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e Ception Oct 30. 2020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2019

디 셉션 부스의 최종 형태, 디 셉션 갤러리

코믹콘 전시 때 디 셉션 부스에 방문한 디자인하우스 마케터 분의 제안을 받아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2019에 참여하게 되었다. 다양한 디자인 기업이 참가하는 자리이기에 다양한 디자인적 생각과 경험을 얻을 수 있었고, 디 셉션의 제품을 디자인을 중시하는 소비자 층에 보여줄 수 있는 자리였다. 


코믹콘 이후 2019년 마지막에 준비하게 된 전시로 그간에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전시 콘텐츠를 확립할 수 있는 자리이기도 했다. 그간 개발해온 배트맨 마술과 배트맨 굿즈를 바탕으로 코믹콘에서 함께 전시를 준비한 인원과 함께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다.




전시 공간 디자인 기획


디 셉션 갤러리

이번 전시는 디 셉션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한눈에 보일 수 있는 부스 디자인을 기획했다. 모던 갤러리를 컨셉으로 관람객이 부스에 들어와서 작은 전시회를 감상하는 느낌을 주고자 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왼쪽 벽면은 과거에 진행한 작업물을 전시했고, 가운데 벽면에는 배트맨 카드와 포트폴리오를 전시했다. 그리고 오른쪽 벽면에는 디 셉션 굿즈를 전시하여 미래에 진행할 작업을 보여주고자 했다.


캔버스의 활용
리드 디자이너가 벽면에 명판을 붙이고 있다

갤러리의 느낌을 강조하고자 벽면에 캔버스를 활용하여 단차를 주고 제품을 그 위에 살짝 떠 있게 부착했다. 각 캔버스마다 명판에 간단한 설명을 적어서 관람객이 가이드의 설명 없이도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테이블 위치의 변화: 콘텐츠가 있어야 들어온다

기존 코믹콘에서는 부스 바깥쪽에 메인 테이블을 두었다. 덕분에 지나가는 관람객에게 쉽게 콘텐츠를 보여줄 수 있었으나, 테이블이 가로막고 있어서인지 관람객이 부스 안 까지는 잘 들어오지 않았다. 이번 전시에서는 관람객이 부스 안으로 들어오게 만들고 싶었기에 테이블 위치를 안쪽으로 옮겼다. 그러나 이것이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않았다. 부스 안에 들어오면 보여줄 수 있는 콘텐츠가 있었으나, 관람객에게 부스 안에 들어와서까지 보아야 할 이유가 충분하지 않았다. 


관람객이 들어오게 만들고 싶다면, 들어올 이유를 만들어라


이때, 과거 마술 퍼포먼스를 준비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부스 바깥쪽에 간이 테이블을 두고 그곳에서 과거 마술 퍼포먼스를 진행하고, 부스 안쪽에서는 현재의 배트맨 마술을 보여주는 것으로 결정했다. 덕분에 코믹콘에서처럼 지나가는 관람객의 관심을 끌 수 있었고 이는 곧 부스 바깥쪽에 사람이 몰리는 효과를 낳았다. 사람이 몰려 있으니 자연스레 그것을 본 다른 관람객은 그곳에서 퍼포먼스를 보거나 부스 안으로 들어왔다. 바깥쪽에서 진행한 과거 마술 퍼포먼스를 본 관람객을 부스 안쪽으로 유도하는 것도 수월했다. 더욱 발전된 배트맨 마술이 안쪽에서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왼쪽 벽: 과거 배트맨 마술 퍼포먼스


디 셉션의 과거를 말하다
퍼포먼스 가이드가 과거 작업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고 있다

왼쪽 벽면에는 졸업 프로젝트 이전의 프로토타입을 전시했다. 과거에는 어떠한 생각과 경험을 통해 배트맨 카드를 만들었는지 보여주고 싶었다. 벽면에 전시되어있는 카드를 사용해 마술 퍼포먼스를 진행하여 과거 배트맨 마술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배트맨 그림 카드 마술과 과거 배트맨 카드

왼쪽 벽 바깥쪽 캔버스에는 2015년도에 작업한 그림 카드 마술 중 경찰과 조커 갱단의 이야기를 담은 그림 카드를 전시했다. 총 7장 중 가장 대표되는 3장을 전시했다. 왼쪽 벽 안쪽 캔버스에는 2017년에 디자인한 배트맨 카드를 전시했다. 과거 배트맨 카드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는 숫자 카드와 왕족 카드, 그리고 뒷면 디자인이 드러나는 박스를 함께 전시했다. 




중앙 벽: 배트맨 마술 퍼포먼스


배트맨스러움에 대한 퍼포먼스
퍼포먼스 가이드가 조명 밝기를 조정하면서 흑백의 대비를 강조한 뒤 배트맨 마술을 선보이고 있다

가운데 벽면에서는 배트맨스러움에 대한 설명과 현재의 배트맨 카드를 활용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배트맨 조명은 가장 중요한 아트워크를 크게 보여주는 역할을 했고 동시에 카드 디자인을 하면서 고민했던 내용을 전달하는데 용이했다. 예를 들어, 배트맨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관람객에게 흑백의 대비에 대한 설명을 강조하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코믹콘과 다르게 모든 퍼포먼스 가이드가 동일한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마술의 완성도와 난이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배트 시그널 마술을 시연했다. 



제품을 직접 만져볼 수 있는 체험 존
중앙벽 테이블에 배트맨 카드와 디 셉션 스마트폰 케이스가 DP 되어있다

위에 보이는 7장의 악당 카드는 관람객이 편하게 카드를 만져볼 수 있는 샘플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배트 시그널 마술을 진행하는데 도움을 준다. 관람객이 배트맨에 대해 잘 몰라도 편하게 악당을 고를 수 있고, 가이드 입장에서도 매번 마술을 보여줄 때마다 악당을 찾을 필요가 없어 퍼포먼스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오른쪽 벽: 디 셉션의 미래


디 셉션의 미래를 말하다
퍼포먼스 가이드가 디 셉션의 미래 방향성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오른쪽 벽면에는 디 셉션 스마트폰 케이스를 전시했다.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하여 왼쪽 벽에서는 퍼포먼스를 통해 시선을 끌었다면, 오른쪽 벽에는 튀는 색상의 케이스를 전시하여 시선을 끌었다. 이곳에서는 디 셉션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설명을 진행했다.



디 셉션 굿즈: 스마트폰 케이스

안쪽 캔버스에는 캐릭터를 상징하는 포인트 컬러를 활용한 케이스를 선보였다. 바깥쪽 캔버스에는 "조커스러움은 무엇일까?"에 대한 디자이너의 해석을 담은 조커 케이스를 전시했다. 이를 통해 디 셉션의 캐릭터 제품은 그 자체만으로 캐릭터의 특징이 드러나길 바란다는 방향성을 전달하고자 했으며, 카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보다 밀접한 제품을 개발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







에필로그


디 셉션은 퍼포먼스가 강점이기에 전시 부스를 퍼포먼스가 돋보일 수 있게 디자인한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 벽을 제외한 대부분의 공간이 비어있기에 테이블을 추가적으로 활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었다. 즉, 하나의 버스킹 무대와 같은 공간으로 부스를 활용했다. 디 셉션은 디자인과 마술이 만나 하나의 퍼포먼스가 되는 순간을 관람객이 경험하기 바랐고 그간 진행한 전시 중 그 목표를 가장 성공적으로 보여준 전시라고 생각한다. 


전시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바로 팀원들의 협력이었다. 콘텐츠 기획부터 전시 공간 디자인, 그리고 실제 전시에서 퍼포먼스를 선보여준 퍼포먼스 가이드에게 이 자리를 통해 감사의 말을 전한다.



리드 디자이너

고동재


콘텐츠 기획 팀

이상훈, 최범준, 황선우


공간 기획 팀

변상일, 이용우


퍼포먼스 가이드

고동재, 이상훈, 최범준

황선우, 전진, 서준수 

이용우, 장준희


사진

이상훈, 고동재

이전 13화 디 셉션, 지원을 받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