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문민정 Aug 26. 2016

4.1.초등학생 아이와 함께 영어책을 고르고 읽는 방법

7세~12세 아이들과 함께 책 읽기

초등학생(7~12세) 시기의 영어 독서의 목적


음독(Oral reading: 소리 내어 읽기)에서 묵독(Silent reading: 눈으로 읽기)으로

 

앞서 '알파벳 카드로 단어 만들기 https://brunch.co.kr/@mjmoon/8'에서 언급했듯이, 글자를 알고 나서 중요한 것은 소리와 표준 철자를 일치시키는 일입니다. 아동들은 단어를 파악하기 위해 글자들을 소리로 바꾸어 단어를 인식하다가 이 과정이 자동화되면서 유창하게 눈으로 읽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영어 독서를 시작하는 시기에는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읽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글자와 소리의 연관관계를 분명하게 습득하고, 발음과 악센트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동이 책을 소리 내어 읽게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아동이 표준 철자에 맞게 발음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유창하게 소리 내어 읽게 되면, 눈으로 읽는 단계(Silent reading, 묵독)로 넘어가도록 도와주는 것이 초기 영어 독서 지도의 핵심입니다.


초등학생 시기에 소리 내어 읽기(Read aloud)가 효과적인 이유는, 우선 아이들이 말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아직 문장을 제대로 말할 정도의 문장 구조에 대한 지식이나 어휘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책을 소리 내어 읽거나 그 내용에 대해서 영어로 간단히 말하는 것은 부담 없이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직까지 아이들의 주의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직접 말하고 따라 해 보는 활동이 적합합니다. 또한 앞서 파닉스 학습 가이드에서 밝혔듯이 소리내어 말할 수 없는 단어는 의미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처음보는 단어도 유창하게 소리내어 읽을 수 있을 때까지는 Read Aloud를 계속해야 하며, 나중에 묵독 단계에서도 발음하기 어려운 단어는 꼭 짚어서 정확히 발음해보도록 합니다.


한편 읽고 쓰는 활동의 경우, 어릴수록 쓰는 속도도 느리고 정확하게 쓰기 힘들어하기 때문에, 책에서 본 단어를 소리 내어 따라 써 보며 표준 철자와 소리의 관계를 연습하는 정도로 시작해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점차 늘려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언어발달에 맞게 영어책을 고르는 방법


어휘 수준에 맞는 책이란?


아동들은 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오감을 자극하고 개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그림책이나 리듬감이 있는 단어가 반복되는 책, 혹은 그림을 설명하는 글이 그림과 함께 나와있는 책을 봅니다. 이때까지는 보통 아이들이 책을 읽어달라고 하고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듣습니다.


이제 이 시기를 지나 7세 이후에는 아동이 스스로 글자를 읽고 이야기를 이해해야 합니다. 이 변화의 과정을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도와주는 일이 바로 어휘 수준에 맞는 책을 고르는 것입니다. 당연한 이야기 같겠지만, 그림을 설명하는 글이 한 두 문장으로 적은 책에서 그림이 적고 글이 많고 이야기가 길어지는 책으로 올라갑니다. 여기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아이의 수준에서 어려운 책을 읽혀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어떤 글이나 문장에서 95% 이상의 어휘를 알아야 글에서 모르는 어휘를 문맥을 통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Bhatia Laufer, 1992) 아동의 어휘 수준보다 어려운 책은 내용을 이해하거나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는 데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새로운 어휘가 많은 책을 읽는다고 단어를 많이 알게 되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글에서 새로운 어휘를 사전을 찾지 않고 문맥에서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접하며 단어를 배우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동의 어휘 수준에 맞는 책으로 시작하여 점차 전체적인 어휘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책이 어휘 수준과 맞는지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책을 고를 때는 보통 한 손, 다섯 손가락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아이에게 한 페이지 당 모르는 단어가 몇 개인지 물어봤을 때, 0-1개로 한 손가락도 겨우 펴면 너무 쉬운 책이고, 한 손을 넘어가는 6개 이상이면 어려운 책입니다. 모르는 단어가 한 손안에 2-5개 사이면 모르는 단어 때문에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지도 않고, 삽화나 글의 맥락을 통해 새로운 어휘도 배울 수 있는 적절한 수준의 책입니다.  


좋아하는 책을 아이가 직접 고르게 하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항상 아이들한테 읽고 싶은 책을 골라오라고 합니다. 그리고 읽다가 재미가 없다고 하면 그만 읽고, 재밌는 책을 다시 골라보라고 합니다. Stephen Krashen(1985, 1989)과 Bamford(1998) 등 여러 학자들은 시험을 칠 때 지문을 읽는 것과 같은 목적이 없이, 그저 독서의 즐거움(reading for pleasure)을 위해 이루어지는 폭넓은 독서활동(extensive reading)이 어휘력 향상에 최고의 방법이며, 독해력, 철자 학습 및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데 핵심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초등학생이 되더라도 아직은 자기중심성이 남아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일수록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이야기에는 집중을 하지 못합니다.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학습을 위해 읽는 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이야기 자체가 재밌어야 영어 습득이 따라온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서 지식을 얻기 위해 책을 읽을 필요성을 스스로 느끼게 되면 아이의 관심사에 맞게 좋은 글들을 추천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책의 내용 면에서는 아이들이 모국어로도 알고 있는 개념을 다루는 친숙한 이야기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아이들은 인과관계가 분명한 이야기를 뒤에 벌어질 일들을 궁금해하며 흥미로워하기 때문에 아동용 책들은 사건 전개가 분명한 책들이 많습니다. 요즘 아동용 도서들은 장르별로 종류도 다양하고 어휘 수준별로 구분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흥미를 느끼는 책들을 다양하게 읽으며 전체적인 어휘 수준을 높여나가면 되겠습니다.


초등학생 아이와 함께 하는 영어 독서 과정


그럼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이 정말 좋아하는 책 "Morris Goes to School"을 예로 들어, 실제로 아이들과 영어책을 함께 읽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읽기 전 단계(pre-reading phase): 표지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내용 추측해보기


책을 읽기 전 단계에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배경지식을 충분히 설명하는 것입니다(Activate background knowledge). 또한 책의 내용 이해에 반드시 필요한 단어도 미리 설명합니다. 보통 책 표지를 보면서 아이들의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대화를 나눕니다.


먼저 책 제목 'Morris Goes to School'을 함께 읽으며 제목의 뜻을 살펴봅니다. 그리고 책 표지를 보며 간단한 질문을 서로 합니다. Morris는 누굴까요?(Who is Morris?), Morris는 사람일까요, 동물일까요? (Is he a man, or an animal?) 근데 Morris는 왜 학교에 갔을까요? (Why does he go to school?) Morris랑 친구들은 학교에서 뭘 하고 있을까요? (What are they doing?) 등 다양한 얘기를 하며 책의 내용을 추측해봅니다. 질문은 보통 5 W1 H(who, what, where, when, why, how)를 바탕으로 하면 내용을 생각해보기 좋습니다.


또한 이 책에서 Morris는 moose이기 때문에 moose라는 단어를 알아야 합니다. moose는 북미 지역에 사는 큰 사슴이라는 설명을 해줍니다(모르면 같이 찾아봅니다). 내용을 먼저 보지 못하고 바로 책을 가져와서 읽어줄 때는 Morris가 어떤 동물인지 얘기해봅니다. 이렇게 내용 이해에 반드시 필요한 단어에 대해 미리 얘기해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들은 이미 알고 있는 개념과 새로 알게 되는 개념을 연관 지을 수 있고,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과 기대감을 갖게 됩니다.


읽기 단계 (during-reading phase)의 다양한 활동 


소리 내어 읽기 (Read Aloud)


먼저 아동이 소리 내어 문장을 읽도록 합니다. 처음 접하는 단어의 발음을 말해주지 않고, 아동이 먼저 발음해보도록 합니다. 정확히 발음하지 못하면 정확한 발음을 알려줍니다. 아동이 좀 더듬더듬 읽어도 좋습니다. 아이들은 더듬더듬 읽다가 나중에 유창하게 읽기만 해도 성취감을 느끼기 때문에 더듬거리더라도 처음 보는 단어는 원래 다 그런 거라며 격려해가며 읽도록 합니다.


한 페이지를 다 읽고 나면, 틀리게 발음한 단어를 연습합니다. 예를 들어 'would'의 경우 'l'이 묵음이고 w발음이 익숙하지 않아 아이들이 낯설어합니다. 이를 두세 번 같이 정확하게 발음해봅니다. 그러고 나서 would가 들어있는 문장의 단어를 늘려가며 연습합니다. "would, would, would...... would you, would you, would you...... What would you like? What would you like?"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죠.


주의할 점은 아동이 읽을 때 너무 유창하게 읽는 수준까지 기대해서는 안됩니다. 듣기가 편하다가 문자를 읽기 시작하는 경우 더듬거리는 것을 이해해줘야 합니다. 또한 아동이 더듬거리는 모든 단어를 위와 같이 연습하게 되면 읽기가 아니라 발음 연습이 됩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발음 연습은 내용 이해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중요한 단어만 골라 읽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해 주고, 유창하게 읽는 연습은 혼자서 하도록 하고 나중에 다시 소리 내어 읽어보게 합니다.


내용에 관해 대화하기


두 페이지를 읽고 나면 아동에게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물어봅니다. 위 책 내용에서 아동이 "아니 6개 있는데, 자기가 4개 가지고 있대요.' 정도로 말하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것이죠. 그리고 아동이 이해가 잘 안 가는 부분을 자세히 질문하도록 합니다. 또한 'gumdrops'나 'penny'와 같은 내용상 중요하고 새로 접하는 단어가 뭔지 그림을 보며 추측하게 하며 함께 알아봅니다. 예를 들어 gumdrop의 경우, "여기는 candy store이잖아, gumdrops는 작은 젤리 같은 거지(They are small jellies.)" 이렇게 설명해주는 것이죠. penny는 대화에서 money라는 단서가 나와있고, 그림을 보면 동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책의 내용을 해석해주기보다는 내용에 대해 대화를 나눕니다.


역할놀이 하기


아이들이 책을 읽다가 지루해할 때, 또한 처음에 더듬거리며 소리 내어 읽은 내용을 자연스럽게 말하기 위해 지금까지 읽은 내용의 마무리 활동으로 역할놀이를 합니다. 많은 아동용 책들이 이렇게 대화체가 많아 역할 놀이에 매우 유용합니다. 이를 활용하여 책 내용에서 대화체 부분을 바탕으로 Morris와 사탕 가게 주인의 역할을 맡아 대화를 나누어봅니다. 대화가 끝나면 역할을 바꿔서 또다시 역할놀이를 해봅니다. 이와 같이 짧은 이야기를 가지고도 많은 대화와 다양한 활동을 재밌게 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함께하는 독서 과정의 장점


단순히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책의 내용에 관해 적극적으로 생각을 해보는 과정을 상호작용적 읽기(interactive reading)라고 합니다. 이는 책의 내용을 수동적으로 읽는 것에서 나아가 독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 개념을 활용하고 지식을 확장해나가는 적극적인 과정입니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아이와 내용에 대해 사고하며 책을 읽는 과정을 통해 앞으로 아동은 혼자서도 책과 상호작용하며 자신의 지식을 구성해나가는 방법을 익혀나가는 것이죠.


또한 자연스럽게 영어를 접하기 힘들면서 영어를 배워야 하는 환경에서, 책은 아동이 올바른 문법과 어휘에 자연스럽게 계속해서 노출되는 데에 가장 좋은 학습자료입니다. 지도하는 사람의 언어 수준이 완벽하지 않다 하더라도 이렇게 수준에 맞는 책을 찾아 적극적으로 독서과정을 함께 해 주기만 해도, 아동은 스스로 영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4. (7~12세) 소리 내어 읽기(Read Aloud) 단계

4.1. 초등학생 아이와 함께 영어책을 고르고 읽는 방법 https://brunch.co.kr/@mjmoon/9

4.2. 초등학생에게 맞는 간단한 독서노트 작성하기 (7~9세) https://brunch.co.kr/@mjmoon/10 

4.3. 초등학생 독서노트 양식 - 중급 (10세~12세) https://brunch.co.kr/@mjmoon/53

4.4. 초등학생 독서노트 양식 - 상급 (12세~) https://brunch.co.kr/@mjmoon/54


< 참고문헌 >

Patsy M. Lightbown, Nina Spada. 2006. How Languages are Learned?. Oxford University Press.

H. Douglas Brown. 2001. Teaching by Principles. Longman.

Robert S. Siegler. 1995. 아동 사고의 발달(Children’s Thinking). 미리내.

김혜리. 2015. 아동 문학과 영어교육. 한국문화사.


* 커버 이미지: Harry Allard, James Marshall. Miss Nelson Is Missing. p. 20~21. Sandpiper Houghton Mifflin Books.

이전 12화 3.3. Pictionary로 재미있게 단어 공부하기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