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 12년의 나를 만난다면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
“오빠, 물!”
아내가 이렇게 외치면 나는 어디에 있든, 무엇을 하든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냉장고로 향한다. 유리잔에 물을 따라 아내에게 건넨다. 예외는 없다. 친구들과의 술자리에 있는 내게 이런 카톡이 오기도 하는데. [어디냐? 와이프 목말라 죽어] “뭐야 벌써 일어나?” “나 일이 좀 생겨서. 먼저 들어갈게.”
결혼 직후, 우리 부부는 집안일을 분담했다. 화장실 청소는 나, 빨래는 아내, 음식물 쓰레기 처리는 나, 요리는 아내, 설거지는 나, 물 떠주기 나.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어 물 떠주기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더니 와이프 왈 “사람이 물 마시는 게 중요하다고 하잖아.” “그렇지.” “나도 하루 9잔씩은 물을 마셔야 하고.” “그렇겠지.” “내가 물을 못 마시면 안 되잖아.” “안 되지.” “그래서 오빠가 물을 떠줘야 하는 거야.” “아~, 맞네.” 그래서 5년째 물을 따르고 있다.
와이프에게 물 따라주는 건 평일 평균 1잔, 주말 평균 3잔. 밥 먹으며 함께 물 마시는 건 뺀 숫자다. 1년이 52주, 5년이면 대략 2,860잔이다. 처음엔 귀찮았지만, 그런 단계는 지났다. 딱히 귀찮진 않다. 다만 약간의 지루한 감이 있어, 물 주기에 약간씩 변주하며 재미를 추구하고 있다.
물잔을 다양하게 써보고, 쟁반과 물컵을 매치하기도 한다. 북유럽 스타일 물잔 쟁반, 일본 스타일 물잔 쟁반. 이태원에 있는 편집숍 디앤디파트먼트에서 집에 있는 미니멀한 유리잔에 어울리는 남색 플라스틱 트레이를 발견했다. 뛸 듯이 기뻐하며 집으로 향했다. “빨리 배송돼라. 어서 물을 줘야지.”
물만 떠주고 휙 돌아서진 않는다. 매정한 감도 있거니와, 빈 잔을 싱크대에 넣어놓기 위해서다(설거지 담당은 나). 누군가 물 마시는 모습을 멀뚱멀뚱 2,860번쯤 보면 그만의 고유한 물 마시는 자세를 알게 된다. 아내는 눈을 똑바로 정면으로 향한 채 고개를 재빨리 휙 위로 올린다. 마치 잔을 입에 댄 채 갑자기 뒤로 쓰러지는 모양새다. ‘낙차를 최대화해 물을 넘기려는 건가?’ 구경하는 것도 재미다.
아내는 고양이과다. 단발머리에 살짝 올라간 눈꼬리도 고양이 같고, 소파에 동그랗게 몸을 말고 앉은 모습도 영판 고양이. 자기가 원할 땐 다가오지만, 평소 (사실상 하루 대부분) 귀찮을 땐 누가 가까이 오면 단호한 표정으로 거부 의사를 표현한다. 고양이과답게 호오(好惡)가 강해서 주로 하는 말은 “○○ 싫어!”
반면 난 개과다. 멍청한 시바견. 덩치도 꽤 큰 편이고 표정도 ‘뚠뚠’하다. 누가 다가온다고 피하고 귀찮아하진 않는다. 무던하게 받아준다. 남의 주장에도 ‘뭐 그렇다면 그렇겠지’라며 쉽게 수긍한다. 반면, 무심한 개과답게 상대의 메시지엔 예민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이 사람이 지금 왜 이러지? 막상 알아차려봤자 어찌 반응할지 몰라 멀뚱히 쳐다보고만 있다.
며칠 전 아내 기분이 나쁜 것 같아, 분위기 전환을 위해 재밌게 들었던 팟캐스트 에피소드를 꺼내보았지만 “오빤 그런 이야기를 꼭 지금 해야 해?” “아니지. 꼭 지금 할 필요는 없는 이야기지. 미안.” 뚠뚠.
결혼한 남녀들은 흔히 어쩌구저쩌구 결혼에 대한 일반론을 펼치곤 하는데, 미혼인 독자 여러분은 딱히 귀 기울여 듣지 말길 권한다. 고정관념에 얄팍한 자기 경험을 덧댄 단견이 대다수다. 예컨대 ‘결혼한 여자는 원래 감정 기복이 심하다’고 하는데, 내가 경험한 아내는 감정 기복이 심하지 않다. 늘 동일한 수준으로 화가 나있다. 기분 좋음 수치 10점 만점에 3~4점대가 꾸준히 유지된다. 기복이 심하다니 무슨.
‘여자는 기분 나쁜 이유가 있는 게 아니다. 기분 나쁜 시기가 있는 것이다.’ 이것도 내 경우엔 틀린 팩트. 이 논리에 따르면 조금만 버티면 다시 상황이 좋아져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가 않다. 아내는 늘 정확하고 타당한 이유가 있어 기분이 나쁘다. 집에 있는 시바견 따위에게 일일이 설명하고 싶지 않을 뿐이다. 그리고 그 문제가 해결되어야 기분이 좋아진다.
결국 모든 부부는 고유한 특성이 있고, 고유의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밖에 없으며, 그래서 우리 집의 문제 해결법은 생선 구워 먹기다. 귀납적 방법으로 발견했다. 생선을 먹으니 아내가 욕을 하지 않았다. 생선을 먹었더니 아내가 웃었다. 생선을 먹었더니……. 상황이 꼬인 날엔 함께 마트에 가서 그날 먹을 생선을 고른
다. 칼질한 후 레몬이나 허브를 얹고 오븐에 굽는다. 살결이 찰진 참돔도 좋고, 기름진 눈볼대도 좋다. 이런저런 이유로 집안 경제가 파산에 이른 적이 있는데, 큰맘 먹고 민어를 먹는 호사를 부렸더니 마음이 여유로워졌다. 무슨 일이든 잘 풀릴 마냥.
내 20대 중반은 온 삶이 몽땅 고통, ‘일체개고(一切皆苦)’라 표현할 만큼 힘들었다. 고통의 중심엔 불안이 있었다. 특별한 능력 없이 세상 잉여로 살아가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며, 더 들어가면 내가 기껏 이어가는 삶이 아무 의미도 없을지 모른다는 불안이었다. 술만 퍼마시던 1년이 있었고, 게임으로 생각의 틈을 메우던 여름도 있었다. 스물여섯 살의 겨울에는 “난 누구며, 세상에 살아가는 의미는 무엇인가. 그걸 찾자. 거기서 시작해야 한다”라며 철학책을 들고 도서관에 파묻혔다. 하지만 사색으로 해결되는 건 아무것도 없었다.
지금의 내가 타임머신을 타고 돌아가, 12년 전의 나를 만난다면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 “10년 후에 넌 어차피 와이프 물 떠주고 있을 거야. 너무 고민 말고 적당히 해.” 고양이 같은 아내 물 떠주고, 생선 구우며 지낼 줄 알았으면, 마음 편히 하고 싶은 거나 할걸.
P.S.
어차피 여러분도 10년 후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