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청머리오리 Jan 29. 2021

£ 2-1. 부지의 선택이 가장 중요합니다

집, 가족, 그리고 어느 한 남자의 사는 법

‘살기 좋은 집’을 짓기 위해서는 각각의 과정별로 여러 선택을 해야겠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아마도 ‘어떤 부지를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다른 부분은 사후 변경이나 취소도 가능하겠지만, 부지선택의 문제는 한번 결정되면 번복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신중에 신중을 더해야 할 것입니다. 계약과정에서 자칫 마음이 바뀌어 계약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게 되면 위약금을 치르는 등 큰 손실을 볼 수도 있고, 제반 서류 등의 검토나 현물 확인 등을 소홀히 하면 사기 등의 위험도 있을 수 있으니 간과하면 안 될 것입니다. 따라서 계약단계에 이르기 전에 부지의 입지 조건 등을 세밀히 검토하고, 확신이 섰을 때 계약을 진행해야 합니다.


집을 짓기 위해 시골에 있는 땅을 살 때 땅의 입지 조건은 ‘살기 좋은 집짓기’의 성패가 달린 문제입니다. 주변 도로와 연결되는 진입로의 존재 여부, 남향의 지형 조건, 조망의 확보 등은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아무리 좋은 조건을 갖춘 땅이라 할지라도 진입로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맹지를 매입하면 건축허가조차 얻기 어렵고, 남향으로 건축을 할 수 없는 형태의 지형이라면 난방이나 채광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큰 문제가 됩니다. 주변이 너무 막혀 조망이 확보되지 않으면 이 또한 ‘살기 좋은 집짓기’에서는 중대한 흠결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가까운 주변에 교통량이 많은 큰 도로나 고가도로, 철길, 공장, 축사 등이 있는지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좋은 풍광에 마음이 끌려 이를 소홀히 할 경우, 자칫 소음이나 분진, 악취 등으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도심의 번잡함을 피해 귀촌을 하고자 함인데, 귀촌하고 나서 이런 문제를 겪으면 더욱 못 견딜 일이 될 것입니다. 특히, 인접한 축사로 인해 발생하는 악취나 파리, 모기 등의 문제는 도시의 소음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정작 혐오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분묘는 그리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살다 보면 친숙해지기도 합니다. 


진입로의 확보는 한 번 더 살펴볼 부분입니다.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부지로 통하는 폭 4미터 이상의 도로를 확보해야 합니다. 지적도상에 도로가 표시되어 있더라도 실제 사용되고 있는 도로가 없거나, 또는 매우 협소해 확장해야 하는 경우라면 해당 토지가 본인의 소유가 아닌 한 도로를 개설해서 집을 짓기는 어려우니 잘 살펴볼 일입니다. 진입로의 문제는 실제 사용되고 있는 도로가 존재하느냐에 있습니다. 농촌지역의 도로는 대부분 지적도상으로는 1~2미터에 지나지 않지만 실제로는 토지소유자로부터 사용승낙을 받아 확장하였거나 오랫동안 관습적으로 사용되어온 것입니다. 따라서 토지를 매입할 때는 지적도상 도로의 확인은 물론,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도로가 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 2-4. 기반시설이 갖추어진 땅인지요?」 장에서 다시 한번 언급하겠습니다.


건물의 남향 입지조건은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사실 필자는 이 부분이 어느 조건보다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이 부분 또한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기에 「£ 3-2. 햇볕은 포기해도 좋은 선택의 문제가 아닙니다.」장에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부지의 선택에 있어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안전한 생활이 보장될 수 있는 입지 조건입니다. 아무리 위에 열거한 조건을 갖춘 좋은 부지라 해도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위험에 노출된다면, 그보다 더 최악의 선택은 없을 것입니다. 직업상 수많은 재난을 대했고, 여러 안타까운 일들을 보아왔습니다. 홍수로 인한 범람이나 산사태, 폭설이나 폭우, 산불, 한파, 가뭄, 해일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가능성에 대해서 면밀하게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자연의 힘이란 인간이 어찌해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홍수나 산사태 등으로 인한 피해 현장을 보면 더욱 그렇게 느껴집니다. 오래전 물길이 지났던 지역은 수십 년이 지난 후 물길이 다시 돌아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형적으로 보아 그리 여겨지는 부지라면 피할 일입니다. 제방을 쌓는 등 안전조치를 해서 수십 년간 아무런 문제가 없었던 지역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그동안 그만한 정도의 폭우가 없었던 탓이지 앞으로도 그렇게 안전하리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10년, 또는 30년, 50년, 100년 주기로 몰아치는 예기치 못할 재난을 아직 우리는 감당하지 못합니다.


폭우와 동반되는 산사태 사고 또한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근래는 발달한 기술력과 장비를 동원해 가파른 산지를 마구 깎아내어 부지를 조성하거나, 풍광 좋은 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계곡이나 강변, 바닷가 등에 부지선택을 하는 경우도 많아서 그 위험성은 더 커집니다. 산불 또한 크게 염두에 두어야 할 부분입니다. 부지가 산지에 너무 가까이 위치할 경우, 산불로 인한 화재피해의 우려가 크기 때문입니다. 산불은 너무 급격하게 진행되고, 특별히 조치할 만한 방법도 없기에 대체로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습니다. 침엽수림의 경우에는 더욱 진행 속도가 빠릅니다. 홍수나 산사태, 폭설, 폭우, 산불, 한파, 가뭄, 해일 등 어떤 경우든, 평소에는 안전해 보입니다. 그러나 자연의 위력은 우리의 예측력을 훨씬 능가합니다.


어떤 지역에 촌락이 형성된 이래로 오랜 세월 유지되고 발전해 왔다면, 그것은 그 나름의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 요건 중 첫째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주거의 안전입니다. 그것을 기반으로 마을이 유지되고 발전해 온 것입니다. 따라서 부지의 선정은 그 마을의 영역 안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합니다. 불가피한 사유로 마을을 벗어나고자 한다면 해당 관청을 찾아 자연재해 정보를 파악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종종 빼어난 경관이 있는 지역에 지어진 전원주택들을 봅니다. 바닷가, 숲속, 호숫가, 계곡, 심지어는 산비탈이나 절벽 위에 지어진 집들도 있습니다. 이런 집들을 보노라면 마치 영화 속의 한 장면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집들은 지형 여건상 안전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해일, 홍수, 산불, 산사태 등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전망에 너무 치중한 나머지 안전 확보라는 필요불가결한 문제를 등한시하면 그 결과는 불을 보듯 뻔한 일이 될 것입니다.


이런 집들은 각종 재난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도로 여건이나 용수나 생활필수품의 수급 등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잠시 쉬었다가 가는 별장이라면 어느 정도 감수할 수도 있을 것이나, 평생 살아가야 할 ‘살기 좋은 집’을 짓는 것이라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지나치게 풍광에 치중한 집은 집주인을 위한 ‘살기 좋은 집’이 아니라 남들 보기에 ‘멋진 집’이 되기 쉽습니다. 그것은 집주인에게 좋은 집이 아니라, 잠시 머물다 가는 손님에게 좋은 집입니다. 결국 집주인은 별장지기가 되는 꼴입니다.


모두 풍광 좋은 바닷가, 숲속, 호숫가, 계곡 등으로 쉴 곳을 찾아 떠나곤 합니다. 정말 멋지고 마음에 드는 곳도 많고, 심지어는 ‘한평생 이런 곳에서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곳들이 사시사철 그렇게 아름답고 좋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그곳은 우리가 찾은 바로 그때가 일 년 중 가장 아름답고 좋을 때인 것입니다. 우리가 떠난 그곳의 남은 날들은 대체로 눅눅하고 비릿한 바닷냄새, 소금기에 쉽게 녹슬어버린 쇠붙이들, 내리쬐는 불볕, 가뭄, 몰아치는 폭풍우, 넘치는 물, 산사태, 쌓이는 눈, 혹독한 칼바람 등으로 채워집니다. 


일상의 생활을 영위해야 할 주거 용도의 집과 쉼을 위한 별장은 엄연히 그 용도가 다른 것입니다. 따라서 그 위치나 구조 또한 각각 달라야 합니다.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는 말이 있듯이, 지나친 풍광에의 치중은 평온한 삶을 꾸려나가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입니다.     

이전 06화 ££ 2. 토목설계 구상,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