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AI 프롬프트를 실무에 적용하는 방법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 방법

by 일상예술가 정해인 Mar 10. 2025

https://brunch.co.kr/@hermite236/1850

  AI는 어떤 명령(프롬프트)을 쓰느냐에 따라 결괏값이 달라집니다. 지난번에도 올린 적이 있지만 실제 제가 활용하는 프롬프트 몇 가지를 공유해 봅니다.


*명확한 지시어 사용하기

-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줘" - 복잡한 개념을 단순화하여 설명받고 싶을 때 활용합니다. 문서의 내용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복잡하다면 내용의 이해를 쉽게 해 달라고 명령합니다. “중학교 3학년 수준으로 작성해 줘. 이 일을 처음 접한 사람이라고 했을 때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 줘”와 같이 구체적인 수준을 제시해 주면 그에 맞춰 내용을 만들어 줍니다.


- "주요 논점과 핵심 논리를 3줄로 요약해 줘" - 핵심만 빠르게 파악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A4문서 100장 분량의 자료를 받았습니다. 담당자에게 10분 안에 피드백을 해야 하죠. 이런 긴급 상황에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때로는 핵심만 아주 간단히 파악하고자 할 때 쓸 수도 있습니다.


- "몇 자 분량으로 정리해 줘" - 원하는 길이로 콘텐츠를 제한할 때 활용합니다(예: "1,500자 분량으로 정리해 줘") 제가 에세이를 쓸 때 많이 활용합니다. 카톡 대화 내용을 붙여 넣습니다. "친구와의 오랜 대화에서 행복이란 내용으로 글을 쓰고 싶어, 2,000자 분량의 에세이를 작성해 줘"

  그렇게 나온 글에서 제가 생각했던 의도와 다른 내용들을 빼고 나면 다음과 같이 글이 나오게 됩니다. 

https://brunch.co.kr/@hermite236/1854#comments

*비판적 사고 유도하기


- "문서에서 제시하는 근거와 법령은 무엇이야" - 주장의 근거를 확인하고 싶을 때 활용합니다. 대량의 문서에서 주된 근거와 법령을 찾기 위해서 활용하는 명령이지요. 


- "이 의견에 대한 반박 한다면 어떤 논리와 근거, 법령으로 반박할까?" -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제가 생각한 의견 외에도 다른 창의적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찾을 때 쓰는 프롬프트입니다. 


- "반대되는 의견 10가지를 만들어줘" - 다양한 시각과 가능성을 탐색할 때 활용합니다. 10가지를 만들어달라고 하면 물론 AI가 없는 이야기도 만들어 냅니다. 하지만 그럴듯한 논리도 가끔 보입니다. 


# AI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오류


*할루시네이션 문제

  AI는 때때로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사실처럼 제시하는 할루시네이션을 보입니다. 특히 법률 조문이나 사건번호처럼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한 분야에서는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반드시 검증해야 합니다. 00나 1234 이런 식으로 사건 번호를 제시하는데 찾아보며 현실에 없는 사건번호인 경우가 있습니다. 근거 법률 역시 실재하지 않는 조항이기도 하지요. 그래서 AI가 제시한 법령이나 통계, 연구 결과는 실제 존재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중요한 의사결정이나 법적 문서 작성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검토를 거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실무 적용 관점


*80% 솔루션으로서의 AI

  AI는 60-80% 수준의 퀄리티를 10분 안에 제공하는 도구로 활용하는 것이 적합 합니다. 완벽한 결과물보다는 빠른 시간 내에 기초 작업을 완료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가 보완하는 접근이 유용합니다.


*데이터 요약 및 정보 압축

  대량의 자료를 짧은 시간에 요약하거나 핵심을 추출하는 데 탁월합니다. 보고서 초안 작성, 시장 조사 자료 요약, 고객 피드백 분석, 발표 원고문 작성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 발굴 도구

  브레인스토밍이나 새로운 시각을 찾는 과정에서 AI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시합니다. "이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같은 질문으로 창의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실무 적용 전략


1. 명확한 목표 설정 : 프롬프트 작성 전 원하는 결과물의 형태와 용도를 명확히 합니다.


2. 단계적 접근 : 한 번에 완벽한 정보를 얻으려 하지 말고 여러 단계에 걸친 질문 과정을 통해 프롬프트를 구성합니다.


3. 결과 검증: AI의 응답은 항상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필요시 추가 검증을 거칩니다.


4. 지속적 개선 : 효과적이었던 프롬프트를 기록하고 개선해서 다음번에도 또 사용합니다. 


  AI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단순한 질문보다 전략적인 접근을 통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AI의 한계를 인식하고 보완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세무사를 판단하는 잣대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