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정혜 Oct 30. 2022

'화와 싸움'에 대한 사색 - 화는 죄악이 아니다

  화는 죄악이고 싸움은 인격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했던 날들이 분명 있었다. 것도 꽤나 상당 기간 동안.

  하지만 화라는 감정을 제대로 처리하고 표현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그 데미지를 감당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그런 도덕적 잣대를 만들어 놓고 상황을 회피해 왔을지도 모른다는 해석을 마주하는 요즘... 예전 같으면 눌러 참았을 일에도 불쑥 화가 난다. 솔직하지 않았을 때 마음이 받는 작은 무게조차 이젠 못 견디도록 무겁게 느껴진다.

  그 바람에 희생양이 된 건 엄마, 동생들이다. 미안한 감정도 들지만 내가 행복해야 장기적으로 봤을 때 남들도 행복할 수 있으니까... 그리고 좀 더 정확한 때에 정확한 포인트를 짚어 표현하고 있다는 점은 발전적이지 않냐는 생각을 하며 그 미안함을 희석시켜본다.

  더불어 상대방의 의도를 지레짐작만 하고 표현하지 않는 것이 더 큰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될 수 있겠구나 싶기도 하다.

  난 겁쟁이고 두려움이 많은 사람으로 지금껏 용케도 손에 더러운 것 안 묻히고 잘 피하며 살아 왔다. 하지만 그것이 되려 나 자신을 나 자신으로부터 소외시켜 왔다고 생각하면 온 몸에 난 털이 다 솟구치는 기분이다.

  싫은 것도 무작정 인내하고 포용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때로는 불가피한 싸움이나 화조차 두려워하지 않는 내가 되었으면 좋겠다.

  언제나 느끼고 다짐하는 사항이지만 나는 나에게 좀 더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나와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일기를 포함한 다양한 글쓰기들은 참 좋은 방편이다.

이전 08화 '얼굴'에 관한 사색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