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콩 Sep 30. 2022

글쓰기 시작은 대화인데...... 그게 참 어렵죠?

 아이의 글쓰기에서 대화는 아주 중요합니다. 70%는 대화에, 30%는 글쓰기에 시간을 할애한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아이와 일기 쓰기를 할 때 “오늘 뭘 쓸 거야? 뭐가 가장 기억에 남아?”라고 물어봐 주십니다. 그게 바로 아이가 정말 쓰고 싶어 하는 이야기를 찾는 첫 대화입니다. 이미 잘하고 계신 거예요. 그런데 그렇게 대화를 잘 시작해놓고 몇 가지 실수를 하실 때가 있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깨달음을 얻은 일화가 있는데요, 지금 말씀드릴게요.

 지난 겨울, 1학년 유나(가명)를 만났을 때입니다. 유나는 일기 코칭을 받기 위해 어머니와 함께 저를 찾았는데요. 말수가 적고 수줍음이 많은 아이였습니다. 나이가 어릴수록 낯선 어른과의 대화를 힘들어하니까 저는 편안한 대화로 시작했습니다.

 “유나는 뭘 좋아해? 뭘 하는 게 좋아?”

 그런데 유나가 아무 대답 없이 가만히 있더니 갑자기 고개를 푹 숙이더군요. 저는 겁이 났습니다. 이런 반응을 보이다가 울어버린 아이가 몇 명 있었거든요. 저는 조급한 마음에 더 질문했습니다.

 “선생님하고 말하는 거 불편해? 아니면 일기 쓰는 게 싫어?”

 아이가 더 몸을 움츠렸습니다. 진땀이 났지요. 저는 할 수 없이 유나가 그동안 써왔다는 일기를 보았습니다. 유나는 일기를 잘 쓰는 편이었습니다. 자신이 그 순간 느낀 생각이나 감정을 잘 써 내려가고 있었지요. 그때 눈에 띄는 것이 있었습니다. 방송 댄스에 대한 일기였는데 글 속에 ‘어쩌지?’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유나는 방과 후 수업으로 방송 댄스를 하고 있었습니다. 수업을 마치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찍는 모양인데, 그럴 때 ‘어쩌지?’라는 마음이 든다고 적혀있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어쩌지?’의 마음은 부끄러움이었습니다. 춤추는 모습을 찍히는 게 부끄러울 거라 생각했지요.

 “유나가 부끄러웠구나. 영상 촬영하는 게.”

 공감의 말을 던져봤는데도 아이가 아무런 반응이 없었습니다. 이렇게 대화가 없으면 수업은 시작도 할 수가 없었지요. 어떻게 할까 그 고민에 저도 말을 못 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둘 사이에 제법 침묵의 시간이 흘렀지요. 그때 유나가 입을 열었습니다.

 “틀릴까 봐......”

 “어? 뭐라고?”

 “방송댄스 끝나고 동영상 찍을 때, 틀릴까 봐......요”

 그 순간 머릿속이 번쩍했습니다. 유나의 마음속 ‘어쩌지?’는 걱정이었습니다. 실수할까 봐, 틀릴까 봐 걱정하는 마음이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지레짐작하고 ‘부끄러움’이라고 단정 지었던 거지요. 아마 많은 학부모님들도 아이와 대화를 하며 그러셨을 겁니다. 당연히 아이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할 거라 생각하고 ‘이것 때문이야?’ ‘저것 때문이야?’ 먼저 답을 말하는데, 막상 아이 얘기를 들어보면 엉뚱한 이유를 말할 때가 많습니다. 예상과 전혀 다른 얘기에 깜짝 놀라기도 하지요. 따지고 보면 아이와 나는 다른 인격체인데, 왜 같은 마음일 거라고 생각했을까요? 어리다고 여겼기 때문일까요?

 저는 유나의 마음속이 궁금했습니다. 왜 유나는 본인의 실수에 걱정을 하는 것일까. 남들 앞에 완벽한 모습만 보이고 싶은 걸까? 뭐든 잘하고 싶은 일종의 승부욕인가? 아니면 방송 댄스가 유나에게 특별한 어떤 것일까? 글을 쓰며 질문 하면 그 속마음을 끄집어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우리 오늘은 이 얘기를 해볼까? 유나가 하는 방송 댄스 얘기. 유나는 방송댄스가 좋아?”

 유나가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왜 좋아?”

 “춤춰서요.”

 “춤추면 뭐가 좋은데?”

 “신나요.”

 “그리고 또?”

 “건강해져요.”

 “아, 그렇구나.”

 안타깝게도 유나의 대답은 겉으로만 맴돌았습니다. 더 집요하게 묻고 싶었지만 그럴수록 아이는 힘들어했습니다. 이런 대화가 익숙하지 않아 그럴 수도 있고, 아직 어려서 그럴 수도 있지요. 저는 대화를 마무리 짓고 글을 써보자고 했습니다. 당연히 글도 밋밋하게 나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만족스러운 글은 아니지만, 그래도 유나의 노력과 수고가 들어갔으니 이곳에 담아 보겠습니다.          

               

                                                         제목 : 방송댄스

방송댄스란 선생님이 가르쳐주고 사진을 찍는 곳이다. 춤을 추면 건강에 좋다. 또 춤을 추면 신난다. 그런데 나는 춤을 출 때 부끄러운 마음이 든다. 왜냐하면 실수할 것 갔기(같기) 때문이다.


 그래도 이날의 수업은 제게 큰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아이와의 대화법에 어른들이 보이는 몇 가지 실수에 대해 알게 해 줬거든요.

 첫째, 어른들은 침묵을 힘들어합니다. 아이가 생각하느라 뜸을 들일 수 있는데 그 침묵을 기다리지 못하고 먼저 대답해버립니다.

 “그러니까 네가 하고 싶은 말이 이거지?”

 “지금 이런 기분이라는 거지?”

 어른이 먼저 대답을 하면 아이는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뺏기게 됩니다. 생각도 연습이고 훈련인데 그런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되는 것이지요. 먼저 대답을 줘버리면 아이는 진짜 자기 마음이나 의도를 알아채지 못하고 어른들의 가르침대로 따르게 됩니다. 위의 글에서 유나가 ‘부끄러운 마음이 든다’라고 썼는데 저는 제 영향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지레짐작하고 나눴던 대화 때문에 ‘부끄럽다’는 단어를 썼다고 생각해요. 정확한 단어는 ‘걱정된다’ 또는 '잘하고 싶다'였을 것 같습니다. 유나의 입에서 그 단어가 나오도록 기다렸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했던 거지요. 침묵은 비어있어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채워나가는 유익한 과정입니다. 아이의 침묵에 조바심 내지 말고, 아이가 깊이 생각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둘째, 아이의 대답을 고치려 할 때가 있습니다. 박물관에 갔는데 전시품 관람이 아닌 기념품 산 얘기가 인상 깊었다고 하면, 자꾸 전시품 관람 얘기를 해보라고 아이의 대답을 유도합니다. 그날 아이가 인상 깊었던 부분은 사고 싶은 기념품을 사지 못한 것인데, 어른들은 전시관의 기획 의도나 감상이 있었으면 좋겠거든요. 그렇게 자꾸 유도해서 쓴 글은 ‘어디서 무엇을 했다. 참 재밌었다.’ 그 이상의 글이 안 나옵니다. 글은 쓰는 이의 마음이 담겨야 풍성해지고 윤택해집니다. 그렇지 않으면 밋밋하고 짧아질 수밖에 없어요.

 셋째, 집요하게 묻는 것을 잘못합니다. 상대방 말꼬리 잡는 것 같고, 따지는 것 같고, 때론 뭘 모르는 무식한 사람이 되는 것 같고. 그런 여러 가지 불편한 마음에 집요한 대화를 피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나 집요하게 물어야 ‘진짜’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진짜 말하고 싶은 것, 그 속에 숨겨진 진짜 마음, 그래서 쓸 수 있는 진짜의 글. 그 모든 것은 집요한 대화에서 나옵니다. 아이 스스로 깨닫지 못한 저 깊은 진실을 끄집어 올려주는 거라 생각해 주세요. 특히 부모는 아이와 그런 대화를 해도 괜찮습니다. 따지고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왜 그런지 궁금해서 묻는 질문이라면 오히려 아이 말과 마음에 귀 기울이게 될 것입니다. 아이가 진짜 속마음을 얘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그러면 기상천외한 이야기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실제 저는 제 아이들과 ‘엄마한테 혼나면 어떤 기분이 들어?’ 이런 얘기를 해본 적이 있는데요. 첫째 아이는 ‘슬프다’, 둘째 아이는 ‘슬프고 화나고 궁금하다’고 말하더군요.

 ‘응? 다른 건 다 알겠는데 궁금한 건 뭐지?’

 그래서 둘째 아이와 더 얘기를 나눠봤습니다. 그랬더니 이 녀석은 혼날 때 ‘그런데 나 왜 혼나지?’ 이런 생각을 많이 했다고 하더군요. 웃음이 났지요. 그리고 제 자신을 반성했습니다. 제가 제 감정에 빠져 훈육할 상황이 아닌데 화를 냈거나, 훈육의 이유를 명확히 설명해주지 않았다는 뜻이니까요.

 아이들과 대화하면 아이도 다 생각이 있고, 논리가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 감정을 바라보는 시각도 어른보다 훨씬 건강할 때가 많아요. 아이들과 일상적인 대화 말고, 조금은 관념적이고 철학적인 이야기도 나눠보세요. 새롭게 배우는 것이 많을 것입니다.  

이전 04화 글이 술술 나오는 매직 언어. “응 그렇게 써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