 앞으로 가야 할 길의 미래를 알고 있다. 굽이치는 저 모퉁이 끝에 어떤 길이 펼쳐지는지, 차가 막히는지 한 대도 없는지, 비포장도로이거나 공사 중인 도로인지, 혹시라도 사고가 났는지 안 났는지 조차 알고 있다. 나도 맞은편 차의 미래일 수 있을까? 왠지 나는 미래가 아닌 과거에서 오고 있는 것만 같다. 지나왔지만 알 수 없어요, 보았지만 깨닫진 못했어요, 내가 지나올 땐 이랬지만 지금은 또 아닐지도 모르죠. 무언의 교류를 나누는 듯한 느낌이 든다.
글을 쓰는 행위도 비슷한 느낌을 준다. 사람들과의 대화도 마찬가지다. 경험을 공유하고 공감하지만 같은 미래가 펼쳐질지는 알 수 없다. 같은 사건에 다른 느낌을 받고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내가 어렵게 지나온 좁은 에움길이 누군가에겐 이미 공사를 다 마친 쭉 뻗은 한길일지도 모른다. 공감은 좋지만 조언은 어려운 이유다. 글을 쓰지만 언제나 틀릴 수 있고 바뀔 수 있다는 전제로 쓴다.
글을 쓸 때 어쩔 수 없이 내가 드러난다. 솔직하게, 진솔하게 적어 내려 간 글은 잘 빚은, 오래된 술과 같은 향이 난다. 술을 잘 모르는 사람도 그 깊은 맛과 향에 매료된다.
"안에는 안 들어갔다?"
"예, 그냥 한 바퀴 둘러봤어요." 팀은 프랭크의 눈을 똑바로 보며 미소를 지으면서도 이마를 찌푸렸다. 왜 저리들 야단이지? 자기들이 그 집주인이라도 되는 거야? 주인이라도 그렇지.
"현관문까지 가긴 했는데.... 문을 열진 않았어요. 문손잡이도 없더라구요. 문이 잠겨 있나요?" 팀은 언제 들어왔는지 술잔을 들고 서 있는 샘 이디를 발견했다.
"그 집은 잠겨 있지 않아." 프랭크가 침착하게 말했다.
-퍼트리샤 하이스미스 <검은 집> 중에서
검은 집은 술집에서 회자되는 안주거리 장소다. 그곳에서 십 대 소년이 살해된 채 발견됐다. 사람들은 저마다 그곳에 갔다 온 모험담을 늘어놓는다. 정작 갔다 오지 않았지만 잠겨 있다고 굳게 믿고 있다. 티모시가 가보니 그 집은 잠겨 있지도 않고 아무것도 없다. 글을 쓸 때 마주하는 두려움은 이 검은 집과 같은 존재인 것 같다. 쓰고 나면 정작 아무것도 아닌데 쓰기 전에는 호들갑 떨게 되는 미지의 세계. 안갯속에 무엇이 있는지 없는지 조차 모른 채 안보이니까 그저 두려워만 하는 것.
소설가 김연수는 이 '검은 집'이 소설가의 재능과 같은 것이라고 했다.
"나는 그 검은 집이라는 게 소설가의 재능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했다. 술집에 모여서 농담거리로 삼을 뿐 그 안에 뭐가 있는지 들여다볼 생각은 아무도 하지 않는 집과 같은 것. 소설가가 재능에 대해서 말할 때는 소설을 쓰고 있지 않을 때다." -김연수, <소설가의 일> p.23 중에서
부끄럽지만 나도 이 질문을 자주 했었다. 글을 쓰기도 전에, 혹은 이제 막 완성한 단편 소설을 들고 사람들에게 물어보기 바빴다. "제가 재능이 있어 보이나요? 계속 글을 써도 될까요?" 이제야 그 질문이 얼마나 형편없는 것이었는지 알겠다. 재능은 원래 없는 것이다. 그 문을 열고 들어가야 한다. 그저 쓰는 것, 방법론이 아니라 존재론적인 질문을 계속 던지며 계속 사유하고 곱씹고 더듬거리며 답 없는 질문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은유 작가는 <글쓰기의 최전선>이라는 책에서 "글을 쓰고 싶은 것과 글을 쓰고 싶은 ‘기분’을 즐기는 것은 구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대 얻어맞은 기분이다. 글을 쓰고 싶으면 쓰면 되는데 핑계만 늘어놓는 모습이 부끄러웠다.
헨리 밀러가 자신의 첫 소설인 『북회귀선』을 쓰면서 창안한 11 계명 중 마지막 계명이 압권이다.
"언제나 제일 먼저 할 일은 글을 쓰는 일.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듣고 친구를 만나고 영화를 보는 등, 다른 모든 일들은 그다음에."
이 문구를 가슴에 새기고 피치 못할 사정이 있을 때는 제외하고, 최대한 하루에 한 편의 글을 계속 쓰려고 한다. 공개할 수 있는 글도 하지 못하는 글도 있지만 이는 이대로, 저는 저대로 좋다.
오늘도 두려움이라는 안갯속에서 글을 쓴다. 안갯속에는....
아무것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