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와 함께 애자일을 (4화)
“오늘은 안녕하신지요?”
여러분의 오늘 속에 살고 있는 니체입니다.
지난 만남에서는 삶 속에서의 재미와 의미를 보다 충만하게 만끽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각에 몰입하기와 메타인지적으로 조망하기의 조화에 대해 소개드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삶을 이렇게 감각과 메타인지를 오고 가며 그 재미와 의미를 모두 충분히 즐기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당연히 많은 것들이 필요하겠지만, 저는 우선 ‘여유(slack)’를 확보하여 삶의 흐름(flow)을 원활하게(너무 쥐어짜듯 애쓰지 않고 자연스럽게 흐르는)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여유가 없으면, 재미와 의미를 챙길 겨를이 없습니다.
여유(slack)와 흐름(flow)의 중요성을 가장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교통(Traffic)입니다. 도로가 수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최대 수용량(Capacity)을 기준으로, 실제로 차가 얼마나 많은 지(부하율)에 따라 차의 통행 속도(쓰루풋: throughput)가 달라지지요. 도로의 부하율이 0%라는 의미는 도로에 차가 하나도 없는 상황입니다. 한편 도로의 부하율이 100%라는 의미는 차와 차 사이에 빈 간격(여유)이 전혀 없는 상황으로, 도로가 거의 주차장처럼 되어 차가 옴짝달싹도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모양새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볼 때 교통의 흐름(flow)는 비단 차만이 아니라 차 사이의 간격(slack)이 함께 만들어내는 것이지요.
이러한 차의 흐름은 보통 도로의 부하율이 65%~70% 정도를 넘어서게 되면 그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부하율이 80%가 넘어가게 되면, 급격히 속도가 느려져 교통 정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아래의 그래프는 이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비단 교통에만 해당하지 않고 많은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y축의 이름을 굳이 차의 ‘통행 속도’라는 명칭으로 제한하는 대신에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1]에서 사용하는 ‘쓰루풋(throughput)[2]’이라는 용어로 대신하였습니다.
물론 삶에 정해진 답은 없지만, 이러한 교통 흐름에서 힌트를 얻어 여유(slack)를 20% 정도 확보하는 것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런지요? 자, 그렇다면 기존에 하던 일을 80% 이하로 줄이거나 효율화를 해야겠지요? 요즘 유행하는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 수행하도록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일을 위임하거나 아웃소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아니면 하던 일 중 우선순위가 덜 중요한 일 20%를 과감하게 덜어내는 방법도 있을 겁니다.
허나, 말이 쉽지 이는 상당히 어려운 과정입니다. 특히 ‘한국 사람들’에게는요.
제가 알고 있기로 한국 사람들은 단순히 ‘빨리 빨리’가 아닌, ‘빨리, 많이’의 ‘갈아 넣기’의 선수들입니다. 일제 식민지가 끝나자 마자 한국 전쟁을 치뤘기 때문에 정말 아무 것도 없는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했지만, 불과 50여년만에 ‘경제 발전’은 물론 ‘자유 민주화’도 함께 이루어 낸 것은 정말 말도 안되는 기적 같은 일입니다. 그 누구도 이게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어요. 당사자인 한국 사람들만 빼고 말입니다. 아마 신도 그리 예상하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아, 신은 이미 죽었지요!) 어쨌든 한국의 성장은 그야말로 ‘위버멘쉬’의 표상이죠. 경의를 표합니다!
아이돌 그룹 'BTS'나 영화 '기생충'과 같은 한류 컨텐츠가 세계를 휩쓴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국내 시장의 규모가 작은 한국은 시장을 잘게 세분화할수록 수익성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컨텐츠로도 다양한 니즈(needs)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갈아 넣기를 시도합니다. 그 결과 한국의 아이돌은 노래는 물론 춤과 작사/작곡을 넘어 연기와 외국어까지 두루 섭렵하고 있으며,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 역시 컬트적이거나 예술적 속성을 띄면서도 유머와 대중성을 잃지 않고 많은 관객들의 마음을 동시에 훔칩니다. 정말로 경이롭습니다.
이러한 ‘갈아 넣기’ 신공(!)의 연이은 성공으로 인해, 한국인들은 쉽게 멈춰 설 수가 없습니다. 하고 싶고 해야할 일들이 많으며 이에 대한 성공 경험의 짜릿한 맛을 이미 알기에, 20%의 여유를 만든다 해도 그 공간은 금새 또 다른 일들로 채워질 것입니다.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그 여유의 공간을 충분히 즐길지 못하고 그 여유로움을 되려 불안해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익숙지 않더라도 비우는 연습이 꼭 필요합니다. 이 비움의 시간은 곧 여러분의 삶에 재미와 의미를 채우는 시간이 될테니깐요. 인디언들은 말을 타고 급히 가다가도 어느 순간 갑자기 멈춰 서서 잠시 숨을 고르고 차분히 기다린다고 합니다. 자신의 영혼이 쫓아올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서 말입니다. 이런 여유(slack)의 시간을 갖고 재미와 의미를 즐기는 연습을 꼭 해보시길 권합니다.
다만 한 가지 유념할 점은, 여유는 흐름 속에서 만들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악보의 음표들 사이 사이에 쉼표가 적절히 끼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음표들로만 연이어 빽빽히 채워져 있다가 맨 마지막에 와서야 쉼표들이 한꺼번에 몰려 있는 음악을 상상해 보세요. 또는 도로가 막힌다고 해서 한꺼번에 차량 유입을 모두 통제했다가 다시 한꺼번에 통제를 푸는 식으로 간격을 갖는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이러한 슬랙(slack)은 교통 흐름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일을 미친듯이 몰아쳐서 하다가 갑자기 모든 것을 내려놓고 쉼을 갖는 것 또한 지속적인 원활한 흐름을 만들거나 일상 속에서 재미와 의미를 채우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사실 가끔씩은 이러한 큰 마디와 매듭 또한 필요합니다만!)
한편 여러분들은 여유를 확보하면서도 기존에 하던 일의 효과성을 떨어뜨리고 싶지는 않을 겁니다. 이를 위해서는 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유의 확보를 위해 일하는 시간이 줄어든 만큼 꼭 해야 할 일의 우선 순위를 결정해야겠지요. 꼭 해야 할 일을 결정한다는 말은, 지금 당장은 하지 않아도 될 일을 결정하는 것과도 같습니다. 최근 인기를 끌었던 OKR(Objective and Key Results)도 3개월 동안 꼭 해야 할 단 한 가지의 목표(objective)와 핵심 결과 지표(key results) 3가지를 정하는 것부터 시작하지요. 이는 다른 것도 하되 이것 만은 꼭 해야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른 것들은 잠시 내려놓고 이것에만 일단 집중하자는 것을 뜻합니다. 야근과 주말 근무를 통해 갈아 넣기 신공으로 모든 것을 하려 하지 마시고, 집중해야 할 것의 우선순위를 정하고(당장은 하지 않을 것 또한 함께 정하고), 여유를 확보하는 연습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내친 김에 한 가지를 더 연습해 볼까요? 이왕 줄이는 거 80%가 아닌 70%까지 좀 더 화끈하게 줄여봅시다. 여유를 20%가 아닌 30%로 확대하자는 말이냐고요? 그렇진 않습니다. 여유는 그대로 20% 정도로 유지하는 대신에 나머지 10%는 “메타인지”를 위한 시간으로 확보해 봅시다. 사실, 메타인지적 관점은 일을 하는 도중에도, 그리고 애써 확보한 20%의 여유 시간에도 그 기회들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만 잘 아시다시피, 우리는 바쁜 삶을 살기 때문에 우리의 의지 만으로 삶을 충만하게 살기가 어렵습니다. 그러하기에 중요한 것들은 루틴(routine)으로 구조화하고 습관화 할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계획 세우기, 성찰과 회고와 같은 메타인지적 활동들을 규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매일 아침마다 15분씩은 전날 수행했던 업무에 대한 성찰과 당일 수행해야 할 업무에 대한 계획 세우기를 하고, 매주 금요일 오후에는 지난 일주일에 대한 성찰과 다음 주에 대한 계획 세우기를 해보는 것이지요. 그리고 분기(3개월)나 반기(6개월)에 한번 쯤은 회고의 시간을 갖는 것도 좋습니다. 이를 통해 지난 만남에서 이야기 드렸던 ‘정신모형I과 ‘정신모형II’를 새롭게 갱신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도 좋겠지요.
허나 이러한 메타인지적 활동들이 중요한 일임을 알면서도, 이 또한 재미가 없으면 지속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하기에 비록 메타인지적 활동일지라도 이 역시 감각의 재미를 결합하여 나만의 ‘축제’와 ‘의식(ritual)’으로 만들어 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예를 들어, 나만의 아지트로 삼을 수 있는 아늑한 공간을 확보하여 내가 좋아하는 음료와 음악을 함께 하며, 이러한 메타인지적 활동을 하는 시간을 나만의 축제와 의식으로 만들어 그 재미와 의미를 더욱 강화 시켜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오늘은 삶의 원활한 흐름(flow)과 여유(slak) 마련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사실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라면, 오늘의 이야기는 굳이 하지 않았을 지도 모릅니다. 되려 좀 더 열심히 경주하라고 채찍질을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주변을 볼 수 없도록 차안대를 눈 옆에 걸어 차고 앞만 보고 무작정 달리는 경주마와 같은 한국인들께는, 오늘의 이야기를 꼭 드리고 싶었습니다. 물론 여러분들이 이룬 ‘위버멘쉬’의 업적들에 경의를 표하면서도, 여러분이 좀 더 행복했으면 하는 바람에 말입니다. 물론 달리던 관성으로 인해 속도를 늦추는 것이 익숙지 않을 것을 잘 압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연습을 통해 매사를 모두 전투적으로 ‘파이팅(Fighting)!’하시지 마시고, 여러분들의 삶 속에서 재미와 의미를 만끽하셨으면 좋겠네요. 그럼에도 여러분의 삶의 원활한 흐름과 여유의 마련을 위한 도전에 대해서는 ‘파이팅!’의 응원을 드리며 다음 번 만남을 또 기대하겠습니다.
이상, 과거에 살았던 니체가 아닌 여러분들의 오늘 속에 살고 있는 니체였습니다.
늘 그렇듯이 여러분의 행복과 안녕을 빕니다!
[1] '제약이론(Theory Of Constraints)'은 Goldratt 박사가 창안한 경영이론으로, 시스템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제약 조건(constraints)을 찾아내어 이를 중요한 것부터 해결해 나감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효과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론
[2] '쓰루풋(Throughput)'은 단순히 얼마나 많은 일을 하고 있는지(도로에 차가 얼마나 많은지)가 아닌, 가치를 창출하는 일을 얼마나 많이/빠르게 완수했는지(차가 얼마나 많이 빠르게 통과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