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세인 Oct 27. 2024

아이가 책을 읽는 조건

아이가 초등학교 1학년때였다. 

오후 1시 50분이면 학교가 끝났다. 아이는 학교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놀기도 하고, 집에 와서 책을 보기도 했다. 어린 시절, 나는 해가 어둑어둑해질 때까지 고무줄놀이를 하고 놀았다. 요즘 아이들은 놀기 전에 서로 몇 시까지 놀 수 있는지 묻는다. 


“나는 방과 후 가기 전에 20분.”

“영어 학원 차 올 때까지 놀 수 있어. 30분?”


아이들은 각자 일정에 따라 시간을 계산한다. 실컷 함께 놀 친구는 거의 없었다. 2학기가 되자 나는 이제 아이가 영어 학원에 다니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 학원 시간은 월수금 4시 30분. 이동 시간까지 고려하면 집에 들렀다 다시 나가기보다 간식을 사 먹거나 밖에 있다 학원으로 바로 가는 편이 나았다. 6시 20분에 아이는 하원 버스에서 내렸다. 집에 와서 저녁을 먹고, 샤워를 하고 나면 금세 잘 시간이 되었다. 


두 달쯤 지났을까. 

나와 아이는 여전히 영어 학원이 끼어 들어온 일정이 불편하게 느껴졌다. 아이는 학원을 다니고 싶지 않다고 했다. 영어 공부를 하느냐 마느냐, 엄마가 아이에게 지느냐의 문제가 아니었다. 영어 학원 수업이 지루해서도 아니었다. 아이가 원하는 일상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피천득 선생님의 수필집에서 읽은 〈찬란한 시절〉이 내 마음에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선생님은 나를 달래느라고 색종이를 주셨다. 그 빨간빛 파란빛 초록 연두 색깔이 그렇게 화려하게 보이던 일은 그 후로는 없다. …… 유치원 시절에는 세상이 아름답고 신기한 것으로 가득 차고, 사는 것이 참으로 기뻤다. 아깝고 찬란한 다시 못 올 시절이다.     


아이가 유치원을 졸업하자 나의 마음은 그새 색종이에서 멀어지고 있었다. 

일주일 후, 나는 영어학원에 전화했다. 조금 더 크면 오겠다고. 


아이의 오후는 자유로워졌다. 

인형 놀이를 하다가 또 책을 읽다가 자신이 원하는 일상을 만들어 나갔다. 그림이 예쁜 『소공녀』를 읽고, 『베니스의 상인』을 심각하게 읽기도 했다. 한국사 만화책을 읽으며 장희빈에 분노하다가 몇 분 뒤에 흔한 남매를 보며 킥킥거렸다. 세계여행 만화책 속에 빠져 프랑스로 갔다가 일본으로 갔다가 책 속 여행을 하기 바빴다. 학교 숙제인 독후감은 쓰기 싫어했지만 자신만의 독서 취향을 천천히 탐색해 나갔다. 


아이가 책을 읽으려면 먼저 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 같다. 

아이들의 일상은 꽤 바쁘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배움의 연속이며 해야 할 일에 치여 쉬는 시간이 뚝뚝 끊긴다. 시간이 부족하면 정신적인 여유 공간이 줄어들고, 전두엽은 짧은 숏츠가 주는 쾌감을 절제하기 힘들어진다.

 

하나 더한다면 책을 읽는 행위가 목표와 수단으로 얽히지 않아야 한다.

어린이 도서관에서 책을 고르고 있는데 사서 선생님이 한 아이에게 말했다.


“성준아, 이 책 새로 들어왔는데 재미있어. 읽어볼래?”

“선생님 글로 된 책은 논술학원 숙제로 읽어요. 오늘은 만화책 볼래요.”


만화책이라도 보는 게 어딘가 싶기도 하지만 나는 그 아이가 앞으로 독서를 즐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독자 기르는 법』을 쓴 메건 데일리는 아이들에게 책이 오락이 되어야 한다는데 한 표를 던진다. 책에서 무언가를 꼭 배워야 한다는 압박이 없을 때 책을 한껏 즐길 수 있다는 것이다. 


초등 시절의 독서는 오락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독후감과 문해력을 목표로 하는 독서가 아니길 바란다. 그냥 책을 많이 읽기만 하는 것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교육 전문가도 있다. 그럴 수 있다. 수능시험에 도움 되는 독서의 길은 다른 경로를 설정해야 할 수 있다. 


나는 아이들에게 책을 읽는 일이 무릉도원이 되기를 바랐다.

나와 아빠가 그랬던 것처럼. 같은 휴양지를 공유하되 다른 흑심은 없다는 걸 알리고 싶었다. 


종일 양치부터 방 정리까지 폭풍 잔소리를 늘어놓지만, 책을 읽어라 마라 말한 적은 없다. 조용히 책을 빌려다 거실에 늘어놓기만 했다. 


어렸을 땐 똥과 방귀가 나오는 책을 골라 깔깔 웃고, 이순신 장군에 관심을 가질 때면 역사 영웅의 이야기를 가져다 놓았다. 책을 많이 가져다 놓을 때도 있지만 때로는 책장에 빈 공간을 넓혔다. 늘 책의 풍요에서 허우적거리기보다 허기도 느끼길 바랐다. 몇 번이고 더 읽고 싶다는 책만 우리 집 책장 주인으로 들였다. 


거실을 큰 책장으로 꾸미지는 않았다. 

소파 옆 작은 회전책장이 전부다. ‘읽어볼래’라고 권유하기보다는 ‘재밌다더라’라고 말했다. 해리포터라도 재미없어하면 덮으면 그만이다. 책을 읽고 있는 시간만큼은 공부하는 수험생이 옆에 있는 듯 존중 모드를 취했다. 




많은 교육 전문가들은 아이들의 독서가 중요하다는 얘기를 한다. 그럴 때 나는 두 가지 생각을 한다. 무엇을 위해서 중요하다는 것일까. 수능 언어영역을 위해서인가 아니면 온전한 즐거움을 위해서인가. 

나 또한 매일 책을 끼고 다니는 아이를 보며 그런 기대를 한 적이 있었다. 


책을 많이 읽다 보면 어느 날 갑자기 공부를 잘하게 되는 건 아닐까. 그러다 수학 문제 세 줄을 읽고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짜증 내는 아이를 보며 금세 기대를 접었다. 애초에 내가 본질적으로 기대한 건 수학적 사고력이 아니었으니 괜찮다. 읽는 즐거움을 누리면 그걸로 됐다. 


조금 욕심을 낸다면 동화 속 인물들을 만나며 얻은 문학적 감수성이 살아가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5.18을 몸소 겪지 않았는데도 그 아픔을 공감하며 읽는 이도 아프도록 써낸 한강 작가처럼. 


우리 집 거실에 책 읽는 아이들을 잃지 않기 위해 나는 두 가지를 늘 경계한다. 그들의 일상에 책이 끼어들 수 있는 여유를 그리고 앞으로 수없이 세워야 할 목표를 던지고 그저 메타버스에 들어가 책 읽는 시간을 누리기를.  


그렇게 책을 계속 만나다 보면 자신과 세상을 조금 더 섬세하게 분별할 수 있을지 모른다.

아이들의 시간을 먼저 확보한다면. 

이전 14화 이건 형아랑 언니들이 읽는 책이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