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남편보다 믿고 사는 장남

우울증이 극심했던 이십 대 초반, 한 대학 병원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심리검사를 받게 되었다. 나의 정신 상태를 면밀하게 체크하고 분석하는 평가였는데 이때 전문가는 가족 내 나의 위치를 이렇게 서술했다.


'가족의 심리적 가장'  


가장이라 함은 보통 한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경제적 가장을 떠올리기 십상이지만, 가족 구성원을 정신적으로 지지하고 그들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지고 해결사를 자처하는 경우를 심리적 가장이라고도 하는 것 같다.


물론 나의 경우는 내가 벌어서 온 가족의 생계를 전적으로 책임지는 어려움에서는 비껴가 있었지만, 일생 엄마에겐 남편 노릇을, 여동생에게는 애비 노릇을, 아빠에게는 해결사 노릇을 해야 했던 고충이 있었다.


아빠가 사업을 말아먹었을 때 학업을 작파하고 뒷수습을 하고 다닌 것도 나였고, 아빠가 바람이 났을 때 엄마 대신 불륜남녀를 잡으러 다닌 것도 나였으며, 동생이 삶에 휘청일 때마다 악역을 자처하며 바로 잡아줘야 했던 것도 나였다.


그때 내 나이 겨우 스무 살이었다. 나를 품어주는 사람보다 내가 품어야 할 사람이 더 많았다. 집구석 뒤치다꺼리 하느라 청춘을 바친 내게 고생한다고 등을 토닥여준 사람도, 손 한 번 잡아준 사람도 없었다. '함께여도 혼자였고, 일생 외로웠다'가 그 시절 내 일기장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구절이었다. 펑펑 울어보는 게 소원이라고 말할 만큼 내 앞에 놓인 현실이 황망해 눈물조차 말라버린 시절이었다.


내 딴엔 내 가족에게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나의 존재는 가족 개개인에게 다르게 인식되는 것 같다. 엄마에게 나는 그녀 인생에 변수나 곡절을 만들지 않는 유일하게 믿는 구석. 아빠에게 나는 어렵고 버겁지만 밖에 나가서 자랑은 하고 싶은 자식. 동생에게 나는 틀린 소리는 안 하지만 가까이하기엔 어딘가 벅찬 존재. 부족함은 있었겠으나 나는 최선을 다했고, 시간을 되돌려도 같은 역할을 해낼 테니 후회는 없다. 


엄마가 내게 종종 하는 말이 있다.

'너는 걱정이 안 된다, 너는 원래 알아서 잘하는 애니까'


나의 연기가 수준급이어서 일까 아니면 온 가족이 나를 그저 잘 버티는 사람으로 믿고 싶은 것일까. 애초부터 걱정 따윈 끼치지 않고 알아서 잘하는 아이는 없다. 그저 일찍 어른 아이가 되었을 뿐이다. 스스로를 옥죄며 때로는 나 다움을 포기하며 살았을 뿐이다. 


남편보다 믿고 사는 장남의 역할은 나를 부모에게 걱정 끼치지 않는 절제력 있는 사람으로 성장시켰고, 동시에 유연함을 상실한 경직된 어른으로 만들었다. 황혼을 바라보는 노인처럼 감정의 진폭도 활기도 없는 서른다섯의 나를 보면 뭐랄까, 참 쓸쓸해진다.


가끔 궁금해진다. 장남으로 태어나지 않았다면 지금의 나는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을까. 조금은 더 산뜻하고 경쾌한 사람이 되지 않았을까. 그리고 생각한다. 신은 왜 나를 이 집안에 태어나게 했을까. 하필 나를 선택해서 장남의 십자가를 지게 한 것일까.


아무도 답을 주지 않는 질문에 골몰하다 이내 휴대폰을 들어 엄마에게 전화한다. 나는 엄마에게 세상에서 가장 친한 친구니까. 일주일에 하루라도 엄마의 말동무가 되어 엄마가 세상 누구에게도 하지 못하는 하소연과 남편 욕에 위로를 건네야 한다. 서방 복 없는 년은 자식 복도 없다는 불문율을 깨고 그래도 자식이라도 잘 키웠다는 생각이 엄마가 갖는 모든 번뇌의 결론이어야만 한다.


세상 무엇도 마음대로 되지 않는 현실에 나는 여전히 관성적으로 죽고 싶을 때가 많다. 그래도 엄마에겐 늘 '괜찮아, 사람 다 어떻게든 살게 돼있어'라고 담담히 얘기하고 전화를 끊는다. 더는 마음에 남은 에너지가 없지만 애써 힘을 내본다. 나에겐 여전히 지켜야 할 사람이 있으니까. 세상에서 아직 아무것도 되지 못한 나라도 엄마에게 나는 삶의 이유이자 희망의 증거이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