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꼬리표 때기

수치심과 죄책감에서 벗어나는 방법

신문기사를 보면 자살 유가족이라는 단어가 많이 보인다.

나는 단 한 번도 나 스스로를 그렇게 불러본 적이 없다.

물론, 남들도 나를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내가 말하지 않는 이상, 사람들은 내가 자살 유가족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나는 왜인지 모르게 이 단어에서 느껴지는 뉘앙스가 싫다.

무언가로 나를 낙인찍히는 것만 같다.

내가 브런치의 소제목을 '이 세상에 남겨진 자의 이야기'라고 지은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자살 유가족들은 가뜩이나 고통스러운 일에 더해 알 수 없는 수치심과 죄책감을 가슴에 품고 산다. 특히 기사로 자살 소식을 접할 때마다 회복이 되어가는 과정 중에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느낌이 든다.


나 역시도 이런 일이 있은 후

심리상담을 받는 과정을 거쳤다.

상담사 분께서 해주신 말씀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말 중 하나는

"절대 수치심을 가질 필요도 죄책감을 가질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상 깊었던 말은

"자살도 이 세상에 많은 죽음 중 하나의 형태일 뿐이다."


생각보다 사람이 죽는 방법은 다양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사실을 잘 모른다.

우리는 보통 막연히 죽음에 대해 생각할 때

인간이 나이가 들어 병이 들어 자연스럽게 죽는 모습을 대부분 생각한다.


하지만 통계에 따르면 익사, 운수사고, 화재사고, 중동사고, 모성사망, 타살 등 사람들이 죽는 방식은 실로 다양하다. 아마도 부검을 담당하는 법의학자라면 이에 대해 깊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충분한 애도의 과정을 거치고 나서 이제는 이렇게 생각한다.


세상에 수많은 아픔과 고통이 있는데, 나는 자살 유가족이라는 꼬리표를 스스로에게 붙이기보다 인생에 고통의 총량이 있다면 단지 조금 더 일찍 고통을 겪은 사람일 뿐이다. 그 슬픔과 아픔의 깊이는 사람마다 다른 것이기에 그 어떤 고통보다 크거나 작음을 객관적으로 논할 순 없지만 나로부터 그러한 꼬리표를 떼고 단지 나에게 어떠한 깨달음과 성장을 준 하나의 사건으로 바라본다면, 나를 어떠한 단어로 규정하기보다 이 일로 인해 내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어주고 가치를 전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되지 않을까?


미움받는 용기라는 책 37페이지에 나오는 내용이다.


"어떠한 경험도 그 자체는 성공의 원인도 실패의 원인도 아니다. 우리는 경험을 통해서 받은 충격 - 즉 트라우마 - 로 고통받는 것이 아니라, 경험 안에서 목적에 맞는 수단을 찾아낸다. 경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에 부여한 의미에 따라 자신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 스스로를 수치심과 죄책감, 또는 그 어떠한 부정적인 단어로도 옭아매지 말자. 영화 <미나리>로 한국 여배우 최초로 오스카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거머쥔 윤여정 배우가, 불행했던 미국 결혼 생활 중 터득한 영어로 먼 훗날 멋지게 수상 소감을 하게 될 줄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인생은 생각보다 길다. 비극적인 일은 이미 일어났다. 왜 그런 일이 벌어진 것일까? 언니는 조상의 죄를 대신 치른 것일까? 이유는 중요치 않다. 우리는 그 원인을 알 수 없다. 단지 인생의 무작위적인 장난에 (불운에) 의해 어떠한 일이 벌어지고 우리는 그 일을 감당하고 이겨내야 한다는 것이다. 인생의 시련과 고난이라는 포장지에 싸서 선물이 주어진다고 생각하자. 정말로 우리가 겪은 고통은 훗날 어떠한 희락의 터전이 되어줄지 모른다.





이전 05화 어떻게 극복하셨어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