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대박성진 Oct 22. 2021

회고와 지속적인 개선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 (7화)

“오늘은 안녕하신지요?”
여러분의 오늘 속에 살고 있는 니체입니다.


 지난 만남에서는, 우리의 삶을 보다 충만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메타인지적 활동인 ‘성찰(reflection)’과 ‘회고(retrospective)’ 중 ‘성찰’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았습니다. 앞서 언급드렸 듯, 성찰과 회고를 별개의 의미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보다는 이 둘을 유사한 의미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다만 성찰과 회고를 하다 보면 자연스레 잘한 점보다는 개선해야 할 점에 초점을 두게 되는데, 이게 너무 잦아지다 보면 바쁜 업무와 관성으로 인해 변화와 개선이 더딘 스스로를 마주하며, 이상과 현실과의 괴리감으로 인한 자괴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요즘 한국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가리켜 ‘현타(현실자각 타임) 왔다’고 표현하는 것 같더군요. 그리하여, 저는 성찰과 회고를 각각 다른 목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습니다. 우선 자주 실행하는 것(일일/주간/월간 단위)을 ‘성찰(reflection)’이라 구분하고, 이 때에는 의지(-심!)를 담아 아쉬운 점보다는 ‘잘한 점’에 보다 초점을 두어 스스로를 칭찬하고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것에 집중하기를 제안 드렸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음미하기(savoring)’와 ‘연결하기(connecting)’, 그리고 ‘기록하기’를 지난 만남에서 소개 드렸습니다.


 자, 오늘은 ‘회고(retrospective)’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눠봅시다. 성찰을 통해 아쉬운 점보다는 ‘잘한 점’에 보다 초점을 두어 스스로를 칭찬하고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회고에서는 본격적으로 ‘성장’에 초점을 두게 되며, 그 주기는 성찰(일일/주간/월간)보다는 다소 뜸하게 진행하는 것(분기간/반기간/년간)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바처럼 변화와 개선이라는 것이 그리 빠르고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소위 말하는 ‘현타’를 예방하기 위해섭니다. 


 예전 만남에서 살펴보았던 더글라스(Douglas)가 ‘A/B/C’로 구분한 일의 유형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봅시다. 우리가 늘상 하는 일은 ‘A 유형’의 일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B 유형’의 일은, 우리가 늘상 하는 일(A 유형의 일)을 어떻게 하면 더 잘 할 수 있을 지를 고민하고 개선하는 일이지요. ‘C 유형’의 일은 한발 더 나아가, 개선(B 유형의 일)을 어떻게 더욱 개선할 것인가에 관한 일입니다.


 한편, 교육학자 메지로우(Mezirow)[1]는 회고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합니다.  

내용(content) 회고: 내용과 성과에 대한 회고

과정(process) 회고: 과정과 방식에 대한 회고

전제(premise) 회고: 오랫동안 갖고 있던 자신의 전제, 신념 그리고 가치, 목적에 대한 회고



 더글라스와 메지로우의 개선을 위한 회고 활동을 합쳐보면,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B 유형’의 개선 활동에 1) 내용(content) 회고와 2) 과정(process) 회고를 포함하여 세분화할 수 있고, ‘C 유형’의 개선 활동으로 3) 전제(premise) 회고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여러분이 회고를 할 때에, 아래와 같은 질문을 던져 볼 수 있는 겁니다.  

이루고자 한 계획들을 잘 달성했는지? (content)

일하는 방식이나 과정을 개선할 부분은 없는지? (process)

근원적인 목적과 방향성, 정신모형에 대해 다시 검토해야 할 필요는 없는지? (premise)


 회고의 과정에서, 현재 하고 있는 일의 성과(content)나 방식(process)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근원적인 삶의 목적과 정신 모형(mental model)에 대해 주기적으로 되돌아 보고 이를 새롭게 갱신하는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

 우리는 세상을 직접 바라보고 느끼고 이해하는 것처럼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이를 재해석하여 우리 나름의 세상에 대한 모형(model)을 머리 속에 재구성하고, 이러한 정신 모형(mental model)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고 하였습니다. 헌데 이러한 전제, 즉 정신 모형이 잘못되어 있다면 아무리 열심히 일한들 바쁘기만 한 채 제자리에서 쳇바퀴를 굴리거나 혹은 엉뚱한 곳을 향해 달려가고 있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정신 모형을 2가지로 구분하자면, ‘정신 모형 I’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살아왔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현재를 좀더 효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만들어진 정신 모형이고, ‘정신 모형 II’는 앞으로 어떻게 사는 것이 의미 있는 삶인지, 이 삶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다룰 것이지 등의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미래를 위한 정신 모형이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회고를 통해 ‘정신 모형 I’을 새롭게 갱신하고, ‘정신 모형 II’를 조금 더 선명하게 그려보는 시간을 갖는 겁니다. 



 사실, 인생의 사명과 목적(정신 모형 II)을 먼저 선명하게 그려놓고 이를 향해 달려가는 사람은 생각보다 그리 흔치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확실한 삶 속에서 좌충우돌하며 ‘디아스포라(Diaspora)’적으로 흩어져 있는 삶의 다양한 조각들을 조금씩 꿰어가면서 자신의 삶의 목적과 의미를 평생 동안 부여해가는 여정을 살아 갑니다. 이러한 표현이 제 의도와는 다르게 왠지 ‘방랑자’적인 삶처럼 부정적으로 들릴 지 모르겠네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삶 속에 다양성과 차이를 만드는 여정이며, 이렇게 풍성해진 다양성들을 꿰어내는 애자일한 삶의 여정입니다. 그 여정 속에서 차차 사명과 목적도 점점 선명해질 것이며, 이를 향한 가치와 비전도 더욱 뚜렷해질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유의할 것은 불확실함에 대해 너무 불안해하거나 조급하게 하실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존 키츠(John Keats)는 자신의 미래와 관련하여 ‘셰익스피어와 같이 문학에서 큰 성취를 이룬 사람들은 과연 어떠한 자질을 갖고 있는지’를 먼저 고민하였고, 이에 대해 ‘Negative Capability’라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이 바로 ‘Positive Capability’인데, 이는 문제를 재빠르게 해치우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현대 경쟁 사회에서는 이러한 ‘재빠른 문제 해결 역량(Positive Capability)’을 핵심 역량으로 여기고 이를 강조해 온 것이 사실입니다. 허나, 경쟁보다는 고유함과 탁월함을 추구하는 문학 분야에 있어서는 이러한 ‘재빠른 문제 해결 역량’보다는 오히려 ‘지긋한 문제 해결 역량(Negative Capability)’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키츠의 생각이었죠. 그리고 키츠는 이러한 ‘지긋한 문제 해결 역량’의 핵심은 바로 ‘불확실함에 온전하게 머물러 있을 수 있는 힘’이라고 시사하고 있습니다. 즉 문제 상황을 불안해하며 이를 재빠르게 해치우려 하기보다는, 문제를 하나의 의문으로 남겨둔 채 흥미롭게 바라보면서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함과 불안정한 상태를 견뎌내는 힘과 용기가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우리의 삶의 문제들을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삶의 문제들을 빨리 해치워야 할 숙제 거리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오랫동안 곁에 두고 지긋이 탐험해야 할 여정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불안함을 견뎌낼 용기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러면서 지금 당장의 상황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부터 작게 실험해보고 조정해가며, 조금씩 조금씩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애자일적 여정을 시도해보는 겁니다. 


 오늘은 우리의 삶을 보다 충만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메타인지적 활동인 ‘성찰’과 ‘회고’ 중, 특히 성장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는 ‘회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회고를 통해 성과(content)와 과정(process)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지를 살피고, 더 근본적으로는 목적(방향성)과 가치, 정신모형을 갱신해 볼 것을 제안 드렸습니다. 또한 삶의 문제들을 너무 조급하게 바라보지 말고 불확실함을 온전하게 견뎌내는 힘을 견지하며, 점진적 지속적으로 나아가는 애자일적 여정에 대해서도 말씀드렸습니다.


 늘 그렇듯이 여러분의 행복과 안녕을 빕니다!  

 이상, 과거에 살았던 니체가 아닌 여러분들의 오늘 속에 살고 있는 니체였습니다. 




[1]  Mezirow, J. (1990).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A Guide to Transformative and Emancipatory Learning, Jossey-Bass, San Francisco.





이전 06화 성찰과 자부심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