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정 Oct 19. 2024

여기, 그 곳

악착과 애착

같은 길인데 다른 길 같다. 몇 년 전 여름에 찾았을 때랑 사뭇 달라 보인다. 계절이 다르니 그럴 만도 하겠지. 그때는 지나쳤던 저수지 앞에 멈춰 선다. 파리한 물결이 매섭게 맞이한다. 물결 품은 바람이 주머니 속까지 들어와 헤집고 설친다. 오늘은 무언가가 마음을 헤집을 듯하다.

영지사는 신라 태종 무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 당시 이름은 웅정암이었다. 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선조 36년에 다시 중창하면서 영지사로 개명했다. 영조 50년에 중수가 이루어졌고, 1992년에 대웅전을 중수하였다. 대웅전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20호이며,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이루어진 팔작지붕 건물이다.

고찰인데도 불구하고 대웅전 단청의 빛깔이 바래지 않고 화려하다. 해체 복원 작업을 하면서 새로 색을 입힌 흔적이 역력하다. 고찰에 들어서면 오래된 빛깔이 주는 느낌이 참 좋다. 가만히 보고만 있어도 정리되지 않은 마음이 모이면서 차분해진다. 이곳, 고색창연한 느낌을 잃어버린 것 같아 아쉬움이 많다.

영지사 대웅전에는 다른 사찰에서 흔히 볼 수 없는 것이 있다. 천장 들보의 반야용선대에 악착같이 매달린 악착동자다. 청룡과 황룡이 이끄는 용선대에 열한 개의 종이 나란히 줄지어 있고, 그 중간쯤에 악착동자가 대롱대롱 매달려 반긴다. 

악착은‘작은 이 악齷’과 ‘이 마주 붙을 착齪’이 합쳐진 말이다. 어떤 일에 기를 쓰고 덤벼들거나 끈기 있고 모질게 달려들어 해낸다는 뜻으로 널리 쓰인다. 악착동자에 관한 이야기는 부처님 경전에는 전해지는 바가 없지만, 명나라 운서 주굉스님이 편찬한 『왕생집』에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다.

명나라 경도에 유통지라는 사람이 살았다. 그는 평생 염불에 온 정성을 쏟았다. 쉰두 살의 나이에 병을 얻어 죽음에 이르렀지만, 그는 더욱 간절히 염불하였다. 그때 이웃에 살던 이백제라는 사람이 먼저 죽고 유통지도 죽었다. 그런데 아침에 숨이 멎었던 유통지가 정오 무렵에 다시 소생하여 가족들에게 말하였다.

“정토로 가는 배를 탔소. 그 배에는 나를 포함하여 서른여섯 명의 사람이 타고 있었소. 이백제도 그 배에 타고 있더군. 그러니 내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되오.”

어안이 벙벙한 가족들을 보며 유통지는 말을 이었다.

“너무 서둘러 가다 보니 옷이 이 모양이고 염주도 잊었지 뭐요. 내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염주도 챙겨야 하니 좀 도와주구려. 배를 타려면 서둘러야 할 것 같소.”

가족들은 서둘러 유통지의 옷을 갈아입히고 목에 염주를 걸어 주었다. 잠시 후 유통지는 배로 돌아갔다.

이 이야기를 모태母胎로 여러 가지 설說이 전해지는 듯하다. 중요한 것은 악착같이 수행 정진하면 뜻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는 데 초점을 둔다. 뜻하는 일에 악착같이 매달리면 이루지 못할 바가 없다는 의미다. 줄을 타고 용선에 매달린 악착동자를 가만히 올려다본다. 비록 외줄에 매달렸지만 평온해 보인다. 

조용히 눈을 감는다. 악착같이 살았던 때가 있었던가를 더듬는다. 그동안 크게 이루어 놓은 건 없다. 하지만 내게 주어진 나날을 허투루 쓰지 않으려고 노력했다는 건 인정하련다. 인간의 욕심이라는 게 한이 없고, 그 욕심 안에서는 만족이라는 단어가 꼭꼭 숨겨진 체 좀체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하나를 얻으면 둘을 갖고 싶고 둘을 얻으면 셋을 노리는 게 욕심이다. 이젠 내려놓는 연습도 필요해 보인다. 스스로 삶에 만족하지 못하면 평생 줄에 매달린 듯 불안한 삶을 살 수밖에 없다.

자신의 삶을 함부로 여기는 사람은 없다. 나름의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 하고자 하는 일, 해야 하는 일을 하며 온 힘을 쏟는다. 또한 경쟁에서 뒤지지 않으려고 악착같이 잡은 줄을 놓지 않는다. 때로는 줄이 끊어져 바닥으로 내동댕이쳐질 때도 있겠지. 그래도 악착같이 일어나 매달리는 것이 삶이다.

악착같이 산다는 것, 자기 삶에 대한 애착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