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민화는 왜 민화인가?
1. 장식적 필요에 의해 그린 그림
- 우리네 일상 생활공간 곳곳에 활용되었다. 한국인이 살아가는 곳에는 민화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였다. 그래서 민화는 바로 한국인의 마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 토속신앙과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
-민화의 특성으로 실용성, 상징성, 예술성을 꼽을 수 있다. 순수미술은 예술성을 앞세운다. 이와 달리 민화에서는 예술성보다는 실용성이 강조되는데, 이는 민화에 상징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3. 주술적 신앙이 반영되어 있다.
-옛 그림이 지니고 있던 주요한 기능 중에서 오늘날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은, 그림이 일종의 주술적 효과를 지닌 매개체로 이용되었다는 점이다.
4. 집단적 감수성의 표현
-일반 서민들의 마음이라 할 수 있으며, 공감과 공동 소유에서 올 수 있는 쾌감을 바탕으로 그리고 감상하고 즐겼던 그림이다.
5. 민하는 ‘뽄‘ 그림이다
-본을 반복적으로 그리는 가운데 조선 시대 상류층과 왕권 중심으로 형성된 유교적인 세계관이 토속적이고 종교적인 민중의 세계관으로 전이되었으며, 민화가 양산되고 보급되면서 점차 서민들이 지배층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세계관을 형성했던 것이다.
민화
화려하다 생각했다
미신이라고만 생각했다
…..
정말 알고 보니 반할만했다.
정말 알고 보니 끌릴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