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쌤 Jun 28. 2020

오이가 멸종되면 좋겠다

진짜 싫은 거, 하나쯤은 괜찮아

오이가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 물론 오이를 좋아하는 남편 같은 이들에게는 세상이 무너지는 소리겠지만. 남편은 어릴 때 학교 가는 길, 오는 길에 으레 동네 오이밭에서 따 먹는 오이가 그렇게 시원할 수가 없었다고 한다. 평생 나는 이해 못할 느낌이다. 난 오이의 오돌토돌 여드름이 난 껍질도 싫고, 호박이랑 헷갈리게 하는 의뭉스러운 모양새도 싫다. 그러나 가장 참을 수 없는 건 냄새다. 10미터 밖에서도 널리 퍼져 오장육부 깊은 곳에서부터 오심을 불러일으키는 이 냄새를 왜 ‘향’이라고 표현하는지 당최 이해할 수 없다. 남편이 “코는 왜 달고 다니냐”라고 핀잔을 줄 정도로 둔한 나의 후각이 오이 냄새에 만큼은 하필 최강의 민감도를 자랑하는 건 아이러니다. 밀폐된 교실에서 도시락을 먹어야 하는 중고등학교 때는 고충이 상당했다. "3 분단 끄트머리에 누군가 오이를 싸 왔다"라고 감지할 때도 그랬지만, 같이 먹는 친구들 중에 오이 반찬이라도 싸온 이들은 괜히 내 눈치를 봤다. 고등학교 때 친구와 길을 가다, 내가 갑자기 킁킁대며 “오이 냄새가 난다”라고 이야기한 후, 조금 더 가니 아파트 화단에 누가 먹다 버린 생 오이가 있었다며 친구는 여전히 신기해한다.


나 같은 오이 혐오자에게 한국은 위험한 곳이었다. 오이가 들어간 음식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오이냉국, 오이소박이처럼 오이가 메인인 음식도 많지만, 김밥, 미역무침, 해파리냉채, 양장피처럼 오이가 늘 빠지지 않는 조합도 있다. 저녁 밥상에 오이냉국이 올라오면 냄새 때문에 그날은 내 밥그릇을 들고 방으로 피신해야 했다. 나이 40이 되도록 양장피는 아예 먹어 보지도 못했다. 남이 주는 음식을 잘 안 받아먹는 것도 그래서다. 고등학교 때 수학여행 버스 안에서 친구가 거듭 권한 샌드위치를 입에 넣었다가 0.1초 만에 앞자리로 발사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분식집에 가면 본의 아니게 까탈스러운 손님이 되곤 했다. 쫄면에, 김밥에, 오이 꼭 빼주세요,라고 신신당부했는데 여지없이 촉촉한 위용을 자랑하며 등장하는 생오이. “아줌마, 저 오이 못 먹는데...”라고 하면 “바꿔줄게”보다는 오이가 얼마나 좋은 건데 왜 안 먹냐는 잔소리가 시작됐다. 식당에서만 그런 것도 아니다. 친목 모임에서든, 술자리에서든, 오이 이야기가 나오면 오이가 피부에, 다이어트에, 얼마나 좋은 건데 왜 안 먹냐는 이야기가 빠지지 않았다. “그럼 오이팩도 안 하겠네?”라는 말은 몇 번이나 들었는지 셀 수도 없다. (생오이를 갈아서 코 옆에 붙인다니...그 자체로 공포다.)


좋은 걸 몰라서 안 먹는 게 아니다. 나도 어쩔 수가 없다. 오이를 먹어야 날씬할 수 있다면, 1초도 고민 않고 뚱뚱이로 사는 쪽을 택하겠다. 내가 오이를 왜 싫어하는지 타인을 납득시켜야 할 의무가 있을까? 비위가 약해서 먹을 수 있는 식재료가 손에 꼽는 사람도 아니고, 오이만 제외하면 천엽에서 개불까지 육해공 가리지 않고 너무 잘 먹어서 탈인데. 그냥 오지랖일 수도 있고, 한국인의 끈끈한 정의 표시일 수도 있다는 걸 안다. 하지만 나에게 좋은 것이 너에게도 좋을 것이라고 단정 지어서는 곤란하다. 다수가 좋아하니 그렇지 않은 소수는 참아야 한다고 말해서는 안된다. 그 대상이 오이든, 종교든, 직업이든, 세상에는 나와 다른 관점이 존재한다는 걸 이해해 줬으면 좋겠다.


그래서 난 내 딸이 양파를 극렬하게 싫어하는 것쯤 쿨하게 인정한다. 양파가 얼마나 몸에 좋은데,라고 타박하지고 않고, 안 보일 정도로 잘게 다져 음식을 만들지도 않는다. 양파가 목구멍을 넘어가야만 낫는 병에 걸린 것도 아닌데 프렌치 어니언 수프 못 먹는 것쯤 뭔 대수랴.


요즘은 시대가 많이 바뀌었다. 나 같은 손님들의 목소리가 커져서인지 알레르기의 위험성이 알려진 탓인지, 이런 부탁이 이제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 심지어 김밥 주문받으시는 분이 “우리 집은 김밥에 오이 대신 시금치 넣어”라고 하셔서 나를 감격하게 할 때도 있다. 좋은 현상이다.

 

친구가, 혹은 친구의 사돈의 팔촌이 싫어하는 게 있다면 그냥 내버려 두자.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고, 분열시키는 종류의 증오가 아니라면. 오죽 싫으면 이메일까지 ihatecucumber로 지었겠나. 심지어 나 같은 사람이 너무 많아서 그 뒤에 네 자리 숫자까지 붙여야 했다.


(행여나 제목만 보고 격분하신 오이 농가분들이 계다면 죄송합니다 - 오이 농가의 외손자이자, 저 같은 사람과 같이 살면서도 오이를 몰래몰래 사 먹어 오이 소비에 보탬이 되는 우리 남편 같은 사람도 있습니다. 우리 같은 소수의 권리를 좀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에 지은 제목일 뿐이에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