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동이 May 09. 2024

아직도 가야할 길

우당탕탕 학교 밖 이야기

은둔형 외톨이와 묻지마 범죄

지난해 서울 관악구에서 발생한 묻지마 범죄의 피의자인 최모씨가 '은둔형 외톨이'로 알려지며,
고립은둔 청소년과 청년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고립은둔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있지만, 동시에 우려도 생깁니다.
언론이 이들을 잠재적 가해자로 묘사하며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오해

현장에서 만나는 은둔 청소년과 청년들은 일부 언론이 묘사하는 것과는 매우 다릅니다.
이들은 범죄를 저지르는 위험한 사람이 아니라,
심리적, 사회적 어려움 속에서 자신의 공간에 갇혀버린 사람들입니다.

'은둔형 외톨이'라는 개념은 일본의 '히키코모리(引き籠もり)'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문제는 일본과 한국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사회적 시선과 경쟁 중심의 문화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고립 은둔 청년의 현황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19~39세 청년의 약 3.3%인 9만 5천여 명이 고립된 상태이며,
1.2%인 약 3만 4천 명은 은둔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은둔의 주요 계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실직 및 취업의 어려움

심리적, 정신적 문제

인간관계 맺기의 어려움

학교생활의 무의미

따돌림과 괴롭힘

학업중단과 진학실패

가족 갈등과 가정의 구조적 문제

특히 코로나19 이후 은둔형 외톨이의 발생률은 1% 미만에서
2021년 2.15%로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청소년기부터 시작되는 은둔

은둔형 외톨이는 대부분 청소년기에 시작됩니다.
청소년들은 감정을 표현하는 데 서투르고,
타인의 시선을 불편해하며, 따돌림을 경험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사회관계를 맺고 싶어 하지만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습니다.

경쟁 중심의 교육과 사회 속에서 버티다 지친 이들은
결국 자신만의 공간으로 피하며 은둔 생활을 시작합니다.


고립된 청소년의 특징과 어려움

은둔형 외톨이들은 사회적 시선을 두려워합니다.
누군가가 접근하려 하면, 더 깊은 은둔으로 들어갑니다.
학교 밖 청소년 중에도 이런 고립된 이들이 많습니다.

이들은 능력과 상관없이 더 잘해내야 한다는 압박 속에서
고립을 선택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대한민국의 미래와 과제

앞으로 10년 동안 대한민국에서 고립 은둔 청소년과 청년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지원사업을 넘어,
이들이 사회와 관계를 맺고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돕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은둔형 외톨이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을 개선하고,
이들이 숨지 않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이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시나요?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과 청년들에게 우리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