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므라이스 Jan 27. 2024

사회생활의 꽃, 퇴사

중소기업 입사부터 퇴사까지

취업을 고난 하나 없이 해버렸다. 그래서 취업이란 건 원래 이렇게 쉬운 거구나 싶었다. 연봉도 협상 없이 계속 올라가는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더욱이 나의 계약서가 어떻게 작성이 되었는지부터 시작해서 경제관념이 잡히지 않은 첫 직장생활을 했다. 고등학교에서 대학교, 다시 전문학교에서 직장까지 무난하게 적당한 노력으로 적당한 보상을 받으며 우물 안에서 산 개구리는 현실을 잘 모르고 있었다. 의식주가 불편하지 않았기 때문에 변해야 한다는 생각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단 하나 기초체력과도 같은 내 안의 성실함과 호기심은 경력과 경험을 쌓게 해 주었다. 이 보물의 진가를 깨닫는 건 퇴사한 다음의 일이지만 말이다.


목차

1. 첫 사회생활을 중소기업에서 하고 배운 점과 반성한 점

2. 취미는 각종 콜라보 이벤트 참가, 연극과 뮤지컬 보기, 약 3년간 100 공연


취업은 구인시장의 규모와 형태, 업계와 기업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이다. 그런 맥락에 있어 안타깝게도 나의 조언은 많은 도움이 안 된다. 그럼에도 직장생활을 하면서 깨달은 나의 이야기가 누군가에게는 필요하지 않을까 그런 기대를 해본다.




1. 첫 사회생활을 중소기업에서 하고 배운 점과 반성한 점


첫 사회생활이라고 하니 입사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가 생각난다. 신입 때 가장 많이 하는 건 다름 아닌 질문일 것이다. 나는 노트에 필기를 해도 몇 번이고 같은 질문을 하고는 했다. 그런데 이런 나를 싫은 내색 하나 없이 받아줬다. 그리고 내가 만든 결과물이 실수투성이여도 좋은 점을 발견해 꼭 말해주었다. 그렇기에 용기를 얻었고 동료를 믿을 수 있었다. 이런 회사의 장점을 닮으려고 노력했는데, 완벽하게 흉내 내지는 못해도 그 궤도에 오르려고 부단히 애썼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을 다니면서 느낀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다름 아닌 해당 업계에서 해보고 싶은 일을 다양하게 다 해볼 수 있는 거다. 할 줄 아는 게 많아 보이면 일이 늘어난다고 하는데 벌써부터 신입이 몸을 사릴 이유가 없다. 그렇게 다양한 직무를 경험하고 한 해가 지나니, 필요나 희망에 따라 주요 업무가 정해졌다. 그러니까 신입은 이를 기회 삼아서 해볼 수 있는 건 다 해보는 게 좋다. 또 실수도 신입일 때 해봐야지 나중에 하면 체면이 안 선다. 그렇게 연차를 쌓게 되면, 일을 열심히, 잘한다고 다가 아니었다. 자신의 업무를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지 인지하고 동료들과 자신의 상황을 공유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필요했다. 그리고 특히 마감이 있는 일을 하다 보면 고객사가 원하는 것을 필요한 때에 제공할 줄 알아야 했다. 모든 것이 물 흐르듯 잘 된 건 아니다. 이제는 기억도 안 나지만 불평도 불만도 있었고, 무엇보다 장래에 대한 고민도 컸다.


그런 생각이 퇴사라는 결과가 되었을 때, 나는 귀국길에 오르고 있었다. 이유는 두 가지다. 회사에서 앞으로 5년 뒤 스스로가 무엇을 하고 있을지 상상이 되지 않았다. 두 번째는 직무 전환을 하고 싶은데 비자 발급을 받기 위해서는 그럴 수 없었다. 이 부분을 어떻게 해소하게 되는지는 다음 글에서 이야기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사회생활의 꽃을, 퇴사라고 생각한다. 한 회사에서 나와 회사가 서로 성장하고, 마지막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이라 느꼈기 때문이다. 이 수확이 만족스러울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나도 여전히 아쉬운 점이 있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나는 개인주의가 강하고 주변 인간관계에 흥미가 없다. 그래서 주변과 연대감을 쌓지 못한 게 아쉬웠다. 그리고 회사에서 요구하는 것 이상으로 기술을 연마하지 않은 나태함 또한 있었다. 이는 전문적인 기술자를 목표로 하고 있지 않아서인데, 이게 바로 5년 뒤 회사에서 나의 위치를 찾지 못한 결정적인 이유이지 않을까 싶다. 그러니 내가 퇴사를 한 건 당연한 흐름일 것이다. 이런 깨달음이 비료가 되어 다음 열매를 싹 틔우는데 역할을 하리라 믿는다.


2. 취미는 각종 이벤트 참가, 연극과 뮤지컬 보기, 약 3년간 100 공연


본업과 취미가 결을 함께해서 그럴까, 처음에는 단순히 즐기기 바빴는데 결국 업계 사람의 시선으로 보는 버릇이 생기고 말았다. 그렇다고 스트레스를 받는 일은 없었다. 오히려 아는 것, 관심 있는 것의 범위가 넓어져 하나를 경험해도 폭넓은 감상이 가능해졌다. 공연장의 규모부터 공연 음향, 조명, 특수효과 이 모든 걸 아우르는 무대 연출까지 그 무엇 하나 재미없지 않은 게 없다. 그러니 3년 동안 100 공연을 볼 수 있었던 게 아닐까.


사람에 따라서 직업과 취미를 함께 하지 못하기도 하고 반대로, 취미가 곧 직업인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워라밸이 중요하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후자라면 취미가 직업이 되어 그것으로 자아성찰까지 꿈꾸고 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렇다면 희망 업계 안에서 여러 직무 중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도 신중히 정해야 한다. 나는 성우와 함께 일을 하고 싶다고 해서 꼭 같은 성우가 되어야 한다던가, 애니메이션 음향 감독이 되어야 한다던가, 녹음 스튜디오의 엔지니어가 되어야 한단 생각은 안 했다. 현장일만 할 수 있다면 어떤 직무든 상관없었다.


그런데 여기서 놀라운 사실은 사람의 흥미 분야는 시간이 흐르면서 바뀐다는 것이다. 계속 좋아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 적어도 20대 초, 성우와 함께 일하고 싶다는 나의 열정은 목표를 이루고 난 지금, 유효기간이 끝났다. 그래서 취미를 나의 직업 안에 얼마큼 수용할 것인지 잘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자면, 해당 취미를 예전만큼 좋아하지 않는 자신은 여전히 같은 일을 하면서도 성취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인가? 내가 목표로 하는 장소는 어디인가?


나는 현재 같은 업계지만 이전과 다른 직무를 원하는 건 여전하다. 그보다 단순히 직무, 직업, 업계를 떠나서 궁극적인 목표가 생겼는데, 이는 대학에 들어가면서 확고하게 정립된다. 다음 글에서는 귀국 후 대학에 입학하고 졸업하기까지,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고 배움의 시기를 깨닫게 되는 과정을 이야기할 것이다.

이전 02화 인생의 허들은 자신이 정하는 거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