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진규 Jan 03. 2020

창업에 연착륙하기

스텔스 창업 프로젝트_1

지금은 누구나 창업을 해야 하는 시대이다. 어차피 평생직장은 없어진 지 오래이고 여러 개의 직업을 가지고 이직을 여러 번 한다고 해도 언젠가는 나의 것을 직접 시작하고 이루어야 한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회사를 나와서 창업하라고 하는 것은 굉장히 무책임한 말이다. 본인이 정말 하고 싶은 것이 있어서 창업하는 것은 응원할만한 일이지만 그렇다고 꼭 퇴사부터 해야 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회사를 다닐 때부터 미래를 위한 준비를 시작하는 것이 훨씬 지혜로운 일이다.


스텔스 창업이란 회사를 다니면서 잠행 모드로 (스텔스 모드) 창업을 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이지 않는 전투기인 스텔스 폭격기를 떠올리면 된다. 회사를 다니면서 대놓고 다른 사업을 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가장 큰 이유는 겸직 금지 등 근로계약상의 제한이 있는 곳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말과 저녁에 자신만의 시간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미래 사업계획을 짜고 사이드 프로젝트성으로 실행하는 경험은 가능하다. 조금씩 창업을 준비해서 차곡차곡 쌓은 후에 어느 정도 안정기에 돌입하면 그때 퇴사하고 그것에 전념하면 된다. 

 


스텔스 창업을 추천하는 이유는 ‘스스로의 비즈니스를 위한 근육'을 키워야 하기 때문이다. 회사의 큰 조직에 있으면 분명 배우는 것이 많다. 우선 일을 빠르게 배울 수 있다. 처음에 들어가면 이미 윗사람이 있고 그 조직에서 일하는 방법론이 존재한다. 그전까지 배우기만 하던 것에서 벗어나 지식을 직접 적용하고 결과물을 만드는 경험을 한다. 그리고 함께 일하는 방법을 배운다. 또한 큰 기업 조직의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다. 장사와 사업의 가장 큰 차이는 ‘시스템화’이다. 장사는 내가 다 처리하고 관여해야 하기 때문에 성장에 한계가 있고 내가 아프거나 일하지 못하면 수익도 멈추는 위험이 존재한다. 사업은 그것을 나 혼자서가 아니라 여러 사람과 시스템을 통해 돌아가도록 만드는 것이다. 물론 창업을 하면 처음에는 사장이 모든 것을 다 해야 하겠지만 결국에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큰 기업 조직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런데 기업에서는 그 시스템이 이미 갖추어져 있고 나는 시스템의 극히 일부의 역할만을 수행하기에 모든 큰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다란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리고 특히 큰 조직에 오래 있을수록 ‘회사’에 익숙해진다. 매월 나오는 안정적인 월급에 익숙해지다 보면 야생성이 사라질 위험이 높다. 만나는 사람들도 비슷한 사람들을 주로 만나게 된다. 같은 회사 사람, 업계 사람이나 유사한 업종의 거래처 사람 등. 비슷한 사람을 만나고 비슷한 이야기만을 계속 나눈다. 바깥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경험하려면 다른 사람들을 만나려는 노력을 크게 해야 한다. 스타트업 업계에 있으면 만나는 사람이 다르다. 정말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죄다 대표, 임원이다. 물론 그냥 사장 놀이하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지만, 나이에 무관하게 조직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고 거대한 꿈을 꾸면서 자신의 영역을 계속 키워나가는 훌륭한 대표들이 너무나 많다. 그들은 보는 시야가 다르고 그들과 대화하고 만나다 보면 나도 보는 것이 달라진다.  



나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러했다. 나도 크고 무거운 조직에 7년간 일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당시에는 불행이라 생각했지만) 순환보직을 하는 곳이었기에 그곳에서 기업금융, 컨설팅, 기획 등 다양한 부서에서 일을 많이 배웠다. 하지만 보는 눈이 굉장히 좁았다. 배우고 싶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책을 보고 대학원을 가 보기도 했지만 답을 찾을 수 없었다. 주변에 창업한 사람은 거의 없었고 언젠가는 나의 것을 해야 한다는 고민만 있었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도대체 알 수 없었다. 


그러다 스타트업으로 이직한 후에 나는 ‘스스로의 비즈니스를 위한 근육’을 그때부터 키울 수 있었다. 큰 조직에서 나름 주도적으로 일한다고 생각했지만 그것은 그 조직 안에서의 기준이었고, 신속하고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작은 스타트업의 기준에서는 수동적으로 느껴졌다. 그래서 그곳에서 나를 변화시키는 노력을 많이 했다. 주도적으로 많은 일들을 하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시야도 넓히고 콘텐츠도 만드는 등 할 수 있는 것들을 하며 나의 근육을 또 키웠다. 그러다 창업을 하면서 나의 것을 만들어가면서 고군분투하기도 하고 더욱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나의 영역을 넓혀나갔다. 개발을 아예 모르다가 개발자들과의 소통을 조금이라도 원활하게 해 보고자 개발을 직접 공부하기도 하고 디자이너들이 많이 있는 커뮤니티에 가보기도 하고. 그 후 창업하면서도 계속 근육을 키워가면서 하는 중이다.  



이러한 경험을 직접 모두 해보니 회사에 있을 때 시간을 따로 떼어 학습하고, 사람을 만나고, 직접 비즈니스를 만들어가는 경험을 하면서 근육을 미리 키울 수 있다면 직접 창업을 할 때 시행착오도 줄이고 시간을 훨씬 단축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스텔스 창업 프로그램을 계속 생각하게 되었다. 오늘은 스텔스 창업의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음 글에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계속 써 보려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