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 보면 '저런 얼굴로 나이 들고 싶다'라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분을 만나게 됩니다. 박목월 시인의 아들이시며, 국어국문학 박사이신 박동규 교수님! TV에서 그분을 뵐 때면 그냥 좋았습니다. 그분의 글 한 편을 소개할게요.
내가 초등학교 육 학년 때 6.25 전쟁이 났다. 아버지는 내 머리를 쓰다듬으며 "어머니 말씀 잘 듣고 집 지키고 있어" 하시고는 한강을 건너 남쪽으로 가셨다. 그 당시 내 여동생은 다섯 살이었고, 남동생은 젖먹이였다. 인민군 치하에서 한 달이 넘게 고생하며 살아도 국군은 오지 않았다. 어머니는 견디다 못해 아버지를 따라 남쪽으로 가자고 하셨다. 일주일 걸려 겨우 걸어서 닿은 곳이 평택 옆, 어느 바닷가 조그마한 마을이었다. 우리는 어느 집 흙담 옆 골목길에 가마니 두 장을 주워 펴놓고 잤다.
먹을 것이 없었던 우리는, 개천에 가서 작은 새우를 잡아 담장에 넝쿨을 뻗은 호박잎을 따서 죽처럼 끓여서 먹었다. 삼일 째 되는 날, 담장 안집 여주인이 나와서 우리가 호박잎을 너무 따서 호박이 열리지 않는다고 다른 데 가서 자라고 하였다. 우리 힘으로는 도저히 남쪽으로 내려갈 수 없으니 다시 서울로 돌아가서 아버지를 기다리자고 하셨다. 다음날 새벽 어머니는 소중하게 아끼던 재봉틀을 들고나가서 쌀로 바꾸어 오셨다. 쌀자루에는 끈을 매어서 나에게 지우시고, 어머니는 어린 동생과 보따리를 들고 서울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평택에서 수원으로 오는 산길로 접어들어 한참을 가고 있을 때 한 젊은 청년이 다가와 "무겁지. 내가 좀 져 줄게"라고 하였다. 쌀자루를 짊어진 청년의 발길이 빨랐다. 한참을 가다가 갈라지는 길이 나왔다. 나는 어머니를 놓칠까 봐 "아저씨, 여기 내려주세요. 어머니를 기다려야 해요" 하였다. 그러나 청년은 내 말을 듣는 둥 마는 둥 "그냥 따라와" 하고는 가 버렸다. 청년을 따라가면 어머니를 잃을 것 같고 그냥 앉아 있으면 쌀을 잃을 것 같았다. 당황해서 큰소리로 몇 번이나 "아저씨!" 하고 불렀지만 청년은 뒤도 돌아보지 않았다. 나는 그냥 주저앉아 있었다. 한 시간쯤 지났을 즈음 어머니가 동생들을 데리고 오셨다. 길가에 울고 있는 나를 보시더니 "쌀자루는 어디 갔니?" 하고 물으셨다. 나는 청년이 져 준다면서 쌀자루를 지고 저 길로 갔는데, 어머니를 놓칠까 봐 그냥 앉아 있었다고 했다. 순간 어머니는 한참 있더니 갑자기 내 머리를 껴안고 "내 아들이 영리하고 똑똑해서 애미를 잃지 않았네."라고 하시며 우셨다. 그날 밤, 우리는 조금 더 걸어가 어느 농가 마루에서 자게 되었다. 어머니는 어디에 가셔서 새끼손가락만 한, 삶은 고구마 두 개를 얻어 오셔서 내 입에 넣어주시고는 "내 아들이 영리하고 똑똑해서 아버지를 볼 낯이 있지" 하시면서 또 우셨다. 그런 위기 상황에 생명줄 같았던 쌀을 바보같이 다 잃고 누워 있는 나를, 영리하고 똑똑한 아들이라고 칭찬해 주시다니. 그 후, 어머니에게 영리하고 똑똑한 아이가 되는 것이 내 유일한 소원이 되었다. 내가 공부를 하게 된 것도 결국은 어머니에게 기쁨을 드리고자 하는 소박한 욕망이 그 토양이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 박동규 서울대 명예교수의 글 중에서 -
▽ 사진 : 고 장욱진 화백 님 전시회에서 사 온 도록에서 찰칵!!
이런 글을 읽을 수 있어 감사하더라고요. 때로는 따스한 글 한 편이 제 상처를 치유하기도 하고, 힘차게 걸어 나갈 힘을 주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