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떠나보자! 아시아]1_말레이시아

다양성을 배우러 떠나다 - 마주한 해외여행의 서막 & 말레이시아 정보 

자세한 여행지의 지식과 정보도 없이 몸으로 부딪히기 시작한, 배낭 해외여행의 우당탕탕 전초전
여행이란 무엇인가.
 

 여행(旅行)은, '일이나 유람을 목적으로 다른 고장이나 외국에 가는 일'이라고 국어사전에 쓰여있다. 한자로 뜻을 보면 旅는 나그네 여로, 나그네는 '자기 고장을 떠나 다른 곳에 잠시 머물거나 떠도는 사람'을 뜻하며 行은 다닐 행으로, '다니다, 가다'를 뜻한다. 결국 '여행'은, 새로운 곳으로 가는 것이다. 여기에 내 생각을 더해보면, 여행은 가보고 싶은 미지의 세상을 떠올리고 그곳을 가기 위해 준비하며 그곳에 가서 실제 내 오감을 마주한 후 돌아와 마침내, 새로운 세상을 보게 되는 것이라고 하고 싶다. 여행을 다녀오면, 내가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다른 것들을 경험하고 기존에 가진 생각의 틀을 깨 주는 경우가 다반사였기 때문이다. 내가 여행을 다녀와 마주했던 사람들과 세상은, 기존에 내가 알던 것보다 더 포괄적으로 그들을 이해하고 세상의 다양성을 더 인정할 수 있는 곳으로 바뀌어 있었다. 몇 년 사이 아시아 등 이젠 과거에 경험을 한 이 여행지들을 다녀왔을 때, 여전히 나는 그렇다고 생각한다. 특히 네팔을 다녀오기 전에 비해 이제 나와 아버지는, 네팔이 겪은 대지진의 아픔과 네팔인들이 히말라야 산맥들의 산들을 사랑하는 만큼 그들과 공감할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 19 팬데믹 직전 다녀온 네팔. 안나푸르나 ABC 정상에서 아버지, 가이드 라즈와 함께

위의 내 생각에 기반하면서, 프롤로그 등에서 쓴 것처럼 난 '시간이 더 가기 전에 한시라도 오감을 더 깨우는 것'에 주안을 두고 틈틈이 여행을 해왔다.


한편 10여 년 전, 대학교 3학년 때 난 유럽으로 떠나기 전 경유로

왜 난 말레이시아를 첫 해외여행지로 선택했을까?


이유들을 정리해 보니, 이랬다.


첫째, 다소 안전한 치안

이건 어떤 여행지를 갈 때 아마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부분일 것이다. 당시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다음으로 동남아 2위권(인니와 비슷하게) 경제국으로, 치안이 어느 정도 안정돼 있으며 사람들이 대체로 여행객에게 친절하다는 내용을 책에서 보았었다.


둘째, 저렴했던 비행기표와 물가

유럽으로 향하는 관문의 동남아 경유지이고 당시 티켓이 다소 물가가 높은 싱가포르 등 다른 경유지보다 수 십만 원 이상 저렴했다. 여기에 국적기 이어선지 무료 스탑오버 또한 가능하여 유럽여행 전 가볍게 동남아를 전초전으로 겪기 좋을 곳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그즈음엔 말레이시아에서 탄생한 에어아시아가 유럽 및 미주로 오고 가는 길목인 좋은 위치의 이점을 살려 대폭 성장하고 있었다. 또한 물가도 한국의 6~70% 정도인 점도 여행지 선택에 한몫을 했다.


셋째, 다인종 다문화가 공존하는 다양성을 인정하는 나라

이 또한 이 나라 선택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아무리 모험심이 많은 나여도 첫 해외여행지로 덜컥 주변에서도 익숙지 않은 여행지를 선택하기엔 고민이 있었다. 하지만 책과 자료들을 읽어보면서 말레이계(60%), 중국계(25%), 인도계(7%), 기타(8%) 등 인종으로 구성된 다문화 인종의 국가라, 사람 및 나라에서 대체로 타인을 존중하는 습관이 배어있을 거라 생각했었다. 이후에도 말레이시아를 3번 이상 다녀왔는데,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음을 느꼈다.

쿠알라룸푸르로 향하는 이륙한 비행기에서 본 상공
배낭여행 준비물을 정리, 메모한 여행 준비물 리스트

서론이 길었지만, 아무튼 난 덜컥 출발 3주 전쯤 런던행 비행기표를 구매한 후 틈틈이 당일 새벽까지 유럽 배낭여행을 준비했다. 오로지,

 해외여행을 가고 싶다!

라는 일념 하나로 여행을 준비하며 들뜬 마음으로. 남대문 상가까지 뒤져가면서 당시 그 유명한 여행용 전자시계, 자물쇠, 심지어 지금은 웃음이 나오는 빨랫줄까지도(소지품들을 묶기 위한 용도 등) 구했었다. 이렇게

여행은 첫째, 떠나기 전 커다란 설렘의 선물을 준다.

아무튼 그렇게 열정으로 준비하여 도착한 인천 국제공항. 하지만 짐 무게가 허용량을 초과한다는 표시에 부랴부랴 우체국으로 달려가 필요 없는 잔여 짐을 모아 집으로 부치고 온 뒤에야 수속을 마쳤다. 처음 해외로 출국하던 날, 이런 경험을 하신 분들도 간혹 계실 거라 생각한다. 더구나 비행기 탑승 시간까지 시간이 여유롭지 않으면 정신이 없는데, 이때 이 항공사 직원이신 형은 차분히 나를 잘 도와주셨다.

비즈니스 석을 얻다 - 자기 PR의 필요성


당시 난 열정이 넘치는 대학생이었다. 당시 <대학생 자기 경영 커뮤니티>라는 그룹에서 부운영자로 활동하면서 명함도 만들어두었었다. 직원 형께 이 명함을 드리며 인사하면서, 아직은 여행지로 인기가 많지 않던 말레이시아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말씀드렸었다.  그러니 내가 조사한 대로 형은 말레이시아가 치안도 좋고 대체로 사람들이 다양성을 인정해 주고 친절하다는 점을 언급해 주셨다. 여기에, 내가 갈 쿠알라룸푸르의 대략적인 여행지들과 숙소 정보도 요약해 주시는 친절을 베풀어주셨다. 그렇게 수속을 허겁지겁 마친 후 출국장까지 빨리 가야 한다고 안내를 받아선지 마음이 급했다. 받은 티켓을 제대로 보지도 않고 연신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는 빠르게 출국장까지 뛰어갔었다. 이후 출국장에 도착해 내 좌석이 비즈니스 석인 것을 알고 다시 놀라며, 직원분들께 한 번 더 감사하다는 말과 이 내용을 꼭 블로그에 적어드리겠다고 약속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 그때 여행을 돌아온 후 바로 약속을 지켰었고, 난 평생 기분 좋은 추억으로 그때를 회상하곤 한다.


첫 해외여행을 비즈니스석으로 시작하다니! 그렇게 짜릿할 수가 없었다.

기억나는 것으로 간단히 비즈니스석의 특징도 적어보면 첫째, 자리가 넓어 편안하다. 둘째, 공간 내에 사람이 적어 소음 또한 적다. 셋째, 간식 등 먹을 게 더 자주 더 좋은 퀄리티로 나온다. 이 점은 비행기, 출 도착지에 따라 다소 차이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비용이 더 비싼 좌석이기에 대체로 맞는 말일 것이다. 넷째, 마일리지 적립률이 이코노미석보다 높아서 난 그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말레이시아에 다녀올 수 있었다.


여행은 둘째, 여행을 떠난 후에 맞는 여행지는 내게 배움이고 만나는 사람들은 인연이다.

보딩패스를 끊을 때, 말레이시아인들로 보이는 사람들로 대부분이었는데 그중 한 한국분과 잠깐 인사를 나눴었다. 부산에서 오셨다는 그분은 곧 내 옆자리에 탑승하게 되었고, 뉴질랜드로 워킹홀리데이를 가신다는 형이라는 걸 알았다. 쿠알라룸푸르로 향하는 5시간여의 비행 동안 형은 지루하지 않게 말동무도 해주시면서, 내 여행 계획을 들으시더니 말레이시아 여행책도 흔쾌히 주시면서 여행을 응원해 주셨다. 이 책으로 난 부족했던 말레이시아 여행 준비를 더 보강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인터넷 환경이 한국처럼 잘 안돼 있는 그곳에서의 정보를 그때 실시간으로 얻기란, 책 등의 자료나 현지인 도움 없이는 정말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정말 때맞춰 유용하게 득템 했던 것이다! 형과 쿠알라룸푸르 공항에서 헤어질 때, 역시 감사하다는 말과 함께 형의 워킹홀리데이 생활 또한 응원해 드렸다. 갑자기 이 분의 소식이 궁금하다.




설렜던, 급했던, 들떴던 이런저런 마음이 뒤섞이고 정리도 되지 않은 채 그렇게 저녁 무렵 도착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KLIA). 부족한 게 너무나 많지만 이미 나의 배낭여행은 시작한 상태였고, ing로 진행 중이었다. 첫날, 둘째 날 잘 숙소도 예약하지 않은 상태로 이국으로 떠나왔지만 앞서 뵌 분들의 도움을 더해 이제 숙소를 찾아가면 되었다. '어떻게든 되겠지'라는 생각으로...


 그러면서도 떠나온 것을 잘한 선택이라 생각했다. 이제 하루 째이지만, 벌써 많은 상황과 사람을 마주하면서 배웠고 그걸 또 10년이 지난 지금 이렇게 추억해 적을 수 있지 않은가. 나는 나대로 이 글을 정리하며 추억과 인연을 되새기지만,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또 다른 생각으로 영감을 얻어가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때, 이런 생각이 떠올랐다. <폰더 씨의 위대한 하루> 책에서 내가 좋아하는 구절이 있는데, 신대륙을 발견했던 콜럼버스가 전에 했던 말.

"단호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여러 가지 조건들이 딱 맞기를 기다리지 않습니다. 왜냐고요? 왜냐하면 조건이라는 것은 늘 완벽하게 들어맞는 법이 없기 때문이지요."


10여 년 전, 이런저런 조건을 생각해 비행기표를 끊지 않았으면 절대 그때 느낀 오감과 현재까지 이어온 소중한 나의 인연들을 만들지 못했을 것이다.

일단 여행을 떠나면, 그다음은 어떻게든 해결된다.



말레이시아 [ Malaysia, 馬來西亞 ]
요약: 말레이반도 남부와 보르네오섬 북부에 걸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 국가이다. 1786년 영국의 지배를 받기 시작해 1957년 싱가포르를 제외한 말레이반도 11개 주가 통합하여 말라야 연방으로 독립하였다. 1963년 싱가포르와 사바, 사라왁을 합쳐 말레이시아 연방이 형성되었고, 1965년 싱가포르가 연방에서 탈퇴하면서 현재의 말레이시아 국가가 형성되었다.

면적(㎢): 330,803, 해안선(km): 4,675
시간대: MST(UTC+8), 수도: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
종족구성: 말레이계(69.6%), 중국계(22.6%), 인도계(6.8%), 외국인 및 기타 (1.0%)
공용어: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
종교: 이슬람교(61%), 불교(20%), 기독교(9%), 힌두교(6%), 기타(4%)
건국일: 1957년 8월 31일
국가원수/국무총리
압둘라 이브니 아흐맛 샤(Abdullah ibni Tengku Ahmad Shah 임기 2019.1.31~2014.1.30) 실권 총리 :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Ismail Sabri Yaakob)(2021.8.21~)
정체: 선임제 입헌군주제
통화: 링깃(Ringgit, RM), 1인당 명목 GDP($): 10,270(2020년)
인구(명): 32,670,140(2020년), 인구밀도(명/㎢): 96(2020년)
평균수명(세): 76(2020년)

말레이반도의 남부를 차지하는 서말레이시아와 보르네오섬 북서부의 사라왁(Sarawak) 및 사바(Sabah)로 이루어지는 동말레이시아로 이루어져 있다. 서말레이시아는 길이 약 800km, 폭 325km이고 북쪽과 남쪽은 각각 태국, 싱가포르와 국경을 이루고, 서쪽과 동쪽은 말라카해협(Strait of Malacca)과 남중국해에 면한다. 동말레이시아는 길이 약 1,075km, 폭 384km로 북서쪽과 동쪽은 남중국해와 셀레베스해에 면하고, 남쪽은 인도네시아령 보르네오섬 지역(칼리만탄, Kalimantan)과 국경을 이룬다.

말레이시아의 행정구역은 13개 주(negeri, state)와 1개 연방 준주(wilayah persekutuan), 3개 시(쿠알라룸푸르, 라부안, 푸트라자야)로 이루어져 있다. 수도는 쿠알라룸푸르이며 금융과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정부부처는 2010년 계획도시 푸트라자야에 옮겨졌으며 이에 따라 푸트라자야가 행정 도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다종족 국가인 말레이시아는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말레이계 그리고 중국계와 인도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말레이계는 이슬람을 믿는 무슬림들이 대다수이다.

1957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을 하기 전까지 18세기부터 영국의 지배 아래에 있었다. 1948년 말라야 연방(Federation of Malaya)을 결성하고, 1963년 사바, 사라왁, 싱가포르가 연합하면서 말라야(Malaya)라는 이름에 시(si)를 추가하여 국명 말레이시아(Malaysia)가 만들어졌다. 싱가포르가 1965년에 연방에서 탈퇴하여 현재에 이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말레이시아 [Malaysia, 馬來西亞]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
말레이시아 국기 <두피디아>
말레이시아 지도 및 국경(오른쪽 브루나이 인근 빨간 둘레까지) <구글맵>
쿠알라룸푸르 [ Kuala Lumpur, 吉隆坡(길융파) ]
요약: 말레이시아의 수도로 공식명칭은 쿠알라룸푸르 연방 직할구(Wilayah Persekutuan Kuala Lumpur)이다. 쿠알라룸푸르는 말레이어로 '두 진흙탕물이 만나는 지점'이라는 뜻이다. 19세기 후반 주석광산 개발로 발전하기 시작한 쿠알라룸푸르는 1880년 3월 셀랑고르주(州)의 주도가 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면적(㎢): 243
행정구분: 11개 구(districts)와 29개 소구역(subdistricts)
인구(명): 1,770,000(2020년)

말레이시아의 연방 수도이자 말레이시아 내에서 가장 큰 도시로, 문화·상업·교통의 중심지이다. 쿠알라룸푸르의 공식 명칭은 '윌라야퍼르세쿠투안 쿠알라룸푸르(Wilayah Persekutuan Kuala Lumpur)'이며 쿠알라룸푸르 연방령 지역이라는 의미이다. 말레이어로 '쿠알라(Kuala)'는 '두 강의 합류점', '룸푸르(Lumpur)'는 '진흙'이라는 뜻으로 두 개의 진흙탕물이 만나는 지점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통상 KL로 표기한다.

19세기 후반 주석광산 개발로 발전하기 시작한 쿠알라룸푸르는 1880년 3월 셀랑고르주(州)의 주도가 되었으며 1963년 말레이시아의 수도로 지정되었다. 쿠알라품푸르는 말레이시아의 경제, 금융, 문화의 중심지이며 면적은 243㎢, 인구는 177만 명이다. 쿠알라룸푸르와 인근 지역을 합쳐 쿠알라룸푸르광역권(Greater Kuala Lumpur)이라고 부르며 면적 2,793㎢, 인구 844만 명의 메트로폴리스이다. 쿠알라룸푸르에서 남쪽으로 25Km 떨어져 있는 푸트라자야(Putrajaya)는 정부행정부서와 연방법원들이 위치해 행정수도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쿠알라룸푸르 [Kuala Lumpur, 吉隆坡(길융파)]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


말레이시아는 수도 쿠알라룸푸르 인근으로 이렇게 한 3번 정도를 경유해 다녀올 수 있었다.

여기가 싱가폴에서 나가고 들어오는 국경

위 사진들은 부킷 빈땅. 말레샤의 밤 문화가 있는 쿠알라(KL) 시내의 번화가, 한국의 홍대 같은 곳. 몇 년 전에 갔을 때 보다, 모바일 마케팅으로 홍보하면서 고객을 끌만 한 간판들이 더 생긴 거 같았다. 또한 시간과 장소가 바뀌어도 어디든 남녀, 술, 그리고 유흥이 있다는 건 진리.




말레이시아 정리


말레이시아는 아시아의 선진국, 용이라는 싱가폴(싱가포르)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잠재력이 큰 국가다. 싱가폴의 발전한 장점들을 흡수하는 것보다는 정치 권력층에서 통제 및 좋은 정책을 반영하는 것에는 싱가폴 만하게는 어렵기에 두 나라의 경제규모 면에서는 차이가 쉽게 좁혀지는 거 같진 않다. 말레이시아에서 독립한 싱가폴이 지금은 세계에서 더 큰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 그래서 나라는 리더가 누구이고, 자유시장 경제주의를 빨리 도입하고 한 편으론 잘 통제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실감했다. 한 편으로 발전 가능성이 큰 나라이며, 한국에서 가기에 저렴한 물가와 친절한 국민성 등의 장점이 있어 처음 동남아를 겪기에 좋은 나라라고 생각하며 싱가폴과 같이 여행하기 좋은 국가로 추천한다.

이전 02화 [떠나보자! 아시아] 프롤로그 2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