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창의력의 첫걸음, ‘좋은 질문하기’

#호기심 #왜? #질문의 출발점 #좋은 질문법

호기심 - 질문의 출발점

 

 

런던의 수많은 뮤지컬 극장 중 ‘해리 포터Harry Potter’ 공연장 앞. 비가 내려 바닥에 반사된 모습이 멋지다며 민 군이 촬영 요청.

 

 

“아빠, 여기서도 북두칠성이 보이네~?

                       아이폰으로 찍어 봐!”

 

 

버킹엄 궁전, 트라팔가 광장, 내셔널갤러리, 영국박물관런던에서의 빠듯한 첫날 일정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오는 .

 

도심  공원 ‘하이드 파크 가로지르다 문득 올려본 하늘, 예쁜 별들이 반짝반짝 우리 가족을 내려다 보고 있습니다.

 

유럽에서 만난 북두칠성이 신기하다 생각했는지  군이 얼른 사진을 찍어 보라고 하네요.

 

 

그런데 어쩌죠? 저는 알고 있거든요.

스마트폰으로는 별을 제대로 찍어내기 어렵다는 걸.

 

물론, 좋은 사양의 카메라를 특정한 모드로 설정하고 흔들림 방지를 위한 삼각대와 같은 장비들을 설치해 많은 공을 들인다면 별을 사진으로 찍을 수도 있겠죠. 하지만 보통은 그렇게까지는 하지 않잖아요? ㅎㅎ

 

 

“왜? 왜, 별을 못 찍어?

그냥 눈으로도 잘 볼 수 있는 걸?”






아! 그러게요… 그러고보니,

 

‘맨눈으로도 깨끗하게 볼 수 있는 저 별들을

현대 IT 기술의 집약체랄 수 있는 스마트폰으로

왜 아직까지 담아내지 못하는 거지?’

 

이런 궁금증을 품어본 적 조차 없네요.

 

 

때때로 어린 아이의 호기심

우리가 늘 보고도 지나치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계기를 만들어주곤 합니다.

 

호기심이 중요한 이유는 이렇듯

‘질문의 출발점’이 되기 때문입니다.

 

 

창의적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이상한 것’, ‘익숙하지 않은 것’을 가리킵니다.

 

늘 새로운 것을 찾고 요구하지만,

우리는 과연 ‘관성’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는 것일까요?

 

바로 여기서

아이와 함께 창의성을 찾아 떠나는 여정이 시작됩니다.

                                                  



밤하늘의 별 (출처: Pexels)



“우리는 지금 변화와 불확실, 복잡함과 애매함으로 대변되는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혁신은 더 이상 사치스러운 단어가 아닙니다. 호기심이 미래 핵심 단어가 되면서 현상 유지에 급급하는 사람들은 시대에 뒤처지게 될 것입니다.”


- 토드 카쉬단Todd Kashdan 조지메이슨 대학 교수, 호기심 전문가*

*세상에나… ‘호기심 전문가’라는 직업도 있군요!








답보다 중요한 것 - 질문!

 

 

‘내셔널갤러리National Gallery’에서 만난 다 빈치(<비엘을 연주하는 녹색 옷의 천사>, 1506년경, 유화)

                                                  



영화 <올드보이>(박찬욱 감독, 2003) 중 한 장면.

 

영화가 한참이 지나도록 오대수(최민식 분)는

‘대체 누가, 왜, 나를 15년 동안이나 가뒀는가!?’

이 질문에 대한 답만 찾아내려 애씁니다.

 

그러다 이우진(유지태 분)에게 이런 말을 듣게 되죠.

 

 

“당신의 실수는 답을 못 찾은 게 아냐.

자꾸 틀린 질문만 하니까

맞는 대답이 나올 리 없잖아.

‘이우진은 오대수를 왜 가뒀을까?’가 아니라

‘왜 풀어줬을까?’를 물었어야지.”

 

관객의 뒤통수를 때리는 반전의 순간.
 






런던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V&A Museum’에서 ‘다비드 상’을 스케치하는 민 군


미래 인재상으로 손꼽히는   하나가

바로 창의적, 종합적 문제 해결 능력이죠.

 

그런데 ‘문제를 해결한다’는 건

뭘 의미하는 걸까요?

 

어떤 주어진 문제에 대해

최선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

 


하지만 요즘 들어서는

그보다 더 주목 받는 관점이 있습니다.

 

 

“정작 중요한 건

좋은 답을 찾는 게 아니라,

좋은 질문을 하는 것이다!”



왜 그럴까요?






‘좋은 질문을 하는 것’,

그게 그렇게나 중요한 이유, 그건 바로

질문이  자체로 강력한  지우기framing 효과를 갖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질문하는가’가

곧 답을 결정짓는다는 의미입니다.

 

보통 사람들은 일단 어떤 문제, 질문과 맞닥뜨리면

주어진 그 frame, 프레임에서 좀처럼 벗어나질 못해요.

 

그 안에만 갇혀서 답을 골몰하게 되는 거죠.

 

조금 더 시야를 넓혀, 더 풍부한 상상력으로

더 나은 답을 찾을 가능성의 문이 닫혀버립니다.

 

게다가 오대수처럼 애초에 질문이 잘못된 경우라면?

애써 찾은 답도 말짱 의미가 없어져 버릴 테죠.




내셔널갤러리에서 그림도 보고, 만들기 체험도 하고.





두 명의 청소부가 굴뚝 청소를 하고 나와 밝은 곳에서 서로를 바라봤습니다. A의 얼굴에는 숯 검댕이 묻어 시커멓고 B는 얼굴이 하얗습니다. 세수를 하기 위해 세면대로 뛰어 간 사람은 A일까요, B일까요? 흔히 얼굴이 시커멓게 된 A가 아니라, 검댕이 묻지 않은 하얀 얼굴의 B가 세수를 하러 갔을 거라고 말하죠. B는 자기 얼굴을 보지 못하고 상대방의 얼굴만 볼 수 있었을 테니 A의 검은 얼굴을 보고 자기 얼굴도 검댕이 묻어 더러울 거라고 믿었을 거라는 거죠.
 


1990년대 나와 대학가를 중심으로 인기를  철학 입문서 『철학과 굴뚝청소부』(이진경, 새길, 1994) 나오는 탈무드 이야기입니다.

 

 

논리를 따라가 보면 그럴싸하게 들리지만 조금  생각해 보면 이상한 점을 찾아낼  있습니다.


바로, 문제 설정이 잘못됐을 가능성.

 


 

둘이 똑같은 굴뚝에 들어가 청소를 하고 나왔다면 하나만 얼굴이 검고 다른 하나는 하얄 수는 없다!”

 

 

문제가 제시되면 그냥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아니라 문제 자체가 잘못됐을 가능성까지 의심할  있어야 합니다.

 


한치의 의심 없이 받아 들여지는 것까지도

 

‘정말 그럴까?’

 

 번쯤 의심해 보는 버릇을 들이는 데서부터 남다른 생각이 출발합니다.

 

 


“창의성은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 특성이다. 하지만 천재는 창의력을 마음껏 확장하는 사람들이고, 우리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섣부른 결론을 내린다.”


-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Maslow, 1908~1970), 심리학자

 






 좋은 질문법, 어떻게 도울까?

 

                      

런던 외곽 그리니치 천문대 시계 앞에서.

 

 

오늘날 가장 ‘혁신적’이라고 손꼽히는 기업들은

대부분, 기존 시장에서 경험하던 불편함과 부족함에

해결책을 찾아 제시한 성공 사례들입니다.

 

라는 질문과, 그에 따른 ‘문제 설정자체가 남달랐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환호할 멋진 해결책을 찾아낼  있었죠.

 

우리 아이들에게

주어진 틀에 갇히지 않고

스스로 더 좋은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힘

길러주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우선 아이의 가장   모델이 되는 우리 부모부터 좋은 질문법으로 모범을 보여야 하겠습니다.

 

아이들은 은연 중에 그런 모습을 다 따라 배우니까요.
 




하브루타 교육법에서는

결코 ‘좋은 정답’을 말하는 이를

칭찬하지 않습니다.

 

 

유대인의 교육법으로 유명한 하브루타 교육법은 우리 교육이 흔히 비판을 받듯 ‘주입식교육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열린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이어나가면서 스스로 지혜를 얻고 사유하도록 만드는 문답식, 토론식 교육을 지향한다 합니다.

 

,  하나의 정해진 답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좋은 질문, 기발한 질문, 다양한 질문을 하는   칭찬하고 격려하는 거지요.

 

질문이 없고, 소극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이들은 ‘생각이 없는 사람이라고 경계합니다.

 

지혜의 원천은 끊임없이 사고하고, 질문하고, 스스로 대답을 찾아가는 과정에 있다는 믿음 때문이지요.

 

어떤 사람도 하지 않은 질문이 기발한 질문이고, 어떤 사람도 하지 못한 대답이  우수한 답입니다.

 

그래서, 하브루타 교육법에서는 ‘정답이란 것을 싫어합니다. 독창적인 질문과 창의적인 답만이 최고의 질문이고 답입니다.




 

런던 ‘V&A 뮤지엄’ 내부에 있는 정원에서 그림 그리기에 열중인 민 군.



 

아이가 태어나서 대여섯 살 정도까지는

두뇌가 아주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모든 것을 신기해 하고, ‘왜?’라는 질문을 입에 달고 삽니다.

 

아이의 질문을 귀찮다고 외면하거나, 억누를  아니라 계속 이어갈  있도록 지켜줘야 합니다.

 

, 좋은 질문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되도록 많은 것을 경험하게  주고, 계속해서 의문을 갖도록 자극해 줘야 합니다.

 

유치원을 지나 학교에  나이가 돼서도 학습지 문제 풀듯, 주어진 문제의 정답만 찾는 식으로는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키워주기 어려워요.

 

   나가서, 어떤 질문에 대해 그것이 과연 제대로  문제 설정인지 항상 의문을 제기하고, 다시 들여다보고 고민해 보도록 하는 연습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그것이 자신이 스스로 던진 질문이든, 다른 누군가로부터 주어진 질문이든 말이죠.

 


 

바로 이런 이유로, 유대인들은 자녀들에게

“오늘 학교에서 뭘 배웠니?”라고 확인하기보다

“오늘 학교에서 뭘 질문했니?”라고

배움에 있어서도 ‘질문하기’를 강조한다고 합니다.

 

무언가를 배우고, 지식을 쌓는 것은 중요합니다.

자신의 의견을 펼쳐 보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끊임없이 호기심을 갖고, 의문을 갖고,

또 스스로 질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남다른 질문, 차별화된 질문, 문제의 핵심을 파고드는 질문, 결국  멋진 답을 이끌어낼  있는 좋은 질문을 하는 높은 질문력 그러한 바탕 위에서만 가능합니다.

 

부모도 함께 공부하고 고민해야 아이들 곁에서 가이드 역할을  해낼  있지 않을까요?
 


 

“질문에도 격이 있다. 좋은 질문은 긍정적이고 열린 질문, 미래지향적이며 탐색적인 질문이 있고, 때로는 의식 전환을 꾀하는 질문, 곧 가정법 질문 등이 있다.”


- 정헌석 성신여대 명예교수, 『실례 좀 하겠습니다』(흔들의자, 2018)



 

  

영국박물관(구 대영박물관)의 모아이 석상 ‘호아 하카나나이아’ 앞에서.





 

모든 질문의 근원 - 왜?


 

‘미래에 다녀왔다’고?

런던 V&A 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던 특별 전시회. “I HAVE BEEN TO THE FUTURE”라는 말에서 ‘미래’와 ‘과거완료’의 시제의 혼합이 가져다 주는 묘한 부조화가 마음에 들어 에코백을 하나 샀다.

 


 

“아빠, 근데~ 여기는 왜 0층이 있어?”

 

 

유럽은 건물 층수를 매기는 방식이 우리와는 다르죠.

우리로 말하자면 1층이 유럽에서는 0층이에요.

 

엘리베이터에도 보통 0,

또는 G ground floor, 지상층 라고 표기합니다.

 

이런 차이를 처음 접하는 이들은

보통은 ‘어, 그래요?’ 잠깐 신기해 해도

그냥 ‘그런가 보다’ 하고

이내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왜 그런 걸까?’

 

 

한 걸음 더 들어가

  깊이 있게 고민해 보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아요.
 



런던 숙소 근처 한 동네 서점에서.


문제 의식을 가져볼 법한 무언가를,

다른 누군가가 알려주지 않았는데도

스스로 발견해 내고,

알아볼 수 있는 눈썰미가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물론, 거기에는 관찰력이 필요하겠죠.

하지만 거기서 그쳐선 안됩니다.

반드시 ‘왜?’라는 의문이 따라 붙어야 합니다.

 

 

아이 때는 누구나 갖고 있는

이 자연스런 호기심이

커 가면서 점점 사라져 버려요.

 

저 자신만 해도

‘유럽의 0층’에 대해

과거부터 ‘그런 줄’은 알고 있었지만,

더 깊이 생각해 볼 것도 없이

그저 ‘당연한 것’으로 치부하고

넘어가고 말았거든요.






누구나 ‘선물처럼’ 호기심과 질문의 힘을 갖고 태어납니다.

 

 

‘하늘은 왜 파랗지?’

‘바람은 어디서 불어오는 걸까?’

‘자전거는 왜 후진은 못해?’

 

 

다들 호기심으로 가득했던 어린 시절이 있죠.

나이가 들면서 점점 우리 대부분은 안타깝게도

관찰하길 그만두고, 놀라워하기를 그만두고,

질문하기를 그만두게 됩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앨버트 아인슈타인,

찰스 다윈과 같은 이들의 공통점은

어린 시절의 궁금증, 호기심, 관찰력을

늙어서까지도 잃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무언가를 바라볼 때

으레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고

‘왜, 언제부터 이렇게 됐을까’

질문을 던지고, 더 깊이 생각해 보는 것,

그것이 창의적 발상, 혁신의 출발점입니다.

 



“유대인들은 ‘왜’라는 질문을 가장 좋아한다. 그런 질문이 이어지는 것을 최고의 교육 방법이며 비결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인들은 ‘무엇’을 좋아한다. 즉 문제의 정답을 좋아한다. 그래서 생각하기보다는 정답만 외우려고 한다. 창의력이 부족하다.”


- 김병완, 『초서독서법』(청림출판, 2019) 

 


 

‘영국박물관British Museum’에서 만난 으스스한 미이라.


이전 06화 랜드마크와 흉물, 천재와 괴짜 사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