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나에게 주어지는 가르침들이 많은 시대이다. 성인들의 습관, 성공한 사람들의 습관, 부자들의 습관, 천재들의 습관 등 누구에게나 공개되어 있는 이러한 습관들을 지키면 나도 성인이 될 수도 있고, 성공할 수가 있고, 부자가 될 수 있는가? 성공하고, 부자가 되고, 천재가 되는 가르침이라고 알려주는 이러한 습관들은 별로 어려운 것도 없어 보인다. 그리고, 내가 그것을 다 따라 하는 것은 마음만 먹으면 가능할 것 같이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습관을 똑같이 지켜서 성공했다는 사람을 우리 주변에서 만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고, 나도 매 마찬가지이다. 왜 그럴까? 그렇게도 많은 가르침이 있는데도 그 가르침이 나의 것이 되지 못하고, 여전히 남의 것으로 남아 나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는 건.
그 가르침이 나의 것이 되지 못하는 이유는 내가 처해 있는 상황이 그들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내가 그 가르침, 좋은 습관으로 평가받는 것을 따라 한다고 하더라도 성공한 사람들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가 없다. 왜냐하면, 좋은 습관은 성공이라는 결과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현재 과정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바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다. 성공한 사람은 대부분 부지런하다. 그렇다고 성공하기 위해서 부지런해야 한다는 논리가 성립하는가? 실패한 사람의 비율이 성공한 사람의 비율보다 높은데, 실패한 사람들도 성공한 사람 못지않게 부지런하게 일 했다. 오히려 실패한 사람이 성공한 사람보다 몇 배 부지런하게 일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부지런한 것이 성공의 요인인가, 실패의 요인인가? 성공에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한다. 역시 실패에도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한다. 한 가지 요인만으로 성공과 실패를 설명할 수는 없다.
꼭 성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남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라 나에게 필요하고, 내가 지킬 수 있는 습관은 조직 생활을 하는 나에게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해 준다. 그리고, 이 방향성을 통해서 나는 조직생활이라는 여정에서 헤맴을 줄일 수 있다. 나에게 필요하고, 내가 지킬 수 있는 습관은 무엇이 돼야 하나 생각해 보자. 그 첫 번째는 '인사 잘하기'이다. 사람을 만났을 때 반갑게 인사하는 것만으로도 인간관계 구축의 많은 부분이 이루어진다. 말 한마디로 천냥 빚을 갚는다는 말이 있듯이 인간관계에서 인사는 이와 같은 역할을 한다. 나에 대한 좋은 인상, 호감, 관심 등을 유발하여 나의 인간관계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를 만들어 준다. 또한, 업무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하면 인사가 매개가 되어 업무 협조도 훨씬 잘 될 것이다. 또한, 매일 만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해주고, 갈등 유발도 상당히 줄여 줄 것이다.
두 번째는 '긍정적으로 바라보기'이다. 물컵에 물이 반 차있을 때, 아직도 컵에 물이 반이나 있구나 하고 생각하는 것과 물이 반 밖에 안 남았구나 하고 생각하는 것은 결과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내게 된다. 사안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자세는 그 사안의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을 높여준다.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을 높여 준다는 것은 어떻게든 해내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세 번째는 '역지사지'이다. 조직 생활하는 동안에는 내가 중심이 돼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상사로부터 지시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행 계획을 내가 결정을 해야 한다. 대부분 이럴 것이다. 내가 어떠한 결정을 하게 될 때 그 결정은 다른 사람에게 반드시 영향을 주게 된다.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의사 결정한 것이 나에게 돌아와 영향을 주고, 내가 똑같은 상황을 맞을 수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이러한 역지사지는 결국 나의 실행력과 활동 반경을 넓혀 주는 역할을 한다.
네 번째는 '글 읽기, 글 쓰기'이다. 글 읽기를 통해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습득함은 물론이지만 논리적 사고력을 증진시켜 준다. 발표된 글은 글쓴이가 발표되기 전까지 정성을 들여서 논리를 또는 감정을 다듬은 글이기 때문이다. 정성이 많이 들어간 글을 읽는 것은 나를 논리적으로 훈련시키고 감정 또한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조직 생활에 필요한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내가 글 쓰는 것을 통해서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훈련을 꾸준히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것들은 복잡한 사안을 간결하게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준다.
다섯 번째는 '일 외 활동 꾸준히 하기'이다. 봉사활동, 취미 활동, 종교 활동 다 가능하다. 일로서 채우기 어려운 부분이 일 외의 활동을 함으로써 채워지게 된다. 일로 채워지지 않는 나 스스로도 잘 알지 못하는 공허함을 봉사 활동, 취미 활동, 종교 활동으로 채움으로써 내 삶의 균형(Balance)을 맞출 수 있다. 오랜 기간 동안 해야 되는 조직 생활을 삶의 균형이 유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지속하기는 불가능하다. 여섯 번째는 '하루 계획 세우기'이다. 아침에 그날 해야 할 일, 하고 싶은 일에 대해서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하루의 계획을 세우면 그날 하루를 어떻게 운영할지 시간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시간 계획을 세우면 그날 하루에 낭비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것이다. 이는 하루 종일 바쁘게 지난 것 같지만 저녁에 돌이켜 보면 '오늘 무슨 일을 했지?' 하고 반문하는 것을 줄여 준다. 일곱 번째는 '가족 사랑 하기'이다. 가족에 대한 사랑은 모든 것의 근간이다. 내가 사회 활동, 조직 생활을 하는 근간이 됨은 더 말해서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
내가 지킬 수 있는 습관을 정리해 보면 1. 인사 잘하기, 2.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3. 역지사지, 4. 글 읽기, 글 쓰기, 5. 일 외에 활동 꾸준히 하기, 6. 하루 계획 세우기, 7. 가족 사랑하기이다. 이러한 습관들을 기반으로 한다면 내가 조직 생활을 해나가는 데 있어서 방향성을 잃지 않게 해 준다. 또, 이 습관들을 통해서 누구에게나 소중한 가족을 잘 지킴으로써 우리의 행복을 만들어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